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리장

Search Result 89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RET을 이용한 근접장 현미경 개발

  • Park, Chung-Hyeon;Lee, Gyu-Seung;Jo, Y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52-352
    • /
    • 2010
  • 일반적인 근접장 현미경은 광섬유 팁 (tip) 끝에 수십 nm 크기의 구멍을 이용하여 근접장을 발생시키거나 측정한다. 근접장은 전파되는 빛보다 미세한 구조의 정보를 반영하게 되는데 수십 나노미터의 구멍대신 FRET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이라는 현상을 근접장 현미경에 적용하고자 한다. 10 nm 이내의 거리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이 현상을 이용하여 광학적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RET 현상의 도우너(donor)로서는 양자점을 사용하였으며 억셉터(acceptor) 로서는 Cy5 염료를 사용하였다. 팁으로는 광섬유를 에칭한 팁에 Cy5 염료를 코팅한 팁과 광섬유의 코어(core) 부근에 양자점이 포함된 광 폴리머를 응고시켜서 만들어진 팁을 사용하였다. 팁에 위치한 도우너와 시료로 사용되는 억셉터를 FRET 상호 작용 거리 내로 접근시키기 위하여 tuning fork를 이용한 shear force control을 사용하였다. 한 점에서의 접근 과정에서 FRET의 현상의 특징으로서 도우너인 양자점의 형광이 약해지고 Cy5의 형광이 강해지는 것을 측정하였다. 또한, 양자점을 Cy5 염료에 근접시켰을 때 발광 생존시간 (lifetime)이 짧아지는 것을 관찰하여 FRET 현상을 재확인 하였다.

  • PDF

Tetrahedral Meshing with an Octree-based Adaptive Signed Distance Field (옥트리 기반의 적응적 부호거리장을 이용한 사면체 요소망 생성)

  • Park, Seok-Hun;Choi, Min-Gyu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8 no.1
    • /
    • pp.29-34
    • /
    • 2012
  • High-quality tetrahedral meshes are crucial for FEM-based simulation of large elasto-plastic deformation and tetrahedral-mesh-based simulation of fluid flow. This paper proposes a volume meshing method that exploits an octree-based adaptive signed distance field to fill the inside of a polygonal object with tetrahedra, of which dihedral angles are good. The suggested method utilizes an octree structure to reduce the total number of tetrahedra by space-efficiently filling an object with graded tetrahedra. To obtain a high-quality mesh with good dihedral angles, we restrict the octree in such a way that any pair of neighboring cells only differs by one level. In octree-based tetrahedral meshing, the signed distance computation of a point to the surface of a given object is a very important and frequently-called operation. To accelerate this operation, we develop a method that computes a signed distance field directly on the vertices of the octree cells while constructing the octree using a top-down approach. This is the main focus of the paper. The suggested tetrahedral meshing method is fast, stable and easy to implement.

The Method of Tunnel Blasting for the Vibration Control by Deck Charge and Multiple Cut (다단장약에 의한 V-cut 발파공법의 진동제어효과와 발파효율증대에 관한 연구)

  • 두준기;양형식;김형건;김용국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1 no.3
    • /
    • pp.1-10
    • /
    • 2003
  • 터널굴착발파공법의 하나인 V-cut발파공법은 터널굴착기술이 발전되는 과정에서 초기에 개발되어진 기술이나 작업의 간편성과 효율성으로 인하여 많은 터널굴착공사에서 이용되고 있는 발파공법이다. V-cut발파공법은 일자유면 상태에서 V형으로 심발공을 발파하고 심발공에 의해 형성된 자유면을 이용하여 확대공으로 굴착공간을 넓히는 발파 방법이며 심발발파의 굴진장에 의해 단일발파당 굴진장이 결정된다. V-cut발파법이 개발된 이래 V-cut발파의 굴진장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심발발파공의 구속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조심발공을 발파하여 형성된 자유면에 의해 심발공의 최소저항선거리를 줄여 발파하였으나 심발공의 구속저항이 감소되지 않아 발파효율이 증대되지 않았으며 발파진동 또한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소저항선거리의 감소효과에 대한 발파기술상의 이론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V-cut발파법의 심발공에 대한 구속저항감소효과가 발현될 수 있는 조건들을 검토하여 최소저항선거리의 감소효과가 발현될 수 있는 조건을 제시 하여 심발공의 발파효율을 증대시키고 발파진동이 적어지는 발파방법을 제안하려 한다.

Offsetting of Triangular Net using Distance Fields (거리장을 이용한 삼각망의 옵셋팅)

  • Yoo, D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4 no.9
    • /
    • pp.148-157
    • /
    • 2007
  • A new method which uses distance fields scheme and marching cube algorithm is proposed in order to get an accurate offset model of arbitrary shapes composed of triangular net. In the method, the space bounding the triangular net is divided into smaller cells. For the efficient calculation of distance fields, valid cells which will generate a portion of offset model are selected previously by the suggested detection algorithm. These valid cells are divided again into much smaller voxels which assure required accuracy. At each voxel distance fields are created by calculating the minimum distances between corner points of voxels and triangular net. After generating the whole distance fields, the offset surface were constructed by using the conventional marching cube algorithm together with mesh smoothing scheme.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this new offset method was demonstrated by performing numerical experiments for the various types of triangular net.

Efficient Calculation of Distance Fields Using Cell Subdivision (셀 분할을 이용한 거리장의 효율적 계산)

  • Yoo, D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5 no.3
    • /
    • pp.147-156
    • /
    • 2008
  • A new approach based on cone prism intersection method combined with sorting algorithm is proposed for the fast and robust signed distance field computation. In the method, the space bounding the geometric model composed of triangular net is divided into multiple smaller cells. For the efficient calculation of distance fields, valid points among the triangular net which will generate minimum distances with current cell are selected by checking the intersection between current cell and cone prism generated at each point. The method is simple to implement and able to achieve an order of magnitude improvement in the computation time as compared to earlier approaches. Further the method is robust in handling the traditional sign problems.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method was demonstrated by providing numerous examples including Boolean operation, shape deformation and morphing of complex geometric models.

Simulation Modeling of Range and Acceleration Measurement Instruments for Satellite Formation Flying (편대비행 위성용 거리 및 가속도 관측기 시뮬레이션 모델링)

  • Kim, Jeong-R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2
    • /
    • pp.75-83
    • /
    • 2005
  • NASA/DLR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 mission, which consists of two co-orbiting low altitude satellites, is to measure the Earth gravity field with unprecedented accuracy. Its key instruments include inter-satellite ranging systems and three-axis accelerometers. For the preliminary design and requirements analysis, extensive instrument simulation models are developed. These modeling techniques and orbit-gravity field estimation techniques are described.

Suggestions of an Equation for Vibration Level Influenced by Total Charge (총장약량이 진동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고)

  • 양형식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0 no.1
    • /
    • pp.77-82
    • /
    • 2002
  • 환산거리 예상식에 의한 진동의 예측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환산거리는 거리와 지발당 장약량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환산거리가 같다고 하여 진동수준이 같은 것은 아니며, 많은 실무자들이 총장약량이 증가함에 따라 진동이 커지는 경향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장약량이 진동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진동 예측식을 제안하였고, 이 식을 기존의 계측자료에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며, 일정한 범위 내에서 진동속도에 미치는 총장약량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음을 보였다

Effec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injectors on penetration and mixing characteristics of the jet in supersonic crossflow (수평 배치된 분사구의 배치 간격에 따른 초음속 유동장 내 분사 유동의 침투 및 혼합 특성)

  • Kim, Sei Hwan;Lee, Hyoung Jin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2 no.4
    • /
    • pp.81-89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a numeric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injectors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w structure, fuel penetration, and air/fuel mixing. Numerical results were validated with experimental data using a single injection. Subsequently, the same injector geometry and properties were applied on a non-reacting flow simulation with multiple injectors. Total pressure loss, penetration height, and mixing efficiency were compared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inje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injected gas merged into a single stream, resulting in the 2D-like flow fields under the condition of short distance and lower mixing efficiency along with higher total pressure los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injectors increased, total pressure loss reduced and mixing efficiency increased due to the weakening of interactions between the injected gases.

Who Knows the Final Destination of a Roadmap Siting the Korea RDF Project Center Struggled for 18 Years? (18년 끌어온 "원전센터" 로드맵은?)

  • 주승환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37 no.4
    • /
    • pp.51-54
    • /
    • 2004
  • 이희범 산업자원부장관은 지난달 6월 24일 강현욱 전북지사를 만났다. 전라북도 보도 자료(1)에 따르면, 두 사람은 거기서 두통거리 국책사업인 '원전센터' 부지 선정에 대한 얘기들을 주고받았다. 한쪽은 사업추진 주체의 장이요, 다른 한쪽은 부안사태가 일어났던 광역단체의 장이라 둘 사이에서 오간 대담들은 세간의 이목을 끌만한 뉴스 거리였다. 하지만, 중앙일간지들은 애써 보도를 자제했다. "참새들은 방앗간을 그대로 지나치지 않는 법인데....", 무슨 사정이 있었을까? 둘은 하소연하듯, 각자 그 문제를 자기 방식대로 풀려고 했을지도 모른다. 보도자료 틈새에서 느낄 낌새는 문제로 안겨진다. (중략)

  • PDF

Optimizing Gate Assignment at Airport Terminal Using LINGO (LINGO을 활용한 공항터미널 주기장 배정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

  • 이희남;이공섭;이창호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63-268
    • /
    • 2002
  • 국내 공항에서 보유하고 있는 제한된 주기장에 대한 이용률과 주기되어 있는 항공기의 탑승에 소요되는 시간 및 도보거리는 공항의 운영 및 승객의 편리성 평가에 주요한 척도가 되고 있으며, 공항의 주요 운영 목표는 합리적인 항공기 주기장 배정을 통한 주기장 이용률의 최대화 및 터미널 이용 승객의 편리성 증대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 공항의 시설배치, 터미널 구조, 공항의 이용 승객 등을 고려하여 사용 가능한 주기장의 이용률의 최대화하고 터미널에서의 여객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주기장 배정 알고리즘의 개발과 그 결과를 국내 공항에 적용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GAP 정식화 모델을 최적화 소프트웨어인 LINGO를 활용하여 다중 시간 주기를 갖는 복잡한 문제를 단일 시간주기를 갖는 문제로 변환하기 위한 접근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OR 접근 방법이 가지는 최적해 산출을 위한 긴 소요시간의 문제를 해결하고 실제 공항에 적용하여 실시간 의사결정을 위한 배정 결과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발견적 기법에만 의존하여 수행되는 주기장 배정결과를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산출함으로써 공항의 주요한 운영 목표인 항공사 및 여객의 시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상 악천후로 인한 항공기의 이착륙 지연이 발생할 경우 복잡한 문제를 배정 알고리즘에 의해 신속히 해결함으로써 공항 운영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공항 안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