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체집단 최적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Efficient Genetic Algorithm with Partial Evaluation by Clustering (개체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효율적인 국소 평가 유전자 알고리즘)

  • 김희수;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6-8
    • /
    • 2000
  •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문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집단의 크기를 가능한 한 크게 유지시킴으로써 최적의 해가 찾아지도록 한다. 그러나 개체 평가 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몇몇 특정한 문제의 경우 집단의 크기가 커지면 심각한 문제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국소 평가 유전자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집단을 몇 개의 클러스터로 나누고 각각의 대표 개체를 평가한 후 나머지 개체들의 적합도 값은 간접적인 계산에 의해 얻어내는 방법으로, 적은 수의 평가만으로도 상대적으로 큰 집단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유전자 알고리즘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효율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ystematic Performance Evaluation of Efficient Genetic Algorithm based on Clustering (클러스터링 기반의 효율적 유전자알고리즘의 체계적인 성능 평가)

  • 원홍희;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98-300
    • /
    • 2002
  • 기존의 유전자 알고리즘은 우리가 원하는 최적해를 찾기 위해서 개체 집단의 크기를 가능한 크게 유지하여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문제들에 있어 개체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젓은 어렵기 때문에 큰 집단의 로든 개체에 대하여 적합도를 평가하는 것은 커다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집단의 크기를 크게 유지하되 적합도 평가 과정을 줄이는 방안으로 클러스터링에 기반한 효율적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평가를 한다. 9개의 벤치마크 적합도 함수에 대하여 여러 클러스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enetic Algorithm with Torus-Form Population (원환체형 모집단 유전자 알고리즘)

  • 강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9-11
    • /
    • 2000
  • 전형적인 단순 유전자 알고리즘은 한 개의 모집단으로 구성되며, 진화 과정이 거듭되면 모집단의 개체들은 한 개의 전역해로 수렴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문제들은 여러 개의 최적해를 가질 수 있으며, 그것들 모두를 찾는 것이 중요한 경우가 많다. 이 논문에서는 모집단을 원환체(Torus)로 구성하고 개체에 이웃의 개념을 부여하여 모집단이 최적해 집단으로 수렴하는 유전자 알고리즘의 변형을 연구한다. 제안한 방법은 개체사이에 이웃이라는 개념을 부여함으로써 다수의 해를 동시에 찾는다는 생각을 넘어서 다양한 변형 유전자 알고리즘에 대한 새로운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artially Evaluated Genetic Algorithm based on Fuzzy Clustering (퍼지 클러스터링 기반의 국소평가 유전자 알고리즘)

  • Yoo Si-Ho;Cho Sung-Bae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9
    • /
    • pp.1246-1257
    • /
    • 2004
  • To find an optimal solution with genetic algorithm,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population sire as large as possible. In some cases, however, the cost to evaluate each individual is relatively high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large popula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novel genetic algorithm based on fuzzy clustering, which considerably reduces evaluation number without any significant loss of its performance by evaluating only one representative for each cluster. The fitness values of other individuals are estimated from the representative fitness values indirectly. We have used fuzzy c-means algorithm and distributed the fitness using membership matrix, since it is hard to distribute precise fitness values by hard clustering method to individuals which belong to multiple groups. Nine benchmark functions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o six hard clustering algorithms with Euclidean distance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s fitness distribution method.

An Enhanced Genetic Algorithm for Optimization of Multimodal (다봉성 함수의 최적화를 위한 향상된 유전알고리듬의 제안)

  • 김영찬;양보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5
    • /
    • pp.373-378
    • /
    • 2001
  • The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an enhanced genetic algorithms is for multimodal function optimization in this paper. This method is consisted of two main steps. The first step is a global search step using the genetic algorithm(GA) and function assurance criterion(FAC). The belonging of an population to initial solution group is decided according to the FAC. The second step is to decide the similarity between individuals, and to research the optimum solutions by single point method in reconstructive search space. Four numerical examples are also presented in this papers to comparing with conventional methods.

  • PDF

Determination of Optimal Cluster Size Using Bootstrap and Genetic Algorithm (붓스트랩 기법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군집 수 결정)

  • 박민재;전성해;오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263-266
    • /
    • 2002
  • 데이터의 군집화를 수행할 때 최적 군집수 결정은 군집 결과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K-means 방법에서는 초기 군집수 K에 따라 군집결과의 성능 차이가 많이 나타난다. 하지만 대다수의 군집분석에서 초기 군집수의 결정은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주관적으로 결정된다. 이때 개체수와 속성수가 증가하면 이러한 결정은 더욱 어려워지며 이때 결정된 군집수가 최적이 된다는 보장도 없다. 본 논문에서는 군집의 수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그 결과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에 기반한 최적 군집수 결정 방안을 제안한다. 데이터의 속성에 근거한 초기 해 집단이 생성되고, 해 집단 내에서 최적화된 군집수를 찾기 위해 교차 연산이 이루어진다. 적합도 값은 전체 군집화의 비 유사성의 합의 역으로 결정되어 전체적인 군집화 성능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수렴된다. 또한 지역 국소값을 해결하기 위해 돌연변이 연산이 사용된다. 그리고 유전자 알고리즘의 학습 시간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 붓스트랩 기법이 적용된다.

Analysis of Optimal Infiltraction Route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침투경로 분석)

  • Bang, Soo-Nam;Sohn, Hyong-Gyoo;Kim, Sang-Pil;Kim, Chang-Jae;Heo, Jo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7 no.1
    • /
    • pp.59-68
    • /
    • 2011
  • The analysis of optimal infiltration pat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elds in which the GIS technology can be useful for the military purpose. Usually the analysis of the optimal path is done with network data. However, for military purpose, it often needs to be done with raster data. Because raster data needs far more computation than network data,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methods usually used in network data, such as Dijkstra algorithm. The genetic algorithm, which has shown great outcomes in optimization problems, was applied. It was used to minimize the detection probability of infiltration route. 2D binary array genes and its crossover and mutation were suggested to solve this problem with raster data. 30 tests were performed for each population size, 500, 1000, 2000, and 3000. With each generation, more adoptable routes survived and made their children routes. Results indicate that as the generations increased, average detection probability decreased and the routes converged to the optimal path. Also, as the population size increases, more optimal routes were found. The suggested genetic algorithm successfully finds the optimal infiltration route, and it shows better performance with larger population.

Heuristic Operation in Evolutionary Algorithms (진화 알고리즘에서 휴리스틱 연산)

  • 류정우;김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25-27
    • /
    • 2001
  • 진화 알고리즘에서 고려할 사항 중 하나는 문제와 관련 있는 진화연산 즉, 교배 연산과 돌연변이 연산을 정의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배 연산은 두 개체의 정보를 교환하는 재조합 연산으로써 진화의 속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돌연변이 인산은 개체집단의 다양성 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진화연산자는 확률에 근거하여 모든 개체에 적용되는 맹목적인 연산이 가질 수 있는 진화시간 지연의 문제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맹목적 진화연산에 의한 진화 시간 지연을 해결하기 위해 휴리스틱 연산을 제안한다. 휴리스픽 연산은 문제의 특성에 맞지 않는 개체에만 적용되는 연산으로 진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휴리스틱 연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클러스터 위치와 개수를 자동으로 찾아주는 문제에 클러스터의 특성을 고려한 휴리스틱 연산인 합병연산과 분할연산 그리고 K-means연산을 정의하여 다차원 실험데이터로 실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 PDF

Pattern Mining of Biological Data by Co-evolutionary Learning with Multi-populations (다중 개체 집단의 공진화적 학습에 의한 바이오 데이터의 패턴 마이닝)

  • Kim Soo-Jin;Joung Je-Gun;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46-48
    • /
    • 2006
  • 현재 각 분야에서 다양한 실험 데이터가 산출되면서 이종(heterogeneous) 데이터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실험에 의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대량의 바이오 데이터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데이터 마이닝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특성이 다른 두 데이터 셋에서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부분 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다중 개체 집단을 유지하면서 상호간 공진화하는 확률적 진화컴퓨팅 방법에 기반하고, 전체의 탐색 포인트들을 분해하여 최적해를 찾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는 효모 유전자에 대한 발현 데이터와 모티프 데이터의 이종 데이터에 적용해 보았으며, 이러한 데이터에 있어서 주요 상관관계가 있는 패턴들을 추출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Application of DNA Test for Individual Traceability in Hanwoo (Korean Cattle) (한우의 개체 추적 검증을 위한 유전자 감식 기법 활용 연구)

  • 이학교;전광주;공홍식;오재돈;최일신;김종대;조창연;윤두학;신형두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4 no.1
    • /
    • pp.8-14
    • /
    • 2004
  • Identification of animals has been made with an ear tag with dummy code, and blood typing has been used for paternity and individual identification in live animals. As various genetic markers are for different cattle breeds vary, the discrete genetic markers are necessary to identify Hanwoo. A total of 740 progeny testing Hanwoo were used to identify Hanwoo specific markers. To examine traceability of individuals by using breed specific genetic codes, four animal were randomly sampled, and traced from live animals to post-slaughter processing stages. The candidate genetic makers used in the study were 16 DNA microsatellites which were identified in romosomes 1 and 14. The number of alleles of those DNA microsatellites ranged from a minimum of 3 to maximum of 12. The heterozygote frequency ranged from 0.022 to 0.824. Effective number of alleles for each DNA microsatellites were 3 to 6. Six selected candidate genetic markers were able ti trace individual cattle with an 100% confidence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