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대파랑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Giant wave Appearance (대양에서의 거대파랑 출현 특성과 기구에 관한 연구)

  • Shin Seung-Ho;Hong Key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5.10a
    • /
    • pp.147-152
    • /
    • 2005
  • 선형파 이론에 의한 파랑스펙트럼 분포에 의해서는 30m 크기의 파랑은 현실적으로 거의 발생 불가능하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위성 영상을 이용한 조사에 의해 3주간의 기간 통안 25m 이상의 거대파가 10개 이상 관측됨에 따라 실해역에서 빈번히 마주칠 수 있는 현상임이 입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 이유 불명으로 치부되어 왔던 많은 해양 재난이 거대파에 의해 발생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거대파의 발생원인은 파군 형성과 관련한 파고분포 특성의 변화, 전파하는 파군의 비선형 공명간섭 통이 제기되고 있으나, 그 출현의 복잡성과 자료의 부족 등으로 아직 명확하게 해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해역에서 발생하는 거대파의 특성 및 선형 및 비선형이론에 근거한 거대파 발생 기구를 고찰하고 비선형 파랑전파를 모사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Generation Mechanism of Giant Waves (대양에서의 거대파랑 출현 특성과 발생 기구에 관한 연구)

  • Shin Seung-Ho;Hong Key-Y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0 no.3 s.109
    • /
    • pp.181-187
    • /
    • 2006
  • In the wave spectrum distribution based on linear wave theory, the appearance of a giant wave whose wave height reaches to 30m has been considered next to almost impossible in a real sea However since more than 10 giant waves were observed in a recent investigation of global wave distribution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analysis of SAR imagines for three weeks, the existence of the giant waves is being recognized and it is considered the cause of many unknown marine disasters. The change of wave height distribution concerning a formation of wave train, nonlinear wave to wave interaction and so on were raised as the causes of the appearance of the giant waves, but the occurrence mechanism of the giant waves hasn't been cleared yet. In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appearance circumstances of the giant waves in real sea and its occurrence mechanism was analyzed based on linear and nonlinear wave focusing theories. Also, through a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 of the nonlinear $schr\"{o}dinger$ equation, the formations of the giant wave from progressive wave train were reproduced.

Polarograms of Uranium(VI) and Rare Earth(III) Metal Complexes with Macrocyclic Ligands in Dimethylsulfoxide Solvent (디메틸술폭시드 용매중에서 거대고리리간드를 포함한 우라늄(VI)과 희토류(III) 금속 착물의 폴라로그램)

  • Hak Jin Jung;Oh Jin Jung;Chilnam Choi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2 no.3
    • /
    • pp.233-242
    • /
    • 1988
  • The uranium(VI) complexes with new unsaturated macrocyclic ligands of cryptand types and the neodymium(III) complexes with cryptand 222 and DBC ligands have been investigated polarographically in dimethylsulfoxide solvent. The reduction states, electron numbers involved in the reduction process, effects of the added acid on the polarograms of complexes, and the mechanisms of the reduction electrode reactions have been examined. The stability constants and mole-ratio of new complexes were also obtained by polarographic method. The reaction of ligands was controlled by the diffusion in the reduction with four electrons at a step, whereas the redox reaction with six electrons at three steps in $UO_2\;^{2+}$ complexes with macrocyclic ligands and the redox reaction with one electron at a step in $Nd^{3+}$ complexes with cryptand 222 and DBC have been observed. The imine ligands formed stable complexes with uranium(VI) above pH 7.0, and the neodymium(III) complexes with cryptand 222 and DBC ligands were stable above pH 4.0.

  • PDF

Applying Speciated GA to Huge-scale Feature Selection in Bioinformatics (생명정보학에서의 거대규모 특징추출을 위한 종분화 GA의 활용)

  • 황금성;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29-231
    • /
    • 2002
  • 최근 생물 유전자 정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이를 위한 효과적인 분석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분류기의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특징만을 뽑는 과정인 특징 추출은 대량의 유전자 정보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선별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유전자 정보는 사용되는 데이터의 특징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는 분석이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거대규모 특징 추출을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GA)파 신경망을 사용한 특징추출 방법을 소개하고, 종분화 기법을 사용한 효과적인 특징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CAMDA 2000에 공개된 암 DNA Microarray로 안종류를 분류하는 문제에 대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디지털로 무장한 케이블 사용자 확대 '정조준'

  • Park, Hyeon-Su
    • Digital Contents
    • /
    • no.10 s.161
    • /
    • pp.30-34
    • /
    • 2006
  • 급변하는 통ㆍ방 융합 시대를 맞아 케이블방송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 동안 경쟁매체라고 해봐야 지상파와 위성방송 채널 정도였지만 이제 통신과 방송의 융합이라는 거대 조류 속에서 IPTV, TV포털 등 새로운 개념의 방송 서비스와 경쟁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경쟁자들이 속속 진입하고 있는 방송 시장에서 과연 케이블방송 업계가 수성에 성공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PDF

특집-일본의 재해예방대책 - 1. 너울에 대해서

  • 한국어촌어항협회
    • 어항어장
    • /
    • s.89
    • /
    • pp.30-34
    • /
    • 2010
  • 너울성 거대 파랑의 내습은 극히 보기 드문 확률로 기상조건이 갖추어지고 취송거리가 지극히 길어졌을 경우에 발생하므로 해일 등의 돌발 재해와 같은 특별한 대책이 요구된다. 토야마만은 갑자기 깊어지는 만으로 "아이가메(藍甁)"라고 불리는 복잡한 해저지형을 나타내는 지역도 있어, 연안의 파랑 변형에 해저지형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이 예상된다.

  • PDF

Outer-line measurement for 3D reconstruction of huge structures (거대한 구조물의 3차원 영상 재구성을 위한 외곽선 길이 정보 추출)

  • Jeon, Byung-Seung;Park, Jung-Min;Kim, Young-Joong;Ko, Han-Seok;Hwang, In-Joon;Lim, Myo-Tae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280-281
    • /
    • 2008
  • 본 논문은 큰 구조물의 3파인 영상 재구성을 위해서 획득한 2차원 영상에서 특징점을 찾아 선으로 조합한 후 선 길이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거대한 구조물의 외곽선 길이 정보 추출을 위해서는 광각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에서의 외곽선들은 모델의 기울어진 정보와 형태, 모델의 크기 등을 결정하게 되는데 광각카메라 사용에 의하여 배럴왜곡, 원근투영왜곡 등이 발생한다. 외곽선 정보 추출의 순서는 먼저모델의 2차원영상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왜곡이 보정된 그레이영상을 획득한다. 이 그레이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특징점을 찾기 위하여 SUSAN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SUSAN알고리즘 기법은 적은 계산량과 잡음에 매우 강한 장점이 있어서 영상에서의 특징점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기법이다. 특징점을 3차원 벡터공간에서 맵핑시킨 후 X, Y, Z 좌표축으로 점과 선으로 나타내고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벡터 길이를 얻는다. 이러한 벡터 데이터와 3차원 영상 재구성을 위한 라이브러리인 OpenGL을 사용하여 3차원 공간에 거대한 구조물들을 재구성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 PDF

Motion Analyses for a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with Dolphin Mooring Systems in Irregular Waves (불규칙파 중에서 돌핀 계류된 해상공항에 대한 운동)

  • H.Y. Lee;H. Shin;C.G. Lim;O.H. Kim;J.M. Kang;M.C. Yo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8 no.2
    • /
    • pp.10-18
    • /
    • 2001
  • The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which can be used for as airport may be as large as several kilometer long and wide. The first order wave forces as well as wave drift forces are very important forces on such a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s. In the present study, the time simulation of motion responses for dolphin-moored VLFS in waves is presented. The hydrodynamic coefficients and wave forces involved in the equations are obtained from a three-dimensional panel method in the frequency domain. The horizontal drift forces and mooring forces for dolphin systems are taken into account. As for numerical example, time domain analyses are carried out for a VLFS(Phase I) in irregular wave condition.

  • PDF

Bedform Morphology of the Continental Shelf Sandy Sediment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韓半島) 주위(周圍) 대륙붕(大陸棚) 사질(砂質) 퇴적물(堆積物)의 표면유동구조(表面流動構造))

  • SUK, BONG-CHOOL;KAGAMI, HIDEO;TAIRA, ASAHIKO
    • 한국해양학회지
    • /
    • v.29 no.3
    • /
    • pp.239-247
    • /
    • 1994
  • Bedform morphology of the giant ripples have been studied o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Yellow Sea, East China sea and Korea-Tsushima Strait on the basis of side-scan sonar image, sub-bottom profile, sedimentary facies, geomorphology evidence and hydrology. There are well developed giant ripples ranging from 100 to 500 m in wavelengths and from 2 to 10 m in wave height at nine sites in the study area, which are covered by medium to fine sand. Most of them have been formed under the present hydrologic regime where the tidal currents and local currents or turbulence flows are superimposed. In the study area, giant ripples are produced on two different environments. One is at the geomorphic narrow zone such as the Korea Strait where currents are accelerated by the topographic effects, while the other is the sandy flat plain where tidal currents and local currents are harmonized.

  • PDF

NEWS & TOPIC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12 s.403
    • /
    • pp.6-9
    • /
    • 2002
  • 명왕성 밖에서 거대한 얼음-돌 천체 발견/남공 상공 오존층 작아져/가장 아름다운 물리학 실험 10가지/곤충으로 박테리아 퇴치/인공의 뇌운으로 산불 끈다/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 개발/박테리아 위성 발사로 생명체 기원 실험/대용량 원자 메모리 기술 개발/세계에서 가장 높은 발전 타워/원자파 레이저로 화산폭발 예측/새 치아를 생물학적으로 자라게 한다/강하고 견고한 에어로겔 제조/유리 속의 분자도 구조를 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