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문도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초

거문도 연안 갯고사리류 (극피동물문, 바다나리강)의 4한국미기록종 (Four Species of the Shallow-water Comantulids(Echinodermata, Crinoidea) from Geomundo Island; New Records in Korea)

  • Shin, 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251-262
    • /
    • 2001
  • 거문도 해안의 조하대에서 채집된 갯고사리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바다나리목(Comantulida). 깃갯고사리과 (Comasteridae)의 가는밭깃갯고사리(Comantheria intermedia), 일본깃갯고사리(Comanthus japonicus), 햇님깃갯고사리 (C. solaster), 그리고 작은발깃갯고사리 (C. parvicirrus)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보고한다. 갯고사리류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 PDF

거문도 해산해면류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Marine Sponges of Komundo Island, Korea)

  • 이경진;심정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141-152
    • /
    • 1999
  • 1994년 7월부터 1995년 9월까지 거문도와 부근섬으로부터 잠수부에 의해서 채집된 해산 해면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1강 7목 19과 26속 36종으로 밝혀졌다. 이중 4종 Stelletta japonica Lebwohl, 1914(왜별해면), Caminella velata Lebwohl, 1914(껍질가마해면), Stylohalina hirta Topsent, 1898(거친침상해면) 그리고 Esperiopsis rugosa Thiele, 1905(주름발톱해면)이 한국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었다.

  • PDF

거문도의 근대적 어업 기술 도입에 따른 지역 변화 (The Modernization of Fishery Technology and Local Changes in GeomunDo Island, Korea)

  • 이철우;박민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35-448
    • /
    • 2009
  • 본 논문은 소규모 변경도서인 거문도를 대상으로 새로운 어업기술과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지역변화를 연구하였다. 새로운 제도와 기술의 도입에 따른 지역 내 변화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급적인 어업은 상업적 어업으로 변화되고, 늘어난 어획물 처리를 위한 제도와 설비의 확충이 나타난다. 즉 어시장의 개설, 수산 가공업의 발달 등 수산업분야의 성장은 지역 내 산업 구조 변화로 드러난다. 본 논문은 이와같은 변화를 새로운 문화 요소의 이식과정과 이식된 문화요소가 지역 내 원질 문화와 결합하는 토착화 과정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새로운 문화 요소가 이식될 때 수용과 토착화 과정은 동일 지역 내에서도 각 문화 요소별로 상이한 속도와 양상을 나타내며, 집단 간의 반응 양상도 선별적으로 드러난다.

  • PDF

한국 거문도 주변 새우조망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Shrimp Beam Trawl Fisheries in the Adjacent Waters Geomundo, Korea)

  • 오택윤;김주일;고정락;차형기;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1호
    • /
    • pp.63-76
    • /
    • 2003
  • 전라남도 여수시의 거문도,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에서 1998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12회 걸쳐 새우조망에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의 수심은 20∼80m이고, 이 해역의 저층 수온의 연중범위는 8.3∼21.3$^{\circ}C$이며, 저질은 니질대 또는 사니질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류는 총 11과 26속 37종 702,681개체가 출현하고 우점종은 그라비새우 48.52%, 긴줄꼬마도화새우 21.83%, 민새우 11.25%, 대롱수염새우 7.24%로 나타났다. 꽃새우, 민새우, 그라비새우는 15개 전 정점에서 골고루 출현하였으며, 대롱수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긴줄꼬마도화새우는 거문도 주변해역(C구역)에서 출현하였으며, 중하, 긴발딱총새우는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A, B구역)에서만 출현하였다. 군집구조를 나타내는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정점 13에서 0.73과 0.61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정점 4에서 0.14, 0.11로 가장 낮은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정점별 군집의 유사도에 의하면 같은 수역인 정점 1, 7에서 0.673으로 가장 유사하고, 유사도 0.25 수준에서 거문도수역 집단(정점 10, 11)과 초도, 손죽도수역집단(정점 1∼9)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거문도 인근해역의 꽃새우, Trachysalambria curvirostris의 성숙과 성장 (Maturation and growth of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in the coastal water of Geomundo, Korea)

  • 오택윤;최정화;차형기;김주일;고정락;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2호
    • /
    • pp.120-127
    • /
    • 2003
  • 우리 나라의 서해와 남해 연안을 분포하는 꽃새우는 북쪽으로는 강화도에서 남쪽으로 사랑도까지 널리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거문도 인근해역 꽃새우의 암ㆍ수 성비는 암컷이 48.6%로 나타났고, 이 개체군은 7월과 8월에 성숙하고, 년 1회 신생 개체군이 발생되었다. 교미한 개체는 7월과 8월에 출현하기 시작하고, 갑각장 19 ㎜ 이상의 암컷에서는 반 이상이 교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도지수는 7-8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최소 성숙개체는 갑각장 18 ㎜이고, CL/sub 50/ 성 성숙체장과 교미체장은 각각 갑각장 18.89 ㎜와 19.19 ㎜로 나타났다. 체장 빈도 변화에 의해 추정된 거문도 개체군의 수명은 암컷 14-15개월이고, 수컷은 13-147개월 나났다.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추정된 성장계수(K)는 암ㆍ수 각각 1.40/년과 2.00/년이고, 최대 갑각장(L/sub ∞/)은 암ㆍ수 각각 29.54 ㎜와 18.95 ㎜이었으며, 암컷이 수컷 보다 성장이 빠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