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객체분류

Search Result 753,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House-Tree-Person Test Analysis Model (딥러닝 기반 집-나무-사람 검사 분석 모델의 개발)

  • Cho, Seung-Je;Cho, Geon-Woo;Kim,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558-561
    • /
    • 2021
  • 심리학에서 사람의 심리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방법 중, 집-나무-사람 검사(HTP Test)는 피실험자가 그린 집, 나무, 사람을 포함하는 그림을 사용하여 피실험자의 심리를 분석하는 투영 검사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HTP Test 에 사용되는 그림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제안하며, 성능 평가를 통해 심리학에서의 딥러닝 모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또한 그림 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사전 훈련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ImageNet 과 스케치 데이터셋으로 사전 훈련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크게 감정 분석을 위한 이미지 객체 추출부, 추출된 객체로 피실험자의 감정을 분류하는 감정 분류부로 구성되어 있다. 객체 추출과 이미지 분류 모두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며, 이미지 분류 모델은 서로 다른 데이터셋으로 모델을 사전 훈련한 후, 훈련 데이터셋으로 전이 학습하여 모델의 성능을 비교한다. 그림 심리 분석을 위한 HTP test 스케치 데이터셋은, HTP Test 와 동일하게 피실험자가 3 개 클래스의 집, 나무, 사람의 그림을 그려 자체 수집하였다.

Analysis of Land Cover Characteristics with Object-Based Classification Method - Focusing on the DMZ in Inje-gun, Gangwon-do - (객체기반 분류기법을 이용한 토지피복 특성분석 - 강원도 인제군의 DMZ지역 일원을 대상으로 -)

  • Na, Hyun-Sup;Lee, J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121-135
    • /
    • 2014
  • Object-based classification methods provide a valid alternative to traditional pixel-based methods.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an object-based classification to examine land cover in the demilitarized zones(DMZs) of Inje-gun. We used land cover classes(7 classes for main category and 13 classes for sub-category) selected from the criteria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pectrum values, and homogeneity of GLCM were chosen to map land cover types in an hierarchical approach using the nearest neighborhood method. We then identifie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land cover by considering 3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ltitude, slope gradient, distance from the Southern Limited Line(SLL)) within the DMZs. The results showed that scale 72, shape 0.2, color 0.8, compactness 0.5 and smoothness 0.5 were the optimum weight values while scale, shape and color were most influenced parameters in image segmentation. The forests (92%) were main land cover type in the DMZs; the grassland(5%), the urban area (2%) and the forests (broadleaf forest: 44%, mixed forest: 42%, coniferous forest: 6%) also occupied mostly in land cover classes for sub-category.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facilities and roads had higher density within 2 km from the SLL, while paddy, field and bare land were distributed largely outside 6 km from the SLL. In addition, there was apparent distinction in land cover by top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orest had higher density at above altitude 600m and above slope gradient $30^{\circ}$ while agriculture, bare land and grass land were distributed mainly at below altitude 600m and below slope gradient $30^{\circ}$.

Automatic Document Classification Based on k-NN Classifier and Object-Based Thesaurus (k-NN 분류 알고리즘과 객체 기반 시소러스를 이용한 자동 문서 분류)

  • Bang Sun-Iee;Yang Jae-Dong;Yang Hyung-Je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9
    • /
    • pp.1204-1217
    • /
    • 2004
  • Numerous statistical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for automatic text classification. However, because they train the classifiers using only feature vectors of documents, ambiguity between two possible categories significantly degrades precision of classification. To remedy the drawback, we propose a new method which incorporates relationship information of categories into extant classifiers. In this paper, we first perform the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the k-NN classifier which is generally known for relatively good performance in spite of its simplicity. We employ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from an object-based thesaurus to reduce the ambiguity. By referencing various relationships in the thesaurus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d categories, the precision of k-NN classification is drastically improved, removing the ambiguity. Experiment result shows that this method achieves the precision up to 13.86% over the k-NN classification, preserving its recall.

A Study on the Object-based Classification Method for Wildfire Fuel Type Map (산불연료지도 제작을 위한 객체기반 분류 방법 연구)

  • Yoon, Yeo-Sang;Kim, Youn-Soo;Kim, Yong-Seung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6 no.1
    • /
    • pp.213-221
    • /
    • 2007
  • This paper showed how to analysis the object-based classification for wildfire fuel type map using Hyperion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data acquired in April, 2002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object-based classification with the results of the pixel-based classification. Our methodological approach for wildfire fuel type map firstly processed correcting abnormal pixels and atypical bands and also calibrating atmospheric noise for enhanced image quality. Fuel type map is characterized by the results of the spectral mixture analysis(SMA). Object-based approach was based on segment-based endmember selection, while pixel-based method used standard SMA. To validate and compare, we used true-color high resolution orthoimagery.

  • PDF

An Event-based Clustering and Browsing of Personal Photo Collections on Mobile Device (휴대단말용 이벤트-기반 사진 경계 분할 및 브라우징 방법)

  • Kim, Sang-Chul;Nang,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498-501
    • /
    • 2011
  • 최근 모바일 기기의 저장장치 용량이 늘어나면서 사용자는 대량의 사진을 휴대하고 다닌다. 하지만 현재 대량의 사진을 한정적 크기의 화면에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부족하다.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입장에서 편의성을 제공하는 사진 브라우징을 위해서는 직관적인 탐색 방법과 탐색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사진들에 대해 이벤트 별사진을 자동 분류하며 이벤트 내의 객체 인식을 통해 이벤트에 자주 나오는 객체 정보들을 제공하여 직관적인 브라우징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으로는 이벤트 기반의 브라우징과 객체 기반의 브라우징 방법이 있다. 이벤트 기반의 브라우징을 위해서 시간과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를 군집화하고 통계적 자료에 근거한 이벤트 자동 경계 검출 방법을 사용했다. 또한 객체 기반의 브라우징을 위해서 객체 인식을 통해 사진들을 객체별로 분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사진내에서 객체의 인식을 위해 BoW(Bag of Word)를 사용하였으며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TF-IDF를 적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방법은 기존의 방식에 비해 객체 인식률이 더 높음을 확인했다.

Incoming and Outgoing Human Matching Using Similarity Metrics for Occupancy Sensor (점유센서를 위한 유사성 메트릭 기반 입출입 사람 매칭)

  • Jung, Jaejune;Kim, Ma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11a
    • /
    • pp.33-35
    • /
    • 2018
  • 기존의 사람간의 유사성 측정 시스템은 적외선 빔이나 열 감지 영상 장치를 통해 측정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면 2명 이상의 객체를 분류해내는 기술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본 논문은 고정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사람의 피부색과 옷차림 등의 RGB 정보를 이용한 사람 유사성 측정 기법을 제안한다. RGB카메라 영상을 통하여 객체의 RGB 히스토그램을 얻은 후 각 객체에 대해 Bhattacharyya metric, Cosine similarity, Jensen difference, Euclidean distance로 histogram similarity를 계산하여 객체 추적 및 유사성 측정을 통해 객체를 분류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C/C++를 기반으로 구현하여, 유사성 측정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The Study of Class Library Design for Reusable Object-Oriented Software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재사용을 위한 클래스 라이브러리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Hae-Won;Kim, Jin-Seok;Kim, Hye-Gyu;Ha, Su-Cheo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9
    • /
    • pp.2350-2364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lass library repository design for provide reuser the object-oriented C++ class component. To class library design, we started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reusable component. We formally defined the reusable component model using an entity relationship model. This formal definition has been directly used as the database schema for storing the reusable component in a repository. The reusable class library may be considered a knowledge base for software reuse. Thus, we used that Enumerative classification of breakdown of knowledge based. And another used classification is clustering of based on class similarity. The class similarity composes member function similarity and member data similarity. Finally, we have designed class library for hierarchical inheritance mechanism of object-oriented concept Generalization, Specialization and Aggregation.

  • PDF

A Study of Extending SQL for Supporting Multimedia Data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SQL 확장 방안 연구)

  • 하창석;박유현;이중화;김경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292-294
    • /
    • 1998
  •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중요성과 활용도가 증가하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표현하고 처리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처리할 때, 데이터를 분류할 명확한 기준이 없고, 또한 질의어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고 처리하는 능력이 없으므로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모델링 기법을 사용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객체를 분류하다. 다음으로, 분류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SQL에서 지원하기 위해서, 객체간의 시간적, 공간적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문법들을 제시하고 사용자 질의 결과를 어떻게 나타낼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A Study on the design and Structure of Multi-Layer Perceptron for Effective Classifying Objects (객체의 분류를 위한 효율적인 다층퍼셉트론의 설계 및 구조에 관한 연구)

  • Lee, Yong-Kyu;Ko, Hyeong-il;Lee, Yillb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803-805
    • /
    • 2014
  • 다층 퍼셉트론 분류기는 그 패턴 분류 성능이 훌륭하여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응용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다른 분류기보다 학습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받아 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회전하는 객체의 분류를 위하여 다층 퍼셉트론의 학습시간을 줄이는 효율적인 신경망 시스템을 제안한다.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여 원 데이터의 정보를 가장 잘 잘 나타내도록 변환한 뒤, 그 결과를 다층 퍼셉트론 분류기의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 다층 퍼셉트론 분류기와 비교하였을 때 학습시간을 줄이면서 좀 더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The Improvements of the Tourism Field in the 6th Edition of KDC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관광학 분야의 분류체계 수정 전개 방안)

  • Kim, Jeong-Hye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5 no.1
    • /
    • pp.103-123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problems concerning the tourism field in the KDC 6th edition based comparative analysis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system, and suggested on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s of them.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 field of tourism is generally divided into a general tourism, tourists, tourism attraction, and tourism media, but classification system of tourism is limited to parts of tourism attraction and a general tourism. Tourism attraction and tourism media are dispersed among the subject. Second, I analyzed on tourism from the collection database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ased on analysis of the data. the keyword frequency of tourism management, type, development, psychology, industry, and convention etc. was relatively high. Third, modified classification of items was basically performed through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and the keyword analysis, and maintaining the existing KDC classification system caused less confusion as much as possible. Also, based on this matter was added to the relative index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