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리예측

Search Result 1,28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dvanced Estimation Model of Runway Visual Range using Deep Neural Network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활주로 가시거리 예측 모델의 고도화)

  • Ku, SungKwan;Park, ChangHwan;Hong, SeokMi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2 no.6
    • /
    • pp.491-499
    • /
    • 2018
  • Runway visual range (RVR), one of the important indicators of aircraft takeoff and landing, is affected by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etc.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RVR at the time of arrival in advance. This study estimated the RVR of the local airport after 1 hour by upgrading the RVR estimation model using the proposed deep learning network. To this end, the advancement of the estimation model was carried out by changing the time interval of the meteorological data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RVR) as input value and the linear conversion of the results.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estimation model based on the past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and estimates the RVR after 1 hour and confirms its validity by comparing with measured RVR after 1 hour. The proposed estimation model could be used for the RVR after 1 hour as reference in small airports in regions which do not forecast the RVR.

Detection Range of Passive Sonar System in Range-Dependent Ocean Environment (거리의존 해양환경에서 수동소나체계의 표적탐지거리예측)

  • Kim, Tae-Hak;Kim, Jea-So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4
    • /
    • pp.29-34
    • /
    • 1997
  • The prediction of detection range of a passive sonar system is essential to estimate the performance and to optimize the operation of a developed sonar system. In this paper, a model for the prediction of detection range in a range-dependent ocean environment based on the sonar equation is developed and tested. The prediction model calculates the transmission loss using PE propagation model, signal excess, and the detection probability at each target depth and range. The detection probability is integrated to give the estimated detection range. In order to validate the developed model, two cases are considered. One is the case when target depth is known. The other is the case when the target depth is unknown. The computational results agree well with the previously published results for the range-independent environment. Also,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the range-dependent ocean environment where the warm eddy exists. The computational results are shown and discussed. The developed model can be used to find the optimal frequency of detection, as well as the optimal search depth for the given range-dependent ocean environment.

  • PDF

Preprocessing Model for Operon Prediction Using Relative Distance of Genes and COG Distance (COG 거리와 유전자 간의 상대 위치정보를 이용한 오페론 예측 전처리 모델)

  • Chun, Bong-Kyung;Jang, Chul-Jin;Kang, Eun-Mi;Cho, Hwa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10-219
    • /
    • 2003
  • 오페론(operon)은 보통 미생물에서 다수의 인접한 유전자들로 구성된 그룹으로 하나의 유전자처럼 공통된 프로모터에 의해 전사되는 단위이다. 오페론을 구성하는 유전자들은 기능적으로 서로 유사하거나 같은 물질대사경로(metabolic pathway) 상에 존재하는 특징을 지니기 때문에 이들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미생물 유전체 분석에서 오페론을 구성하는 유전자들을 예측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오페론을 예측하는 이전 연구들로는 이미 알려진 오페론의 특징인 유전자간 거리나 오페론을 구성하는 평균 유전자 개수 등을 이용하는 방법, 마이크로어레이 발현 실험을 이용한 방법, 전유전체(whole genome)들 간의 보존된 유전자 집합(conserved gene cluster)을 이용한 방법 그리고 물질대사경로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G 기능(function) 거리, 유전자 간의 거리, 코돈 사용빈도(codon usage) 그리고COG 기능 거리와 유전자간 거리를 같이 적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오페론 예측을 위한 전처리 모델을 생성하였다 전처리 모델을 E. coli 전유전체에 적용해본 결과, 알려진 오페론들의 약 90%가 이를 포함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전처리 모델은, 추후 오페론 예측을 위한 좋은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uggestions of an Equation for Vibration Level Influenced by Total Charge (총장약량이 진동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고)

  • 양형식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0 no.1
    • /
    • pp.77-82
    • /
    • 2002
  • 환산거리 예상식에 의한 진동의 예측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환산거리는 거리와 지발당 장약량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환산거리가 같다고 하여 진동수준이 같은 것은 아니며, 많은 실무자들이 총장약량이 증가함에 따라 진동이 커지는 경향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장약량이 진동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진동 예측식을 제안하였고, 이 식을 기존의 계측자료에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며, 일정한 범위 내에서 진동속도에 미치는 총장약량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음을 보였다

A Study on the Spatial Approach through Wind power Prediction Model (풍력발전 예측 모델 분석을 통한 공간기법 적용방안 연구)

  • Goo, Bo-Kyung;Hur, 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89-90
    • /
    • 2015
  • 현재 사용되고 있는 풍력발전 예측 모델은 물리적인 시간변화에 따른 예측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도 풍력단지의 출력 값과 풍력단지 상호 거리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은 상관계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풍력 예측 모델에서 시간적인 특성뿐 아니라 공간적 특성을 같이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 풍력발전 예측 모델을 분석을 수행하고, 풍력 예측 모델에 공간기법 적용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PDF

대형 할인점 매출 데이터를 이용한 Semi-Variogram의 추정과 거리에 의한 할인점 이용권 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Yu, Seong-Mo;Yun, Yeon-Sang;Kim, Gi-Hwan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99-108
    • /
    • 2006
  • 대형 할인점 매출 데이터는 G-CRM, 에어기어 마케팅(Area Marketing)에 활용하기 위해 고객의 구매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TM중부좌표로 이루어진 고객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점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통시에 측정된 자료들이 공간적인 변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면, 공간적인 변인의 함수식에 의한 예측모형을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변인으로 거리가 주어졌을 때, 대형 할인점 매출 자료에 대한 세미베리오그램(Semi-Variogram)의 모형을 추정하고, 관측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할인점 이용권을 공간예측기법으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공간예측 기법을 통해 예측된 할인점 이용권을 토대로 할인점 이용권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매출 데이터의 공간이상치 탐지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실례로 알아보았다.

  • PDF

능동 소나 체계에서의 표적 탐지 거리 예측 알고리즘과 응용

  • 박재은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186-189
    • /
    • 1993
  • 능동 소나 체계에서 표적의 탐지거리 예측을 위하여 소나방정식이 이용되는데, 이는 음원 준위, 전달 손실, 표적 강도, 복반사 준위, 소음 준위, 방향성 이득, Detection threshold, Signal excess, 탐지 확률과 탐지거리의 요소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 소나 체계에서 소나 깊이와 표적 깊이의 함수인 탐지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나의 각 요소와 환경이 주어졌을 때 SAFARI 모델을 이용하여 각 수신기의 깊이와 거리에서의 전달손실을 계산하였으며, 구하여진 전달 손실과 배경 소음 준위를 이용하여 Signal excess를 계산하였다. ROC(Receiver-operating-characteristic) 곡선을 이용하여 Signal excess를 탐지 확률로 계산한 후 두 항을 곱하여 각 깊이별 거리로 적분함으로서 탐지거리를 구하였다. 주파수 30Hz의 전방향 음원을 사용하여 여름의 일반적 음속 분포에서 계산한 결과 100m 음원 보다 300m 음원에서 상대적으로 큰 탐지거리를 얻었으며 각 음원 깊이별 평균 탐지거리는 100m 이하의 표면을 제외한 500m 까지는 거의 일정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Discriminative Training Algorithm for Speech Recognizer Based on Predictive Neural Network Models (예측신경회로망 모델 음성인식기의 변별력있는 학습 알고리즘)

  • 나경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242-246
    • /
    • 1993
  • 예측신경회로망 모델은 다층 퍼셉트론을 연속되는 음성특징 벡터간의 비선형예측기로 사용하는 동적인 음성인식 모델이다. 이 모델은 음성의 동적인 특성을 인식에 이용하고 연속음성인식으로의 확장이 용이한 우수한 인식 모델이다. 그러나, 예측신경회로망 모델은 음운학적으로 유사한 음성구간에서의 변별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것은 기존의 학습 알고리즘이 다른 어휘와의 거리는 고려하지 않고 대상어휘의 예측오차만 최소화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직접 인식오차를 최소화시키는 GPD알고리즘에 의해 유사어휘간의 거리를 고려하는 변별력있는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On the Mechanism of Smooth Blasting on the Rock Containing Discontinuties (불연속면이 존재하는 암반에서의 Smooth Blasting의 기구)

  • 박홍민;이상은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4 no.4
    • /
    • pp.13-19
    • /
    • 1996
  • Lately, the improtance of smooth blasting is increasing on every construction fields, suchas underground caves, tunnels, and roadconstruction, etc. The main purpose of smooth blasting is to prevent unnecessary cracks from the base rockwhich preserved permanently and is to gain the smooth fracture plane. So, in smooth blashing, explosives with low detonating velocity are generally used. But it is difficult to discuss general theory on the smooth blashing becaus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ertienent rocks are difficult regionally. Accordingly basic reserches on the smooth blasting are demended. In this paper, the mechanisms of the smooth blasting on the rocks containing discontinuities were discussd. Firstly, the writer predicted the formation of fracture plane and unevenness using mathematical methodology, the next the model blast tes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simulate the crack propagation modes from the blast holes. Through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l)The blast test results were in reasonally good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 2)The degree of discontinuity has an influence on the fracture morphology.

  • PDF

Prediction of Ground Blasting Vibration using Superposition Modeling Data of Single Hole Blasting Waveform (단일공 발파파형 중첩모델링 자료를 이용한 지반 진동의 예측)

  • Kim, Jong-In;Kang, Choo-W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7 no.6
    • /
    • pp.484-492
    • /
    • 2007
  • The blasting vibration prediction in the country is mainly carried out by using the scaled distance method. But, this method needs a real-scale test blasting. The blasting vibration prediction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data measured at borehole blasting for the purpose of a geological investigation before beginning a construction of a tunnel. In this predic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 vibration generated from a real-scale blasting. propagation.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for estimating blasting vibration by using superposed data of single hole blasting waveform with a delay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