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리감지센서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sign of an Object Detection System using Radar Sensors and Cameras (레이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감지 시스템 설계)

  • Jung, Dong-Hun;Choi, Seong-Yong;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298-301
    • /
    • 2017
  • 기존의 객체 감지 센서로는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이 있다. 적외선 센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구현이 쉬워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객체가 움직임이 있을 때에만 감지가 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는 움직임이 없어도 감지가 되지만 정확도가 떨어지고 오류가 많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감지 센서들은 일정 짧은 거리 내의 객체 감지는 가능하지만 탐지범위를 벗어나면 감지가 되지 않는다. 또한 객체 감지를 하여도 객체의 종류가 어떤 것인지 사용자가 알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 센서와 카메라를 활용한 객체 감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시하고 있는 시스템은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를 1차적으로 감지한다. 1차적으로 객체가 감지되었으면 2차적으로 감지 당시 카메라의 화면을 별도로 캡쳐하여 객체의 이미지를 저장한다.

  • PDF

Numerical Analysis for Designing Nonlinearly Ultrasonic Proximity Sensors in Air (공중파용 비선형적 초음파 감지센서의 설계를 위한 수치 해석)

  • Lee, Yang-Su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6 no.5 s.98
    • /
    • pp.209-219
    • /
    • 1999
  • 이상적인 초음파 물체 감지 센서는 감지거리가 길고, 고해상도와 작은 크기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공기 중에 사용되고 있는 선형 초음파센서로는 공기의 높은 음흡수 때문에 이 세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주파수성분의 두 음파의 비선형 상호작용으로 생성되는 두 주파수 차이에 상당하는 주파수의 음파를 이용한 물체감지 비선형적 초음파 감지센서에 관한 연구이다. 링-디스크 두 요소로 구성된 비선형적 초음파센서에 의해 형성되는 음장을 예측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선형적 초음파센서의 최적 형태와 주파수를 결정하고, 선형 초음파센서와 세 조건 측면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비선형적 초음파센서가 해상도측면에서 유리하고, 75 dB이하의 초음파 소음환경에서 사용할 때 감지거리면에서 유리하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Zigbee Sensor Node for Building USN Using only Transmission of Fire Sensing Data (화재감지데이터 전송용 USN망 구축을 위한 지그비 센서노드 구현)

  • Cheon, Dong-Jin;Jung, Do-Young;Kwak, Dong-Kurl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6
    • /
    • pp.75-81
    • /
    • 2009
  • In this paper, USN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sy to install and effectiveness with variety information gathering has been proposed as a alternative of wired-based line for transmission of fire sensing data. But, The sensor node using USN should be considered for wireless transmission range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zigbee protocol sensor node was implemented and then tested transmission range of sensor node as 10m interval using voltage information of DC 3V & 5V. Here, maximum transmission distance was confirmed 90m inside-outside. When used mesh routing relay node, distance was not limited. In USN network building, when fire sensing data transmitted, the sensing data same between direct sensing data from sensor and collecting data at USN. Therefore, was confirmed reliability for transmission range and information of proposed zigbee sensor node.

A Study on Design of Abstacle Ahead Sensing and Inform Shoes (전방 장애물 감지 및 알림 신발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Kyungmin;So, Daehyun;Seo, Boram;Lim, Eunbin;Park, J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10-512
    • /
    • 2015
  • 최근 IT 기술의 발전으로 가장 보편화 되고 있는 첨단기기는 스마트폰이다. 길을 걸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이러한 행위는 보행자 자신의 안전에도 크게 위협적인 요소가 될 수도 있지만 자칫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의 안전한 생활을 위한 지능형 신발을 설계한다. 설계한 신발은 사람들에게 편리하고 유용한 장애물 감지 및 알림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와 진동 센서 그리고 LED를 이용한다. 또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을 개발하여 활용도를 높인다. 초음파 센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장애물과의 거리를 계산한다. 진동 센서는 초음파 센서에서 계산한 거리가 특정거리(IM-4M) 이내이면 신호를 받아 진동 센서 혹은 LED가 동작해 사람에게 장애물이 있다고 알려준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은 신발이 스마트폰과 일정거리 이상 멀어져 블루투스(Bluetooth)가 끊기면 알림을 해줌으로써 분실 방지를 해주고. 신발의 각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해준다. 또 장애물과의 거리가 얼마나 남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장애물 감지 및 알림 기능은 사람들에게 안전을 보장해주고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한 장점이 있다.

Array of Ultrasonic Sensor for Obstacle Avoidance of Intelligent Wheelchair (지능형 휠체어의 장애물 감지를 위한 초음파 센서의 배열)

  • Kim, Tae-Ui;Kwon, Kyung-Su;Park, S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5-18
    • /
    • 2009
  • 지능형 휠체어 구현에 있어 초음파 센서의 배열은 전동휠체어가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결정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휠체어의 장애물 감지를 위한 초음파 센서의 효과적인 배열 방법을 제안한다. 초음파 센서 모듈은 총 10개의 4개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 휠체어의 전방, 좌, 우측에는 각각 3개의 센서를 48도씩 중첩되게 겹쳐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고, 후방에는 하나의 센서를 구성한다. 지능형 휠체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애물 회피 모듈, 모터 제어 모듈, 초음파 센서 모듈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해진 명령을 하달 받고, 모터 제어 모듈은 하달된 명령과 센서들에 의해 반환된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로 모터제어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좌우 모터들을 조종한다. 센서 모듈은 전동휠체어가 움직이는 동안에 주기적으로 센서들로부터 거리 값을 반환 받아 벽 또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알려 주고, 또한 장애물 회피 모듈에 의해 장애물을 우회 하도록 움직인다. 제안된 방법의 센서 배열은 실험을 통해 지능형 휠체어가 임의로 설치된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보다 정확하게 장애물을 회피 할 수 있음을 보였다.

Control on Wind Speed and Direction of Electric Fan using A.I Fan Sensor (A.I Fan 센서를 이용한 선풍기의 풍향 및 풍속 조절)

  • Kwon, Young-Geun;Choi, Sae-Hoon;Han, Young-Sam;Kim, Myoung-Jin;Park, Chae-Seo;Hur, Joon;Soh, Dea-Wha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1
    • /
    • pp.7-19
    • /
    • 2007
  • 본 논문은 초음파센서와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그 신호를 받아 주 모터를 제어한 것으로, 센서를 이용한 선풍기의 풍향 및 풍속을 제어하였다. 풍향제어는 인체감지센서와 ATmega128, DC모터를 사용하였고, 기본적으로 WmAVR과 PonyProg를 사용하여 소스코딩 및 다운로딩을 하였으며, 모터 구동드라이버는 모터제어에 범용으로 쓰이는 L298 칩을 사용하였다. 풍속제어는 초음파센서와 ATmeBa16, DC모터를 사용하여 제작하였고, 풍향제어부와 마찬가지로 WinAVR과 PonyProg 및 L298 칩을 사용하여 소스코딩 및 다운로딩을 하였다. 풍향제어는 물체가 정면에 위치하면 회전을 멈추고, 좌우로 $100^{\circ}$ 반경이내에서 거리 1m내외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설계하였다. 풍속제어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최소 3cm 최대 3m 이내에서 물체를 감지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고, 모터속도는 DC모터를 PWM 방식으로 제어하여 속도를 조절하였다.

Study on object dete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functions with Kinect for windows version 2 (키넥트(Kinect) 윈도우 V2를 통한 사물감지 및 거리측정 기능에 관한 연구)

  • Niyonsaba, Eric;Jang, J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6
    • /
    • pp.1237-1242
    • /
    • 2017
  • Computer vision is coming more interesting with new imaging sensors' new capabilities which enable it to understand more its surrounding environment by imitating human vision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In this paper, we made experiments with Kinect camera, a new depth sensor for object dete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functions, most essential functions in computer vision such as for unmanned or manned vehicles, robots, drones, etc. Therefore, Kinect camera is used here to estimate the position or the location of objects in its field of view and measure the distance from them to its depth sensor in an accuracy way by checking whether that the detected object is real object or not to reduce processing time ignoring pixels which are not part of real object. Tests showed promising results with such low-cost range sensor, Kinect camera which can be used for object dete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which are fundamental functions in computer vision applications for further processing.

Technology Trend of Forward Looking Millimeterwave Radar (전방감지용 밀리미터파 레이더 기술 동향)

  • Hong, J.Y.;Kang, D.M.;Yoon, H.S.;Shim, J.Y.;Lee, K.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5
    • /
    • pp.35-45
    • /
    • 2007
  • 전방감지용 밀리미터파 레이더는 밀리미터파를 이용하여 자동차 등에 부착하여 송신파와 수신파 사이의 도플러 주파수 편이를 이용하여 선행차량 또는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와 상대속도를 판별하는 장치로서 적응형 순항제어 시스템(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등에 이용되는 핵심 기술이다. 적응형 순항제어 시스템이란 레이더 센서를 통하여 전방 선행 차량, 장애물의 속도 및 거리를 측정하여 차량의 충돌 경고, 주행 상황에 따른 자동적인 감속 및 가속, 정속 등 안전주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 동향 분석보고서는 전방감지용 레이더 센서에 관한 기술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 EU, 일본, 한국의 전방감지용 레이더 센서에 관한 특허를 1991년부터 2005년까지의 특허출원을 중심으로 연도별 추이와 국가별 특허출원 동향,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 등을 분석하여 전방감지용 레이더의 세계 기술 추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Distance measurement System from detected objects within Kinect depth sensor's field of view and its applications (키넥트 깊이 측정 센서의 가시 범위 내 감지된 사물의 거리 측정 시스템과 그 응용분야)

  • Niyonsaba, Eric;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9-282
    • /
    • 2017
  • Kinect depth sensor, a depth camera developed by Microsoft as a natural user interface for game appeared as a very useful tool in computer vision field. In this paper, due to kinect's depth sensor and its high frame rate, we developed a distance measurement system using Kinect camera to test it for unmanned vehicles which need vision systems to perceiv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like human do in order to detect objects in their path. Therefore, kinect depth sensor is used to detect objects in its field of view and enhance th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from objects to the vision sensor. Detected object is identified in accuracy way to determine if it is a real object or a pixel nose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 by ignoring pixels which are not a part of a real object. Using depth segmentation techniques along with Open CV library for image processing, we can identify present objects within Kinect camera's field of view and measure the distance from them to the sensor. Tests show promising results that this system can be used as well for autonomous vehicles equipped with low-cost range sensor, Kinect camera, for further processing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ype when they reach a certain distance far from detected objects.

  • PDF

Improvement Method for Human Body Sensing Module and Managing System (인체 감지 센서 모듈 및 관리 시스템의 개선 방안)

  • Ahn, Tae-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10
    • /
    • pp.223-22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ment method for human body sensing module and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focused on the human body detection module with ultrasonic sensors to detect the usage of toilets and the management system to control the state of the toilets of the entire building. The proposed human body sensing module consists of the detection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human body and the contact sensor to detect the position in a certain distance. The management system is configured of the control unit to proces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sensors, opening and closing valves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save the operational status data as well as transmit the data at regular interv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