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점형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es : The Case of Daedeok Science Town (과학기술거점의 진화: 대덕연구단지의 사례)

  • Song, Sung-Soo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9 no.1
    • /
    • pp.33-55
    • /
    • 2009
  • This article analyzes the evolutionary process of Daedeok Science Town from the standpoint of the lif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es. It deals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es, and investigates the history of Daedeok Science Town dividing into the period of conception, construction, and clustering. Daedeok Science Town has been developed from research and academic city through special research parks to innovative clusters, and nowadays emphasizes networking, interaction, and commercialization. This study shows the type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es can be analyzed by historical consideration of specific Korean case.

  • PDF

국내 마리나항만의 이용환경 개선방안 연구

  • Hong,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5-147
    • /
    • 2016
  • 국내 마리나항만은 마리나항만법 제 개정과 기본계획 수립 따라 거점형 마리나항만, 어촌마리나역, 계류형 해상부이 등 다양한 정책사업이 추진되면서 레저선박 이용여건이 개선되고 있다. 한편, 국내 해양레저 활동과 마리나항만 시설여건을 고려할 때 초기 수요시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이용자 환경에 부합되는 기반시설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마리나항만 조성과 관련된 정책환경 분석과 시설여건 분석을 통하여 해양레저 대중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App-based PPGIS Model Research for Community Regeneration Project Support (커뮤니티 재생사업 지원을 위한 스마트폰 앱 기반 PPGIS 모델 연구)

  • Oh, Myung-Woo;Koh, June-Hwan;Yoon, D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147-148
    • /
    • 2010
  • 낙후된 도시를 정비하는 방법으로 새로이 등장한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전면철거방식인 주택재개발사업이내 공동주택 건설방식과 비교하여 지역주민의 재정착 비율이 높고, 기존 도시 조직을 고려하며 점진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성시가지 정비수법으로 주목받아 왔다. 또한 지역의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황폐화된 구시가지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도시의 새로운 경쟁력을 찾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지역 커뮤니티를 근간으로 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효과적인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중요하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필수적인 요건이 되었고, 도시계획 역시 주민과 함께 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GIS도 주민과 같은 비전문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확대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행 주민참여 방식은 형식적인 수단에 불과하며, 주민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은 아직도 연구해야할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의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에서 능동적 주민참여를 좀 더 효율적으로 이끌어 내고자 사업정보제공서비스, 주민의사반영 서비스, 쌍방향적 의견교환서비스, GIS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재생을 위한 앱 기반 PPGIS 모델을 제안하였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급증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활용은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 비율의 변화를 크게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커뮤니티 재생을 위한 스마트폰의 앱 기반 PPGIS 모델은 정책결정자, 전문가 그리고 주민이 서로의 생각을 교환하고 이해하는데 또 다른 유용한 의사소통 도구가 되어 주민의 참여도를 높여 줄 것이라 기대된다 특히,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젊은층의 흥미를 유발하여 참여도가 낮은 젊은층의 참여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 여겨진다,

  • PDF

Establishing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 Chang, Yunkeum;Lee, Hye-Eun;Jeon, Ky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1 no.1
    • /
    • pp.337-35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practical guideline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Using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eight public library makerspaces across key elements, including space, size, staff, equipment, programs, and budget. This study finds that public library makerspaces should be built according to the library's size, budget, and purpose, and should also employ sustainable operating strategies. On that basis, this study suggests three models of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develop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the "craft" makerspace at the basic level, the "studio" makerspace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the "platform" makerspace at the regional level.

항만재개발지구의 복합형 마리나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Hyeong-Ha;Lee, Jung-U;Gang, Seo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7-29
    • /
    • 2012
  • 부산북항을 국내에서는 체류형 해양관광과 동남해안 관광벨트 중심의 해양관광 거점으로, 또한, 국제적으로는 해륙교통의 요충지 여건을 활용하여 교통인프라를 구축하여 유라시아 관광의 전초기지로 하기위한 친환경 워터프런트 및 시민참여형 항만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북항 재개발지구의 친수공간 배치계획에 따라 반영된 마리나 시설을 대상으로 국제해양관광의 거점조성 개발컨셉에 부합하는 마리나시설 개발을 정립하기 위하여 국내 및 해외 선진국의 마리나시설 개발사례에 대하여 국가별, 시설별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는 추후 국내 마리나 개발시 시사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아울러, 부산북항 마리나항만의 효율적인 개발과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인 절차, 정부의 지원정책, 개발방향, 사업시행방안, 관리운영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통하여 향후 국내 마리나 개발과 운영시 사례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Developing Strategies for a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y at a Regional Level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 -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

  • Rho, Jee-Hyun;Cho, Yong-Wan;Lee, Jae-Whoa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4 no.2
    • /
    • pp.167-195
    • /
    • 2013
  • According to the Korean Library Act, a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y is fully responsible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all collections held by local libraries. It intends to resolve space problem for collections and to prepare room for new materials in local libraries. Under the Act, a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y should make a plan for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to accomodate overflows from local library collections as soon as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meanings of 'regional repository library' as a cooperative storage facility of local library collections, and to suggest the proper solutions for developing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with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To the end, this study (1) examined the extent of space shortage in local libraries of Busan, (2) assessed the needs of both local libraries and library users for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and finally, (3) suggested the detailed procedure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naging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Demand Forecasting Method for Truck Rest Areas Beside National Highways (국도변 화물차휴게소 수요예측기법 연구)

  • Choi, Ch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6 no.2
    • /
    • pp.13-22
    • /
    • 2017
  •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new methodology for predicting the demand for truck rest areas beside national highways. Previous demand forecasting methods were reviewed first in order to complement them with additional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demand forecasting process, the primary task is to divide parking demands of trucks into short-term parking and long-term parking. Since short-term and long-term parking vary in utilization, congestion, and turnover rate, different influenc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parking time. Furthermore,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rest and convenience facilities need to be reflected as well, because they in turn affect the demand for truck rest areas. In sum, the demand forecasting process for destination-type truck rest areas on national highways requires more attention than that for truck rest areas on expressways, and possible influences of various factors should be examined in this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