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부감

Search Result 29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he Research of Disapproval in Silver Products - Testified via Electric Wheelchair - (실버 제품의 거부감에 관한 연구 - 전동 휠체어를 통한 검증 -)

  • Cui, Xing;Lee, Hee-Chang;Cho, Kwang-S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2
    • /
    • pp.317-326
    • /
    • 2010
  • The preparations for aging society are in progress at various fields while the related businesses are also actively in progress at each part of the society. At the same time, many countries that have entered aging society at an early stage are also solving various problems of the aging society by performing a continuous research on elderly industry. While disapproval could be generally called an emotional attitude 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from experience, how this disapproval is shown in elderly group and general public group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research, we could see that disapproval is shown as formative disapproval and semantic disapproval while it could be seen that a more sensitive reaction is shown toward semantic disapproval than formative disapproval in the silver group and people reacted to both semantic disapproval and formative disapproval in the general public group. Using these results, a hypothesis was set up and as a step to verify this hypothesis, an electric wheelchair for elderly to perform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rough this study, we have attempted to present a design development methodology to reduce a sense of disapproval toward elderly group of people and prepare for the aging society to come in the future by setting the design objectives.

  • PDF

A Study on Sampling of Estimation Factor for The Aversion of Normal Electric Wheel Chair (일반 전동휠체어의 거부감을 위한 평가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 Choe, Seong;Jo,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5-118
    • /
    • 2009
  •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다양한 실버제품들이 이들을 위해 출시되고 있으나, 이들이 느끼는 실버 제품의 거부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사전에 연구된 실버 제품의 거부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 가설을 검증하도록 한다.

  • PDF

Display Types for Alleviating Negativ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s Attached to Web Articles (인터넷 신문기사에 첨부된 광고의 거부감 경감을 위한 광고 제시 방식)

  • Yu, Hyun-Jin;Lim, Seong-Taek;Chung, Jin-Gu;Lee, Ju-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54-559
    • /
    • 2007
  • 최근 인터넷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람들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행위들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초고속 통신망의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 쇼핑몰과 상거래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터넷을 매체로 하는 광고기법 또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인터넷을 통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인터넷 신문기사 주변에 배치된 배너광고, 팝업광고 등 여러 가지 시도들이 있어왔다. 이러한 시도들은 인터넷 사용자의 편의에 대한 고려보다는 광고내용을 얼마나 잘 전달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광고내용이 잘 전달된다 하더라도 소비자가 그 광고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면 과연 인터넷 광고효과가 높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팝업광고에 대한 대응책으로 개인적으로 팝업 블록커(pop-up blocker)를 사용하겠는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사람들이 팝업 블록커를 이용해서라도 팝업광고를 피하고자 하는 비율이 77%에 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Windows XP 서비스팩 2 이후의 버전은 인터넷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자동 팝업 차단기능을 갖추고 있는 실정이다. 팝업광고를 통해 아무리 높은 정보전달 효과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들은 팝업광고에 대하여 거부감이나 부정적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광고정보가 전달된다 하더라도 팝업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편함이 그 광고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 전이되어 광고대상에 대한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광고효과는 극대화하면서, 혹은 기존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인 광고형태를 찾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신문기사에 첨부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광고 제시 방식을 찾고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너와 팝업 등 두 가지 광고 제시 방식과 전면에 돌출하지 않는 형태로 인터넷 신문기사의 배경에 삽입된 광고 제시 방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신문기사 영역의 주변 특정 부분(코너나 중간 부분 등)에 광고를 삽입한 배너 형태의 광고와 인터넷 신문기사 위에 광고가 돌출 등장하여 콘텐츠를 가리는 팝업 형태의 광고 제시 방식보다 새롭게 제안된 백그라운드 형태의 광고 제시 방식이 인터넷 신문기사를 읽는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이며 동시에 광고효과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인터넷 광고 제시 방식으로 활용한다면 인터넷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방해하여 발생하는 명시적인 거부감(explicit negative attitude)을 줄이면서도 암묵적인(implicit)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2D Strategy Mobile Game on Body Infection (감염을 소재로 한 2D 전략 모바일 게임)

  • Kim, Soo Kyun;Im, WonGkyu;Gwon, Giseok;Choe, Junyeong;Jung, JinYoung;Jang, Soo-Jin;An, Syung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95-9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신체기관에 대한 거부감을 귀여운 스프라이트를 사용하여 거부감을 완화 시키고 플랫폼을 모바일로 사용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플레이 할 수 있는 게임을 개발한다. 신체 감염을 소재로 한 제안 게임은 신체를 보호하는 위주의 게임에 반대적인 신체를 감염시키는 흥미로운 느끼게 하는 게임으로 신체기관이 대해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요소를 귀엽고 심플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거부감을 덜게 하였고 플랫폼을 모바일로 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플레이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 PDF

A Study on Rejection and Acceptance for Innovative Produ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 Based on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of Mobile Phone Users - (정보기술 혁신 제품에 대한 거부와 수용에 관한 연구: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의도를 중심으로)

  • Kwon, Soon-Hong;Lim, Y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211-2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혁신 제품이 출시되었을 때 소비자가 수용하는 과정에서 혁신 제품의 유용성 기대와 혁신제품에 대한 거부의 요인에 의해 사용의도가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혁신 제품의 수용과정을 연구하였다. 휴대전화 사용자들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기술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유용성 기대는 사용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혁신 제품에 대한 거부감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 기대는 거부감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혁신 제품에 대한 유용성 기대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요인이 있었고, 기존 제품에 대한 만족은 유용성 기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자의 혁신 제품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소비자의 기존 제품에 대한 만족과 소요되는 노력 예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에 근거하여, 소비자가 정보기술 혁신 제품에 대해 유용성을 기대하더라도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면 해당 제품을 사용할 의도를 갖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 PDF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K-CRSQ) (한국판 아동용 거부민감성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

  • Hong, Sang-Hwang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 /
    • v.11 no.3
    • /
    • pp.351-36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K-CRSQ).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CRSQ,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86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 :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 -retest reliability of the K-CRSQ were .83~.89, .72~.79, respectively. To test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participants were separated into two samples and administered the K-CRSQ and ten validity indices. The correlation of K-CRSQ and validity indices scores suggested that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high. High rejection sensitivity group revealed high score on intentional attribution,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In contrast, low rejection sensitivity group revealed high score on self-esteem,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 효과)

  • Lee, Yun Ju;Ahn, Sung-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3
    • /
    • pp.371-379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appiness among nursing students. From May 30 to June 10, 2018, 214 nursing students from a university were selected for convenienc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degree to which the rejection sensitivity of nursing students is mediated by self-esteem and happiness was determined following the guidelines of Baron and Kenny, and the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happiness among nursing students(r=.62,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happiness(r=-.33, p<.001). A partially mediated effect (Z=3.769, p<.001) of rejection sensitivity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education and activity programs are needed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and help them maintain a satisfactory college life.

Influence of Self Efficacy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거부민감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Eun-Hee Jang;Jiseok Yang;Jae-Gyu Song;Ji-Yun Kim;Minseo Kim;Seojin Yang;Jung-Yeon Lee;Seong-A Ju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2 no.5
    • /
    • pp.127-136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lf-efficacy and rejection sensi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ir college life adjustment, as well as to identify the impact of self-efficacy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 online survey via URL was conducted on 154 enrolled students from nursing colleges nationwid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statistical software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was 3.80±0.63 points, rejection sensitivity was 2.67±0.83 point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was 3.58±0.54 points. The factor influencing the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self-efficacy (β=.42, p<.001), while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r=-0.24, p=.003), but it was not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programs for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to enhance self-efficacy in order to improve the adjust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o college life.

Robust Face Recognition Using Local Histogram equalization Under Changing illumination Environment (지역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조명환경에 강인한 얼굴인식)

  • 장일권;정은성;이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727-729
    • /
    • 2004
  • 최근 정보 보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및 인식을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인증 및 인식 기술은 생체 정보를 가지고 사람을 구별하는 기술을 말하며 신뢰성과 편리성에 있어서 기존의 다른 보안 시스템의 한계점을 보완해 줄 것이다. 현재 연구되고 있는 얼굴 인식 기술은 생체인식 중에서 이용자들에게 가장 거부감이 적은 기술이다. 얼굴인식의 장점은 다른 생체인식 기술이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한 동작을 취하도록 요구하는 것과 달리 비접촉으로 자연스럽게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검사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거부감이 적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