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싯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역V형 가새 골조의 개선된 디자인 모델을 위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Investigation for Improved Design Models of Chevron Braced Frames)

  • 유정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73-78
    • /
    • 2009
  • 가새 골조는 내진 시스템으로 자주 사용되고 역V형 가새 골조 역시 종종 사용된다. 최근 연구는 가새 골조의 지진 성능은 지진 변형 요구의 직접적 고려를 통한 가새 골조 거싯 플레이트 연결부의 설계와 선택된 성능 레벨에 거싯 플레이트의 항복을 허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역V형 가새 골조의 지진 성능에 대한 거싯 플레이트와 골조 부재의 영향을 조사하고 개선된 디자인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했다. 골조 크기, 간극 거리, 거싯 플레이트 두께와 테이퍼 플레이트를 포함한 골조 디테일의 영향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연결부의 적절한 디테일은 골조 성능의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특히 거싯 플레이트 두께는 골조 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가새 골조에서 거싯 플레이트 연결부의 강성 평가 (Evaluation of Gusset Plate Connection Stiffness in Braced Frames)

  • 유정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05-113
    • /
    • 2009
  • 가새골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연결부 (거싯 플레이트) 강도, 강성, 연성이 골조 디자인에 직접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연결부의 강도는 지진력에 저항하도록 디자인 되어야하고 필요한 골조시스템의 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해야한다. 그리고 연결부의 강성은 구조요소와 연결부의 동적 반응과 변위 요구에 영향을 준다. 이 논문에서 지난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거싯 플레이트 연결부에 대한 현 디자인 모델을 검토하고 평가한다. 현 디자인 모델은 연결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주기엔 적절하지 못하고 실제 거싯 플레이트의 응력과 변위 상태는 비선형이고 굉장히 복잡하다. 구조 디자이너들은 시스템과 연결부의 성능을 대략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보와 기둥을 포함한 단순한 모델을 원한다. 이를 위해 단순화한 디자인 모델이 개발되고 평가된다. 이 모델은 비교적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연결부 강성 평가를 제공한다.

중심가새골조의 순단면 파단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f Net Section Fracture in Special Concentrically Braced Frames)

  • 유정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3-70
    • /
    • 2009
  • 파괴모드는 저항력과 비탄성 변형 능력의 저하를 일으키는 균열이나 파단으로 귀결된다. 특수중심가새골조의 잠재적 파괴모드는 가새의 균열이나 파단, 가새나 거싯 플레이트의 순단면 파단, 거싯 플레이트용접의 균열, 볼트의 전단균열, 블록전단파단, 그리고 거싯 플레이트의 좌굴 등을 포함하고 있다. HSS 튜브가새는 특수중심가새골조에 자주 사용되고, 가새의 순단면 파단은 거싯 플레이트가 가새로 삽입되는 홈의 끝부분에 가새의 순단면을 통해 발생한다. 이 파괴모드는 인장파괴모드로 분류되고 급격한 강도저하와 취성적인 거동을 보인다. AISC 디자인 규준에선 순단면 보강을 요구하고 있다 (AISC 2001). 이 논문에서, 순단면 보강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먼저, 미국 버클리대학교에서 수행됐던 순단면 파단실험을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한 이 실험의 모델링을 통해 소개한다. 실제 골조에서의 순단면 파단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홈이 있는 중심가새골조를 유한요소법을 이용 모델링 하고, 인장지배의 근거리지진 이력을 적용시킨다. 이는 이력이 순단면 파단의 가장 중요한 인자라는 이전 해석 결과에서 기인한 것이다. 순단면 보강의 필요성과 인장지배의 근거리지진 이력의 영향에 대해 조사한다.

기모노 슬리브 원형의 가동성 향상을 위한 슬리브 각도와 거싯 연구 - 30대 표준체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leeve angles and gusset for the improvement of movability in a basic Kimono sleeve - Focusing on the standard body type in their thirties -)

  • 권순교;정재철;박선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5호
    • /
    • pp.742-75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investigation on the gusset of a Kimono sleeve to achieve excellent movability through an evaluation of its fit wearing by conducting comparative research in terms of the length of the gusset pattern according to sleeve angle, which having a great effect on the wearing and activity of the top of a Kimono sleeve. A prototype was manufactured by developing the basic Kimono sleeve based on the method of Ernestine Kopp's basic bodice pattern. The sleeve angles which was applied to the prototype pattern of the Kimono sleeve ware approximately $50^{\circ}$, $70^{\circ}$ and the gusset was diamond-shaped which has a width of 10cm and lengths of 9cm, 10cm and 11cm. As a result, in the case of $55^{\circ}$ of the sleeve angle, the angle was gradually increased as the length of gusset was extended, although, in the case of $68^{\circ}$ of the sleeve angle, there was not remarkable effects between increased gusset length and the value of the angle. This result could be analyzed that the gusset did not affect remarkably since the sufficient movability was gained with only the angle in the case of $68^{\circ}$. Also, in the results of experiment on $55^{\circ}$ angle, as 9cm, 10cm and 11cm of length of gusset commonly indicated over $70^{\circ}$ in average, it was found that the movability was obtained sufficiently in every part.

기모노 슬리브 디자인 연구 -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기모노 슬리브의 디자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 (Study of design of kimono sleeve - Focused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kimono that appeared in 20th-century fashion -)

  • 권순교;박선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4호
    • /
    • pp.595-603
    • /
    • 2015
  • The influence of Japonism, which is the post-mid-$19^{th}$ century phenomenon of appreciating and preferring the Japanese style that manifested all across Western art, started to grow as a result of the active open-door policy of Japan at this time. As all areas of Japanese arts and culture,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and theater plays, influenced Europe and America, this influence developed into a cultural phenomenon that was reflected even in fashi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kimono first expanded from Paris and showed a similar silhouette to that of the traditional kimono in the early $20^{th}$ century, but towards the middle and the end of the century, kimono sleeves that were connected as one piece without a connecting seam line between the sleeve and bodice started to appear. The foundation of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kimono sleeves that can be seen in $20^{th}$-century fashion, and five varying kimono sleeve jackets and coats based on these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designed. Each design had a gusset design added, which improved the external and mobility problems inherent in kimono sleeve patterns, while at the same time serving as a proposal for new design element applications. Additionally, through various changes to and attempts at designs using the kimono sleeve as a limiting factor, new design possibilities were expl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