• 제목/요약/키워드: 건강가이드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8초

성인병 뉴스 제317호

  •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 월간성인병
    • /
    • 317호
    • /
    • pp.1-18
    • /
    • 2007
  • 경북 고령군 보건소 안순기 소장/“만성질환관리 건강투자 전략의 핵심”/‘보호자 없는 병원’시범사업/치매?뇌혈관질환?파킨슨병 등/“만성질환관리는 미래의료의 핵심”/한방보건 최우수기관‘익산보건소’/공공보건 EHR선진화 1577억 투입/전국비만학회연합회 비만 가이드라인 제시/맞춤의학 실현 KARE 프로젝트 착수/“신약개발.보건의료 연구투자 협력”/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 12조원 돌파/식욕억제제 관리 위반 의원?약국 적발/“well-dying”...사랑의 공동체 실현/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신장내과 외래환자 58.4%가 40~60대/“천식 등 호흡기질환 예방관리 총력”/WHO 국제암연, 학술위원에 방영주 교수/30대 이상 70% 남성‘성관계’실패 경험/부실한 인적 자본, 미래 위한 건강투자 시급/2005년 시도별 생명표 및 사망원인통계 결과/유럽 고혈압학회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 PDF

유럽의 '가축사료 안전한 이용을 위한 가이드 라인'

  • 정완태
    • 월간피드저널
    • /
    • 제3권4호통권20호
    • /
    • pp.101-103
    • /
    • 2005
  • 가축사료가 인간의 건강 위해의 잠재적 원인의 하나라고 생각되지 않았던 것이, 치근 다양한 식품안전 위기로부터 사료도 식품안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소해면상뇌증(일명 광우병)의 발생이 반추동물에 포유동물 육골분사료 급여와 관련되어 인간의 CJD 와의 관련가능성, 1998년 citrus pulp의 다이옥신 오염사례, 2001년의 사료의 다이옥신 오염과 농장에 영향을 미친 가축사료의 호르몬(MPA) 오염 등이 가축사료 안전성과 관련된 사례가 유럽 도처에 있었다. 이러한 사건의 모두는 가축사료의 안전에 대한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정의 문제 외에 가축사료와 관련하는 잠재적 위해를 주는 것은 마이코톡신(사료원료의 곰팡이 생성으로 인한)을 포함하여 살모넬라균속과 같은 전염성 물질, 제초제, 살균제등의 농약잔류 및 산업/환경 등에 의한 다른 외부 오염물(수은, PCB, 납, 카드뮴) 등이 있다. 가축과 인간의 건강에 잠재적인 영향과 사료품질은 농장에서 사료 원인 작물의 성장에서부터 곡물 수확 시까지 모든 단계에서 좋은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농장에서부터 철저하게 관리하는 사료의 안전한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설정되어 있다.

  • PDF

스마트폰 상의 GPS 정보를 활용한 자전거 가이드 시스템 개발 (Bicycle Guide System with smart phone GPS Sensor)

  • 박지수;우예인;유은현;윤용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4-1037
    • /
    • 2014
  • 2013년도에 자전거 판매량이 100 만대를 돌파하면서 자전거 운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서울시 등 각 지방 자치에서 자전거 도로를 설치하고 자전거 코스를 제공하는 등 국민의 건강관리에 힘쓰고 있다. 자전거를 통한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 관련 어플리케이션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본인의 기록을 측정하기 어렵고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만으로도 자신의 운동을 효율적으로 자신의 운동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스마트 상의 GPS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 가이드 시스템 '자전거로 달려볼까'는 별도의 센서를 부착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GPS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기록 측정, 기록 보기, 코스 및 날씨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폰의 GPS정보를 활용한 걷기 가이드 시스템 개발 (Walking Guide System with smart phone GPS Sensor)

  • 김혜민;신송하;윤용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27-328
    • /
    • 2015
  • 최근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걷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걷기를 통한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 관련 어플리케이션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본인의 기록을 측정하기 어렵고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만으로도 자신의 운동을 효율적으로 자신의 운동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스마트 상의 GPS센서를 이용한 걸음 가이드 시스템 '걸어보자'는 별도의 센서를 부착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GPS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루트를 제공한다.

안치실 및 염습실 종사자의 감염예방 가이드라인 연구 (Prevention Guidelines for Infection-associated funeral directors in Korea)

  • 황규성;정유진;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4호
    • /
    • pp.103-106
    • /
    • 2015
  •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장례종사자들의 질병감염에 대한 위험성과 감염예방의 중요성이 심도있게 연구되어 이에 관련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국내에서 장례종사자의 건강관리는 장례업자나 종사자 개인의 노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열악하며, 장례종사자의 감염에 대한 연구 및 역학 조사 등이 매우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장례지도사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노출가능성이 높은 질병, 개인위생, 물질적 및 공간적 관리에 대한 한국형 장례종사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모형을 제시하여 장례식장내 효율적 감염관리 및 장례종사자의 감염예방을 이루고자 하였다.

근로자건강진단 폐활량검사에서 새로운 신뢰성기준 적용 결과 (New Reliability Criteria for Korean Workers' Health Examination Spirometry Results)

  • 원용림;이화연;이지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76-283
    • /
    • 2023
  •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는 현재 2005년 미국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 ATS)와 유럽호흡기학회(European Respiratory Society, ERS)의 폐활량검사 표준화가이드를 준용하여 근로자건강진단 폐활량검사를 평가하고 있으며, 2019년 ATS/ERS가이드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새로운 평가기준에 따른 결과를 현재 결과와 비교해보고 우리나라 근로자건강진단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확인하기 위해 특수건강진단기관으로부터 수집한 325건의 폐활량검사 결과를 검토하였다. 외삽용적, 보정오차, FIVC 등의 평가기준을 더 엄격하게 적용하였음에도 검사의 신뢰성 점수가 상승한 기관이 더 많았다. 주요원인은 FEV1, FVC의 적합성과 재현성을 분리하여 판단함과 동시에 점수를 ATS 등급에 따라 차별 부여하므로 감점 폭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새로운 기준을 적용하면 현재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는 자료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검사자와 판정의사의 결과선별과 해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면 검사자와 수검자 모두가 검사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면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 감염관리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가이드라인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ial Design) 관점에서 (A Proposal of Guidelines for Developing the Mobile Application of Infection Controls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 Universal Design)

  • 김호다;주애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9
    • /
    • 2018
  • 세계는 급속도로 고령화가 되고 있고, 이러한 고령화 사회에서 국내 노인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건강관리문제와 감염 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유니버셜 디자인은 노인들을 위한 지지적, 수용가능, 접근가능한 안전한 디자인이다. 본 연구에서 유니버셜 디자인 관점에서 노인 감염 관리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유니버셜 디자인 관점에서 '보편적 접근성', '손쉬운 이용', '적은 물리적 노력', '시각화된 언어', '질병관리본부 수칙'은 노인에게 중요한 가이드라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유니버셜 디자인을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가이드라인들은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증가시켜 감염 관리 실천행위가 증강되는데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AI 챗봇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보안 가이드라인 (Data Security Guidelines for AI Chatbot Services)

  • 송현채;이혜인;이일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1-373
    • /
    • 2024
  •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디지털 치료제와 원격 의료 서비스가 의료 산업과 일상생활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비스가 보편화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 가공, 활용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남용되거나 유출되는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I 챗봇을 활용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위한 보안 위협 대응책을 마련하고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여 사용자들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는 AI 챗봇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보안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발달장애 문제행동 치료 가이드라인 제작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 Developing Guideline for Mediating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 홍경기;송호광;오매화;오윤혜;박수빈;김예니;최성구
    • 신경정신의학
    • /
    • 제57권2호
    • /
    • pp.190-208
    • /
    • 2018
  • Objectives To initiate and develop a treatment guideline in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for related professions who are either working and/or living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who show behavioral problems. Methods To collect and reflect opinions from multiple professions who assumedly have different interventions or mediations on behavioral problems, a self-report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FGI) were conducted for a group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behavioral therapis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ocial welfare workers, and caregivers. Results According to a self-report survey and FGI results from multiple professional groups, aggressive behavior is the mostly common behavioral problem necessitating urgent interventions. However, both mainly used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professional backgrounds, such as pharmacological treatment, parent training, and behavior therapy, even though they shared an importance of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In addition, there was a common understanding of necessity to include parent training in a guideline. Lastly the data suggested lack of proper treatment facilities, qualified behavior therapists, and lack of standardized treatment guideline in the field needed to be improved for a quality of current therapeutic services. Conclusion It is supported that several subjects should be included in the guidelines, such as how to deal with aggressive behavior, parent training, and biological aspects of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lso, it is expected that publishing the guideline would be helpful to above multiple professions as it is investigated that there are lack of treatment facility and qualified behavioral therapists compared to need at the mo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