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리 공간

검색결과 2,400건 처리시간 0.028초

최적탐색거리를 이용한 최근접질의의 처리 방법 (The Method to Process Nearest Neighbor Queries Using an Optimal Search Distance)

  • 선휘준;황부현;류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9호
    • /
    • pp.2173-2184
    • /
    • 1997
  •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취급되는 여러 유형의 공간질의들 중 주어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공간객체를 찾는 최근접질의는 매우 빈번히 발생한다. 최근접질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색인에서 검색되는 노드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방법은 이차원 검색공간에서 최근접질의의 처리만을 고려하였으며, 검색되는 노드의 수를 정확히 줄이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탐색거리를 제안하고 그 특성을 정리하였었다. 제안된 최적탐색거리는 최근접질의 처리시 검색될 노드들을 정확히 선정하기 위한 새로운 검색거리 측도이다. 우리는 최적탐색거리를 R-트리에 적용한 최근접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기존의 방법에 비해 질의처리의 결과가 더 정확함을 증명하였다.

  • PDF

클러스터링 분석에 의한 공간데이터마이닝 방법 (A Spatial Data Mining Method by Clustering Analysis)

  • 손은정;강인수;김태완;이기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161-163
    • /
    • 1998
  • 지리정보시스템과 같이 방대한 양의 공간데이터를 다루는 응용시스템에서 공간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규칙적인 특성이나, 혹은 관심 있는 지식을 추출해내는 공간데이터마이닝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방법들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대표적인 방법이 클러스터링으로 이는 단지 기하학적인 거리에 기반을 둔 공간적인 집중성과 분포도를 찾는 데에만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공간데이터마이닝을 위해서는 공간클러스터가 형성된 원인을 분석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 클러스터링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른 공간적인 객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공간적 집중성과 분포도를 유발하는 원인을 찾는 방법을 다룬다. 우선 몇 가지의 거리를 정의하는 것에 의해 클러스터와 공간객체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생성된 공간 클러스터가 다수의 공간객체에 영향을 받을 경우, 그 공간 클러스터를 각각 단위클러스터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시각 콘트라스트 감도 함수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The orientation property of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 김헌수;조경미;남궁지나;오은규;김정희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4-155
    • /
    • 2000
  • 인간이 인지하는 디스플레이 화질은 디스플레이 및 시각계의 시간적·공간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고 한다. 이때, 시각계의 공간 특성은 공간적 콘트라스트 감도 함수(Spatial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공간적 CSF, 이하 CSF로 표기)로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휘도 격자의 CSF는 휘도 및 시청 거리(디스플레이와 피험자간 거리)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CSF의 기본 특성에 대해 검토하고, 향후 이를 디스플레이의 화질평가 척도에 이용하는 것에 있다. (중략)

  • PDF

픽셀간의 칼라공간에서의 거리와 이웃관계를 고려하는 클러스터링을 통한 칼라영상 분할 (Color image segmentation based on clustering using color space distance and neighborhood relation among pixels)

  • 김황수;이화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532-53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칼라공간상의 거리와 이웃정보를 이용한 클러스터링을 통한 칼라영상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픽셀들을 이웃관계를 유지하여 칼라공간으로 매핑한다. 칼라공간상에서 이웃하는 픽셀들을 클러스터링하여 영상의 세그먼트들을 찾는다. 클러스터링 방법으로서 인력을 모방하는 클러스터링(gravitational clustering)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으로 클러스터의 중심값과 클러스터 수를 미리 정해주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gravitational 클러스터링에서 찾은 클러스터 수를 가지고 다른 클러스터링 방법에 입력으로 주어 결과를 비교해 본다. 본 논문에서는 이웃관계를 따라 클러스터링하는 것이 정확한 경계선을 찾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 PDF

다차원 공간에서 거리조인 질의처리를 위한 R-트리의 효율적 접근 (Efficient Accesses of R-Trees for Distance Join Query Processing in Multi-Dimensional Space)

  • 신효섭;문봉기;이석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9권1호
    • /
    • pp.72-78
    • /
    • 2002
  • 거리조인은 R-트리를 사용하여 두 공간 데이터 집합 사이의 데이터쌍을 거리 상 가까운 순으로 검색하는 공간조인이다. 거리조인은 R-트리를 하향식으로 순회하면서 생성되는 노드쌍들을 거리값 순으로 우선순위 큐에 저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거리조인 처리시 우선순위 큐 안에서 동점자 노드쌍들의 우선 순위 정책이 알고리즘의 성능을 많이 좌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이를 위한 최적화된 2차 우선 순위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이 다른 기법에 비하여 항상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거리공간에서의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in Metric Spaces)

  • 임종태;박용훈;서동민;이진주;장수민;유재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7호
    • /
    • pp.809-813
    • /
    • 2010
  • 최근의 기업중심의 서비스를 위해서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가 연구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리버스 스카이라인에 대한 연구는 모두 다이나믹 스카이라인을 기반으로 한 리버스 다이나믹 스카이라인이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거리공간에서의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스카이라인에 적용 가능하고 거리공간을 고려한 리버스 스카이라인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공간 색인을 활용하여 거리공간에서 리버스 스카이라인을 처리하며, 객체의 단색적인 환경과 양색적인 환경을 모두 고려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해 제안하는 기법과 기본적인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과의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의 기법보다 약 5000배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도시공원 벤치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개인적 거리 - 여의도 공원을 대상으로 - (Use Behaviour and Personal Distance of the Bench Users in Urban Parks - Focused on Yeouido Park -)

  • 윤희정;김현주;신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2-61
    • /
    • 2015
  • 개인적 거리는 동시대 도시민들의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 사회심리적 수용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심리학의 기초개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 조경공간 중 하나인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벤치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개인적 거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의도 공원의 벤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Blind observation과 Pictorial analysis를 도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남성과 여성그룹의 경우 평균 개인적 거리가 47.5cm로 가장 짧았고, 여성 집단의 경우 53.2cm, 남성집단의 경우 70.3cm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전 서양인들을 대상으로 한 개인적 거리 연구들을 대부분 지지하지만, 일부의 경우 한국인이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이 더 좁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형 점자료에 있어서의 시.공 복합 군집의 탐색 (Detecting Space-Time Clusters in Linear Point Data)

  • 홍상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25-33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시.공 복합적인 선형 점 자료를 대상으로 시간과 공간을 함께 고려했을 때 자료 내에 군집(cluster)-시.공 복합 군집(space-time cluster)-이 존재하는 가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실제 교통사고지점의 분포자료를 분석하여 군집의 유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통계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첫째, Knox의 분할표 방법과 Mantel의 역수 변환을 이용한 일반화된 회귀분석방법 모두 임계 거리 및 임계 시간 간격의 선택이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러한 임의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임계 거리 및 임계 시간 간격(혹은 부가 상수)에 대해 반복 실험한 결과, 일부 임계값의 조합에서 시간과 공간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셋째, 시.공 복합 군집의 파악에 가장 적합한 임계 거리와 임계 시간 간격은 공간적으로는 7000m, 시간적으로는 14일 혹은 21일이다. 마지막으로, 통계 분석과정에서 자료에 존재하는 중복 기록 사고들의 존재가 밝혀짐으로써 시.공 복합군집 검증이 탐험적 자료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의 도구로서 가지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그리드 셀 기반 공간 클러스터링 방법 (Grid Cell Based Spatial Clustering Method)

  • 이동규;정정수;문상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10-12
    • /
    • 2001
  •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임시적이고 유용한 지식을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공간데이터 마이닝은 데이터양의 급격히 증가하면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공간데이타 마이닝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은 중요한 분야이며, 이를 위해서는 공간 클러스터링 과정이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 클러스터링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클러스터링에 드는 비용의 감소와 점 공간객체에 한정된 클러스터링이 아닌 선 및 다각형 객체들의 클러스터링도 가능해야 한다. 본 본문은 이를 위하여 공간지역성을 보장하는 대표적인 공간분할 방법인 그리드 셀을 이용한다. 기존의 클러스터링에서 사용되는 객체들 간의 거리 계산을 인접한 그리드 셀들 간의 관계 연산으로 대체시키는 것이 핵심아이디어이다. 이 방법은 기존 클러스터링에서 객체들 간의 거리 계산으로 인한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선 및 다각형 객체들의 클러스터링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 PDF

난이도-거리 상관관계 기반의 문제 인스턴스 공간 분석 (Analyzing Problem Instance Space Based on Difficulty-distance Correlation)

  • 전소영;김용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14-424
    • /
    • 2012
  • 문제 인스턴스 탐색 혹은 자동 생성은 알고리즘 분석 및 테스트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계산 이론 등 다양한 수준에서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解) 공간에 사용된 목적값-거리 상관관계 분석을 문제 인스턴스 공간에 적용하였다. 문제 인스턴스의 목적값은 문제에 따라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과 최적해를 잘 구하는 정도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는 문제 인스턴스의 난이도로 해석할 수 있다. 상관관계는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알고리즘과 거리 함수에 따른 상관관계 차이, 둘째, 알고리즘의 개선 전/후의 상관관계 변화, 셋째, 문제 인스턴스 공간과 해당 문제의 해 공간 사이의 연관성. 본 논문은 문제 인스턴스 공간에 상관계수 분석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보여주며, 문제 인스턴스 공간 분석을 본격적으로 다루는 첫번째 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