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저리과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2초

식용곤충별 단백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capacity of protein hydrolysates from 4 different edible insects)

  • 장현영;박채은;이승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80-485
    • /
    • 2019
  • 열풍 건조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쌍별귀뚜라미 성충 및 갈색거저리 유충의 분말을 4% (w/v)의 기질용액으로 제조한 후, 단백질 분해효소인 alcalase를 기질 대비 1% (v/w) 첨가하여 8시간 가수분해 시킨 단백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각 식용곤충별 단백가수분해물의 특성과 실제 생산된 펩타이드의 양을 알아보기 위해 SDS-PAGE와 TNBS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가수분해가 우수하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8시간 가수분해 시 펩타이드 생산량은 갈색거저리유충이 2.45 mg/mL로 가장 높았고, 쌍별귀뚜라미 성충 1.48 mg/mL,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1.20 mg/mL, 장수풍뎅이 유충 0.74 mg/mL 순으로 나타났다. 각 식용곤충별 단백가수분해물(${\leq}3kDa$)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쌍별귀뚜라미 성충, 흰점박이꽃무지유충, 갈색거저리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순으로 나타나 쌍별귀뚜라미 성충 단백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p<0.05).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갈색거저리 유충, 쌍별귀뚜라미 성충, 장수풍뎅이 유충,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순으로 나타났으며(p<0.05), $H_2O_2$ 소거 활성은 네 가지 식용곤충 모두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FRAP법에 의한 환원력을 TEAC값으로 나타낸 결과, 쌍별귀뚜라미 성충이 다른 식용곤충들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환원력을 보였다(p<0.05). Linoleic acid에 대한 산화 억제활성 $100{\mu}g/mL$의 농도에서 비교 측정한 결과, 3일 째 음성대조군 대비 쌍별귀뚜라미 성충이 60.26%의 저해율을 보여 가장 우수한 항산화력을 보였다(p<0.05).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식용곤충 간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다양한 활성산소종을 대상으로 한 항산화 활성 측정 및 지질 산화 억제 활성 측정을 통해 종합적인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쌍별귀뚜라미 성충 단백가수분해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FRAP법에 의한 환원력 및 linoleic acid에 대한 산화 억제 활성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이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쌍별귀뚜라미 성충 유래 항산화 펩타이드 분리 및 분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능성 식품 및 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L) 분말을 활용한 닭가슴살 지방산 변화에 대한 조사 (Investigating Fatty Acid Content Change in Broiler Breast Meat Produced by Supplementing Feed with Tenebrio molitor L Powder)

  • 양희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979-982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Tenebrio molitor L Powder to broiler feed on fatty acid profiles in broiler breast meat. In total, 180 broiler chicks (1-day old Arbor Acres) were included. The bird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with 3 replicate subgroups each(30 birds per subgroup), and fed a diet for 35 days without (control) or with 1% Tenebrio molitor L powder (treatment). Among individual fatty acids, addition of Tenebrio molitor L. powder resulted in slightly higher C18:1n-9, C20:3n-3 and C20:3n-6 contents, and lower C18:2n-6 content compared withcontrols (p<0.05).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total SFA and total USFA content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inclusion of Tenebrio molitor L. in broiler diets did not improve overall fatty acid profiles.

한국산 미기록속 애기버섯벌레속(Cis Latreille)(딱정벌레목: 거저리상과: 애기버섯벌레과)에 속한 6 미기록종과 숙주버섯 (First Record of the Genus Cis Latreille (Coleoptera: Tenebrionoidea: Ciidae) from Korea, with Six Unrecorded Species with Host Fungi)

  • 정부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3-21
    • /
    • 2013
  • 한국산 애기버섯벌레과(Ciidae, Leach)에 속한 애기버섯속(Cis Latreille)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속에 속한 Cis boleti (Scopoli, 1763); Cis seriatopilosus Motschulsky, 1861; Cis mikagensis Nobuchi & Wada, 1955; Cis jezoensis Nobuchi, 1960; Cis sasajii Kawanabe, 2001; Cis hieroglyphicus Reitter, 1877 등 6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여 보고하였다. 또한 야외관찰과 실내사육을 통해 6종에 대한 숙주버섯을 처음으로 밝혀 보고 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산 애기버섯벌레속에 대한 분류학적 정보와 더불어 한국산 종들의 숙주버섯에 대한 생태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에서 추출한 펩타이드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Peptides Extracted from Tenebrio molitor Larvae)

  • 김삼웅;갈상완;지원재;방우영;박소정;김태완;방규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83-390
    • /
    • 2023
  • 본 연구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해 갈색거저리 유충 유래 추출물에서 새로운 생리활성 펩타이드를 확인하는 것이다. 동결건조된 T. molitor 유충에서 다양한 용매로 시간에 따라 추출하였다. T. molitor 유충 추출 결과 물 추출물에서 5시간과 10시간에서 총 단백질과 고형분 함량당 각각 가장 높은 2,2,1-diphenyl-1-picrylhydrazyl (DPPH) 활성을 보였다. 물 추출물을 메탄올 농도에 따라 분획하였을 때, 높은 메탄올 농도는 상등액 중에 고분자량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반면, 상등액의 DPPH 활성 수준을 증가시켜 저분자량 펩타이드가 항산화 활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용매 분배에서 부탄올을 제외한 유기 용매 분배에서 물층에서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유기용매분획물을 열처리 후 활성이 28~44% 감소하여 열에 대한 불안정한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물 추출물에 프로테아제 K를 첨가하면 DPPH 활성이 10~20% 증가하여 전체 단백질에서 방출되는 펩타이드가 항산화 활성을 부분적으로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T. molitor 유충 추출물은 항산화제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제의할 수 있다.

식용곤충 갈색거저리의 장기저장 및 생육 조절 연구 (Long-Term Storage and Growth Control of the Edible Mealworm Species, Tenebrio molitor Linnaeus)

  • 김찬욱;지상민;장규동;김소윤;송정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7-102
    • /
    • 2024
  • We introduce a method for preserving yellow mealworm (Tenebrio molitor Linnaeus) larvae for an extended period and show that a high percentage of larvae can survive in good health under low-temperature storage conditions combined with specific diapause termination conditions. Our study revealed that we can regulate important development stages such as pupation, emergence, and larval duration by adjusting these termination conditions. When storing larvae aged 6-8 weeks for 140 days, the storage temperature can be varied based on our goals, giving us control over yellow mealworm production to meet specific demands. To produce adult beetles, storing larvae at 15 ℃ with wheat bran and ending diapause at 30 ℃ resulted in 90% pupation rate, with 60% becoming adults in 21 days. If our aim is larvae production, storing them at 10-12 ℃ with wheat bran and ending diapause at 25-30 ℃ allows the larvae to reach a suitable weight for processing. This straightforward approach ensures long-term storage of yellow mealworm larvae and provides a practical way to control their development, allowing efficient mass production tailored to market demands.

갈색거저리 유래 저분자단백질체의 분석 (Proteomic Study for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in the Mealworm Tenebrio molitor)

  • 김일석;방우영;방규호;김삼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9-22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저분자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되는 단백질을 확인하기 위해 갈색거저리의 유충, 번데기, 성충의 저분자 단백질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분자 펩타이드 분석으로부터 유래된 54 단백질이 최종적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단백질 중 성체에만 존재하는 단백질이 가장 높은 빈도로 존재하였고, 그 다음은 성체와 유충에 동시 존재하는 단백질이 높은 빈도로 탐색되었다. 그러나 번데기를 포함하는 그룹들은 모두 낮은 빈도로 감지되었다. 분석된 단백질에 orthologous classification의 결과에서 일반적 기능 예견만(general function prediction only) 보이는 단백질이 가장 높은 빈도로 조사되었다. 크로마틴 구조와 동적상태(chromatin structure and dynamics)에 연관된 단백질은 비교적 높은 빈도로 탐색되었다. 또한, 아미노산 수송과 물질대사(amino acid transport and metabolism) 및 탄수화물 수송 및 물질대사(carbohydrate transport and metabolism)와 연관된 단백질도 높은 빈도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뉴클레오타이드 수송 물질대사, 코엔자임 수송 및 물질대사, 세포외 구조, 모빌로좀(mobilome), 및 핵 구조와 연관된 단백질은 전혀 탐지되지 않았다. 따라서 크로마틴, 아미노산, 탄수화물 물질대사와 연관된 단백질들이 보다 쉽게 저분자 펩타이드로 전환되어 체액 중에 잔존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 펩타이드들이 생리활성물질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갈색거저리 유충,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쌍별귀뚜라미 분말을 첨가한 쌀쿠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Tenebrio molitor, Protaetia brevitarsis, and Gryllus bimaculatus powder)

  • 장한별;백주연;최윤상;장혜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71-178
    • /
    • 2022
  • 본 연구는 곤충 3종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쌀쿠키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곤충 쌀쿠키의 밀도는 곤충 함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pH는 곤충 함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곤충 쌀쿠키의 퍼짐성은 곤충 함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손실율은 곤충 함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 쌀쿠키의 일반성분 중 조회분과 조단백질은 곤충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수분함량과 조지방은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곤충 쌀쿠키의 색도는 곤충 분말을 첨가할수록 L값과 b값은 감소하고, a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 쌀쿠키의 경도는 곤충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DPPH와 ABTS의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쌀쿠키(PBL)와 쌍별귀뚜라미 쌀쿠키(GBC)시료가 갈색거저리 쌀쿠키(TML)시료보다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색, 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쌍별귀뚜라미 쌀쿠키(GBC) 시료가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쌍별귀뚜라미를 5% 첨가한 GBC3시료의 결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단백질 함량과 항산화능이 높으며 관능평가에서도 우수한 쌍별귀뚜라미 쌀쿠키를 단백질 대체 쌀쿠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금류 사료에 갈색거저리 분말을 첨가시 가금생산성과 깔짚내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Mealworm (Tenebrio molitor L.) Powder in Poultry Diets on Poultry Production and Ammonia Emissions in Poultry Litter)

  • 양희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5-279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poultry production and ammonia emissions from poultry litter when the mealworm (Tenebrio molitor L.) powder was fed to broilers and ducks. In Experiment 1, a total of 180 1-day-old broilers (Arbor acres) were allocated to two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e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 Experiment 2, ducks were used in the same method as in Experiment 1.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basal diets as control and basal diets with 1.5% Tenebrio molitor L. powder as T1. In Experiment 1, broiler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mealworm powder (p>0.05). Ammonia from broiler litter was observ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treatments at 4 and 5 weeks (p<0.05); however, in other weeks ammonia measured did not show significance different (p>0.05). In Experiment 2, feeding of mealworm powder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duck productivity (p>0.05). Ammonia emissions from duck litt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wo treatments at 2 to 5 weeks (p>0.05);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at 6 weeks (p<0.05). Therefore, the addition of mealworm powder to broiler and duck diets did not only improved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but also effectively reduced ammonia in poultry litter.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치어 사료내 어분대체원으로서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이용성 (Utilization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As a Replacement of Fishmeal in the Diet of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정성목;김에스더;장태호;이용석;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72-377
    • /
    • 2017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artial replacement of fishmeal (FM) protein in a practical diet for rockfish Sebastes schlegeli juveniles with mealworm Tenebrio molitor meal (WM), in terms of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whole body composition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Four isonitrogenous and isoenergetic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8, 16, 24 and 32% WM (designated as WM8, WM16, WM24 and WM32). A FM-based diet without WM inclusion was used as a control. Triplicate groups of rockfish ($2.6{\pm}0.07g$) were hand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to visual satiation twice a day for 8 weeks. Weight gain of fish fed the WM32 diet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aily feed intake,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The whole-body protein content of fish fed WM0 and WM8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WM32 diet.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hematological paramet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M has potential as alternative to FM in practical diets for juvenile rockfish and can be used at an inclusion level of up to 24% without having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growth and feed efficiency.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의 냉장 저장 중 산화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Oxidative Stability of Tenebrio molitor Larvae During Cold Storage)

  • 김소영;손양주;김수희;김안나;이금양;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2-7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xidative stability of Tenebrio molitor larvae during cold storage at $4^{\circ}C$. Pretreatment for T. molitor larvae was designed into three methods: raw (R), freeze-dried (F.D.), and pan-fried (P.F.). The water content of the raw sample (61.46%)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samples (F.D.: 5.02%, P.F.: 3.67%) and its high water content was expected to facilitate the oxidation of the raw sample. In our results, the peroxide value and the carbonyl value of all of the samples increased and the raw sample, after storage for 18 day, showed the highest value. The pan-fried sample had no significant increase in its lactic acid content, acid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 whereas those values were increased in the raw sample and the freeze-dried sample (p<0.05). The browning reaction was more progressed in the pan-fried sample than other samples at 0 da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during the storage. The raw sample and the freeze-dried sample had their browning indexes increase with the increasing storage period (p<0.05). The pan-fried sample produced less oxidation products than the freeze-dried sample, indicating that the unheated sample was more susceptible to oxidation than the heated samples. In conclusion, heating treatment and low water content would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safety and stability of T. molitor larvae during cold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