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객석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 검토를 위한 축소모형 실험 (Reduced-scale Model Experiment for Examination of Natural Vent and Fire Curtain Effects in Fire of Theater Stage)

  • 백선아;양지현;정찬석;이치영;김동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41-4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존하는 공연장을 대상으로 1/14 비율로 축소하여 제작한 모형을 이용하여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을 검토하였다. 자연배출구가 개방되고 방화막이 미설치된 경우에 무대부 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객석부 온도의 경우 자연배출구가 개방되고 방화막이 설치된 경우에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객석부 프로시니엄 개구부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온도 상승 시점 분석을 통해 자연배출구 개방이 무대부에서 객석부로의 연기 유출 시작 시점을 지연시키고 객석부 온도 상승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 조건에서 방화막 설치 여부는 자연배출구를 통한 유출 유동의 속도 및 질량 유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무대부에 존재하는 개구부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 결과는 실제 공연장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 평가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 가능할 뿐 아니라 전산시뮬레이션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이브리드 개념을 통한 '관객 참여형 연극'의 확장된 혼종성 연구 - 연극《내게 빛나는 모든 것》을 중심으로 - (An Inquiry Into an Expanded Hybridity in 'Audience Participation Theatre' Through the Concept of Hybrid - Focused on 《Every Brilliant Thing》-)

  • 전순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3-125
    • /
    • 2021
  • 이 연구는 21세기 이후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하이브리드의 개념을 연극 공간으로 적용하여 특별히 관객이 적극적으로 극에 개입하고 참여하는 '관객 참여형 연극'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사실, '하이브리드'는 이미 오랜 시간 인류의 문화 형성과 전승 가운데 주요한 동력을 제공해 왔으며 이를 무대 위로 다루는 연극에서 또한 그 혼종성은 의미 있는 원리로 작용해 왔다. 이전의 극장과 텍스트 중심의 전통적인 연극에서는 '현존과 부재', '현실과 허구' 그리고 '즉자와 대자'의 측면에서 그 혼종성이 오직 무대 위의 한정적 움직임으로 제한된 바 있다. 하지만 20세기 아방가르드 이후 '해체'의 정신을 바탕으로 객석과 무대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고 그 사이에서 하이브리드는 이전의 '무대 한정적 하이브리드'에서 '무대를 넘어 객석을 포함하는 연극 공간 전체'의 하이브리드로 확장되기에 이른다. 다시 말해, 객석과 관객은 이제 동등한 연극적 요소로서 다른 요소들과 동등한 수평적 연결 구조를 통해 함께 뒤섞이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결과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객 참여형 연극은 이전의 전통적인 연극 공간 안에서 가장 이질적인 '객석과 무대', '관객과 배우' 사이의 일종의 하이브리드 현상으로 '혼종화된 관객', '혼종화된 공간' 그리고 '혼종화된 텍스트'라는 독특한 정체성으로 또 다른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현대미국공연장의 무대와 객석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tage and Auditorium Space of Modern Performing Arts Centers in America)

  • 김성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40-48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form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stage and auditorium space along with the expression trends in the space of performing arts centers through the cases of modern performing arts centers in America. Today since the purposes of performance are multiple, a variety of stage types are applied to each performing arts center. They use various spaces and performances of multiple purposes by moving and transforming the stage and auditorium according to the kinds of performance as a variation of the arena stage. In today's performing arts centers, the sizes of the stage and auditorium can vary widely, and the performances of many different genres are put to multiple purposes. There appear complex performing arts centers that can plan performing spaces of diverse sizes and forms to fit the functions of a performance in a large building. Since they put on performances in a large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d of performance, the intentions and goals of the performance are well delivered to the audience.

공연시설 객석공간의 단면유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tion Type Characteristic of the Audience's Space in Performing Facilities)

  • 고재민;황미영;정성욱;이종진;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27-137
    • /
    • 2006
  • In the viewing of public performance arts, it needs to make space construction appropriate for performance purposes, because the section type has an effect on audience's inspection.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s the intentional characteristics and comprehend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relation factors to influence on section type of audience space in performance facilities. In addition to, this study comes under fundamental research to propose the course of standard plan, accord with diverse requirement, in the special performance facilities which will be built up. The results as following; 1)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ction type of the audience's space in performing facilities are divided as two elements. The first element is construction of space, viewing environment, and the second element is visual characteristic, and acoustic characteristic. 2) The section type are classified as six types, A-type(Flated type), B-type(Sloped type), C-type(Gabled type), D-type(Arched type), E-type(Reverse arched type), and F-type(Reverse sloped type). 3) Characteristics are deduced by the section type, construction of space and viewing environment are restri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 type.

16세기 르네상스 극장에 나타난 무대와 객석공간의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 테아트로 올림피코와 테아트로 파르네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translations of the Stage and Auditorium on the 16th Renaissance Theater - Focused on the Teatro Olimpico and Teatro Farnese -)

  • 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51-57
    • /
    • 2001
  • This study examines the space composition and character of 16th Renaissance Theater base on the theory of typology and interpreter in the european traditional classic theater. Baroque theater and early modern theater is considered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renaissance theater's organization. In the historical theory, theater Teatro Olimpico and Teatro Farnese was a common tool and best systeme in reflecting renaissance type and perspective system. This role of type as life cycle and new style of theater permanent design has get its value with the population increase. This study attempts to revaluate the need of space typology in modern society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theater and its use as a visual spac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discuss the topic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heater, the relationship between amphitheater and modern theater design, and the role of scenery, auditorium and its impact on Proscenium scenery.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comparison of 16th european theater and contemporary theater space use program from the space critic and sociologist. Today the concept of theatrical space is altered with the typology of classic and interpreter space.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the future implications of theatrical space in developing space for its a new definition as cultural representation.

  • PDF

공연장 화재 축소모형을 이용한 전산시뮬레이션 검토: 방화막 및 무대부 자연배출구 영향 (Examination on Numerical Simulation Using Reduced-scale Model of Theater Fire: Influences of Fire Curtain and Stage Natural Vent)

  • 양지현;백선아;이치영;김동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37-4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이용한 공연장 화재 축소모형 전산시뮬레이션(Numerical simulation)을 통해 공연장 화재 시 방화막 설치 여부 및 무대부 자연배출구 개폐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축소모형 실험 연구를 바탕으로, 실존하는 공연장에 대해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1/14 비율로 축소하여 설정한 축소모형 및 조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축소모형 전산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기 유동을 가시화하고, 무대부 및 객석부 온도, 자연배출구를 통한 유출 질량 유량, 객석부로의 연기 유출 시작 시점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전산시뮬레이션에서 예측된 방화막 설치 여부 및 무대부 자연배출구 개폐 영향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은 기존 축소모형 실험에서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전산시뮬레이션 결과와 기존 축소모형 실험 결과 간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 무대부 및 객석부 온도, 자연배출구를 통한 유출 질량 유량에 대해 평균 백분율 오차를 계산하였고, 본 전산시뮬레이션 결과와 기존 축소모형 실험 결과가 비교적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실내공간의 부분적 개방에 따른 음향특성변화 II -확산음장과 자유음장의 수직적 결합을 중심으로-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ound Field in Partially Opened Rooms -Emphasis on Vertical Coupling of Diffuse and Free Field-)

  • 정대업;최영지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75-82
    • /
    • 2007
  • 본 연구는 지붕개폐형 구조물에서 지붕을 개폐함으로써 나타나는 음장의 특성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20스케일의 축소모형을 제작하고 이를 대상으로 개폐율을 조절하면서 음장변화를 측정 분석하였다. 공간의 음향설계 시 사용되는 기존의 설계 및 평가파라메타들을 검토한 결과, 잔향음의 감쇠과정이 비선형적이며 기존의 잔향감 평가파라메타인 잔향시간에 의해서 적절한 설계 및 성능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비선형적 감쇠구간에 대한 선형적 curve-fitting에 의해 실제 청감과는 거리가 먼 매우 긴 잔향시간이 도출되어 실질적인 효용성이 의심된다. 따라서 잔향시간(T30)을 음향설계 및 평가과정에서 중요설계변수로 활용 시 완공 후 얻게 되는 음장특성과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EDT의 경우 전체적으로 초기감쇠시간은 개폐율이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파수별로 저주파수대역에서의 감쇠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주파수 대역으로 갈수록 감쇠율은 둔화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명료도 관련 파라메타인 D50 또한 개폐에 따른 음장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객석부위별로는 지붕개폐면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객석에서 개폐율 증가에 따라 선형적인 감쇠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직접 노출되는 객석의 경우에는 40%이상의 개폐율에서는 명료도와 잔향감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산 시민회관 수선에 따른 음향평가 (Evaluatio of Acousic Properties of Modified Pusan Citizens Hall)

  • 김연수;서상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6-93
    • /
    • 1993
  • 준공후 10여년동안 사용한 천장 및 벽의 마감재에 대한 전면적인 보수를 실시한 부산 시민회관을 대상으로 보수 전후의 음향특성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전객석에서의 고른 음압분포와 적절한 잔향시간을 얻기 위한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보수설계를 하였으며 보수 작업시 사전에 음향특성을 측정 분석한 후 이를 근거로 용도에 맞는 음향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마감재의 선정 및 배치를 하여 건축설계에 반영하였다.

  • PDF

극장건축의 공간유형과 도시성격의 상관성 연구-무대와 객석에 나타난 유럽극장형식의 변형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 Urban Character and the Space Type of Theater Architecture -Focus on the Uropean theater style shown on the stage and the auditorium-)

  • 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호
    • /
    • pp.98-105
    • /
    • 1998
  • Today the worship of entertainment i.e television has created a situation of diminshing monumental environments with increasing leisure time. Let us examine retro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theater Architecture. Two aspects would stand out as Theater Architecture gets closer to the urban tradition or trends to make a part of a city come to life. One aspect is an introvert purity. The other is an extrovert organic structure on the edge of connecting urban scenary with anything hoping to find the renewable element which could be revived eternally in archite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