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체군집최적화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Strategies for Exploring Various Regions and Recognizing Local Minimum of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의 다양한 영역 탐색과 지역적 미니멈 인식을 위한 전략)

  • Lee, Young-Ah;Kim, Tack-Hun;Yang, Sung-B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6B no.4
    • /
    • pp.319-326
    • /
    • 2009
  •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is an optimization algorithm in which simple particles search an optimal solution using shared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PSO applications are so numerous and diverse. Lots of researches have been made mainly on the parameter settings, topology, particle's movement in order to achieve fast convergence to proper regions of search space for optimization. In standard PSO, since each particle uses only information of its and best neighbor, swarm does not explore diverse regions and intended to premature to local optima.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article's movement strategy in order to explore diverse regions of search space. The strategy is that each particle moves according to relative weights of several better neighbors. The strategy of exploring diverse regions is effective and produces less local optimizations and accelerating of the optimization speed and higher success rates than standard PSO. Also, in order to raise success rates, we propose a strategy for checking whether swarm falls into local optimum. The new PSO algorithm with these two strategies shows the improvement in the search speed and success rate in the test of benchmark functions.

A Study on Optimization Model of Time-Cost Trade-off Analysis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article Swarm Optimization을 이용한 공기-비용 절충관계 최적화 모델에 관한 연구)

  • Park, U-Yeol;An, Su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8 no.6
    • /
    • pp.91-98
    • /
    • 2008
  • It is time-consuming and difficulty to solve the time-cost trade-off problems, as there are trade-offs between time and cost to complete the activities in construction projects and this problems do not have unique solutions. Typically, heuristic methods, mathematical models and GA models has been used to solve this problems. As heuristic methods and mathematical models are have weakness in solving the time-cost trade-off problems, GA based model has been studied widely in recent. This paper suggests the time-cost trade-off optimization algorithm 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The traditional particle swarm optimization model is modified to generate optimal tradeoffs among construction time and cost efficiently. An application example is analyzed to illustrate the use of the suggested algorithm and demonstrate its capabilities in generating optimal tradeoffs among construction time and cost. Future applications of the model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Determination of Optimal Cluster Size Using Bootstrap and Genetic Algorithm (붓스트랩 기법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군집 수 결정)

  • Park, Min-Jae;Jun, Sung-Hae;Oh, Kyung-W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3 no.1
    • /
    • pp.12-17
    • /
    • 2003
  • Optimal determination of cluster size has an effect on the result of clustering. In K-means algorithm, the difference of clustering performance is large by initial K. But the initial cluster size is determined by prior knowledge or subjectivity in most clustering process. This subjective determination may not be optimal. In this Paper, the genetic algorithm based optimal determination approach of cluster size is proposed for automatic determination of cluster size and performance upgrading of its result. The initial population based on attribution is generated for searching optimal cluster size. The fitness value is defined the inverse of dissimilarity summation. So this is converged to upgraded total performance. The mutation operation is used for local minima problem. Finally, the re-sampling of bootstrapping is used for computational time cost.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Lakes in Jeonnam using SOM (SOM을 이용한 전남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 관계 분석)

  • Cho, Hyeon Jin;Na, Jeong Eun;Jung, Myoung Hwa;Lee, Hak Yo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0 no.1
    • /
    • pp.148-156
    • /
    • 2017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physicochemical factors in 12 lakes located in Jeollanam-do based on the data surveyed from March to November 2014. Totally, 297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including 98 Bacillariophyceae, 148 Chlorophyceae, 23 Cyanophyceae and 28 other phytoplankton taxa. The standing crops ranged from 124 to $59,148cells\;mL^{-1}$ and showed the highest in August with the increase of Cyanophycean cells. The self-organizing map (SOM) was optimized into $9{\times}6$ grid and was classified into 5 clusters based on the similarity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indices. The SOM results showed that phytoplankton communitie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water temperature, SS, DO, BOD, TP and Chl-a, whereas low relationship with pH, TN, $NH_3-N$, $NO_3-N$, $PO_4-P$ and Conductivity. I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showed similar results with SOM.

Study on Water Stage Prediction using Neuro-Fuzzy with Genetic Algorithm (Neuro-Fuzzy와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수위 예측에 관한 연구)

  • Yeo, Woon-Ki;Seo, Young-Mi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2-382
    • /
    • 2011
  • 최근의 극심한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출량의 예측에 관한 사항은 치수 이수는 물론 방재의 측면에서도 역시 매우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강우-유출 관계는 유역의 수많은 시 공간적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여 예측하기 힘든 요소이며, 과거에는 추계학적 예측모형이나 확정론적 예측모형 혹은 경험적 모형 등을 사용하여 유출량을 예측하였으나 최근에는 인공신경망과 퍼지모형 그리고 유전자 알고리즘과 같은 인공지능기반의 모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출량을 예측하고자 할 때 학습자료 및 검정자료로써 사용되는 유출량은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으로부터 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는 이렇게 유도된 유출량의 경우 오차가 크기 때문에 그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위를 직접 예측함으로써 이러한 오차의 문제점을 극복 하고자 한다. Neuro-Fuzzy 모형은 과거자료의 입 출력 패턴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지식으로 보유하고, 이를 근거로 새로운 상황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도록 하는 인공지능분야의 학습기법으로 인간이 과거의 경험과 훈련으로 지식을 축적하듯이 시스템의 입 출력에 의하여 소속함수를 최적화함으로서 모형의 구조를 스스로 조직화한다. 따라서 수학적 알고리즘의 적용이 어려운 강우와 유출관계를 하천유역이라는 시스템에서 발생된 신호체계의 입 출력패턴으로 간주하고 인간의 사고과정을 근거로 추론과정을 거쳐 수문계의 예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적자생존의 생물학 원리에 바탕을 둔 최적화 기법중의 하나로 자연계의 생명체 중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가 좀 더 많은 자손을 남길 수 있다는 자연선택 과정과 유전자의 변화를 통해서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 나간다는 자연 진화의 과정인 자연계의 유전자 메커니즘에 바탕을 둔 탐색 알고리즘이다. 즉, 자연계의 유전과 진화 메커니즘을 공학적으로 모델화함으로써 잠재적인 해의 후보들을 모아 군집을 형성한 뒤 서로간의 교배 혹은 변이를 통해서 최적 해를 찾는 계산 모델이다. 이러한 유전자 알고리즘은 전역 샘플링을 중심으로 한 수법으로 해 공간상에서 유전자의 개수만큼 복수의 탐색점을 설정할 뿐만 아니라 교배와 돌연변이 등으로 좁아지는 탐색점 바깥의 영역으로 탐색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해에 빠질 위험성이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예측과 패턴인식에 강한 뉴로퍼지 모형의 해 탐색방법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해를 찾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우량 및 상류의 수위자료로부터 하류의 단시간 수위예측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항여 소속함수를 최적화 시키는 형태의 Neuro-Fuzzy모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Study on Water Stage Prediction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enetic Algorithm (인공신경망과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수위예측에 관한 연구)

  • Yeo, Woon-Ki;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59-1163
    • /
    • 2010
  • 최근의 극심한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출량의 예측에 관한 사항은 치수 이수는 물론 방재의 측면에서도 역시 매우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강우-유출 관계는 유역의 수많은 시 공간적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여 예측하기 힘든 요소이다. 과거에는 추계학적 예측모형이나 확정론적 예측모형 혹은 경험적 모형 등을 사용하여 유출량을 예측하였으나 최근에는 인공신경망과 퍼지모형 그리고 유전자 알고리즘과 같은 인공지능기반의 모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출량을 예측하고자 할 때 학습자료 및 검정자료로써 사용되는 유출량은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으로부터 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렇게 유도된 유출량의 경우 오차가 크기 때문에 그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우량 및 수위자료로부터 단시간 수위예측에 관해 연구하였다. 신경망은 과거자료의 입 출력 패턴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지식으로 보유하고, 이를 근거로 새로운 상황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도록 하는 인공지능분야의 학습기법으로 인간이 과거의 경험과 훈련으로 지식을 축적하듯이 시스템의 입 출력에 의하여 연결강도를 최적화함으로서 모형의 구조를 스스로 조직화하기 때문에 모형의 구조에 적합한 최적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하천수위를 과거의 자료로 부터 학습된 신경망의 수학적 알고리즘을 통해 유출량의 예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적자생존의 생물학 원리에 바탕을 둔 최적화 기법중의 하나로 자연계의 생명체 중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가 좀 더 많은 자손을 남길 수 있다는 자연선택 과정과 유전자의 변화를 통해서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 나간다는 자연 진화의 과정인 자연계의 유전자 메커니즘에 바탕을 둔 탐색 알고리즘이다. 즉, 자연계의 유전과 진화 메커니즘을 공학적으로 모델화함으로써 잠재적인 해의 후보들을 모아 군집을 형성한 뒤 서로간의 교배 혹은 변이를 통해서 최적 해를 찾는 계산 모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의 가중치를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해 최적화시킨후 오류역전파알고리즘에 의해 신경망의 학습을 진행하는 모형으로 감천유역의 선산수위표지점의 수위를 1시간~6시간까지 예측하였다.

  • PDF

The Effect of Sample and Particle Sizes in Discrete Particle Swarm Optimization for Simulation-based Optimization Problems (시뮬레이션 최적화 문제 해결을 위한 이산 입자 군집 최적화에서 샘플수와 개체수의 효과)

  • Yim, Dong-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40 no.1
    • /
    • pp.95-104
    • /
    • 2017
  • This paper deals with solution methods for discrete and multi-valued optimization problems.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problem incorporates noise effects generated in case that fitness evaluation is accomplished by computer based experiments such as Monte Carlo simulation or discrete event simulation. Meta heuristics including Genetic Algorithm (GA) and Discrete Particle Swarm Optimization (DPSO) can be used to solve these simulation based multi-valued optimization problems. In applying these population based meta heuristics to simulation based optimization problem, samples size to estimate the expected fitness value of a solution and population (particle) size in a generation (step) should be carefully determined to obtain reliable solutions. Under realistic environment with restriction on available computation time, there exists trade-off between these values.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sample and population sizes are analyzed under well-known multi-modal and multi-dimensional test functions with randomly generated noise effect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performance of DPSO is superior to that of GA. While appropriate determination of population sizes is more important than sample size in GA, appropriate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is more important than particle size in DPSO. Especially in DPSO, the solution quality under increasing sample sizes with steps is inferior to constant or decreasing sample sizes with steps. Furthermore, the performance of DPSO is improved when OCBA (Optimal Computing Budget Allocation) is incorporated in selecting the best particle in each step. In applying OCBA in DPSO, smaller value of incremental sample size is preferred to obtain better solutions.

A Review on Efficient Operation Technology of Compost Depot (퇴비사의 효율적인 운영기술에 대한 고찰)

  • Yang, Il-Seung;Ji, Min-Kyu;Jeon, Byong-Hun
    • Clean Technology
    • /
    • v.23 no.4
    • /
    • pp.345-356
    • /
    • 2017
  • The composting is a biological process that converts organic matter into useful resources such as fertilizers. It is a continuous transi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to adapt changes in organic matter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arbonation rate, temperature, humidity, oxygen supply, pH, etc.). Most of the composting plants are located in the proximity of the residential areas. It is a general scenario where government authorities receive complaints from the local residents due to release of odor from the composting, and has become a social problem in Korea. Identification of dominant microorganisms, understanding change in microbial communities and augmentation of specific microorganism for composting is vital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composting, quality of the compost produced, and reduction of odor.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s and methods for compost depot to reduce odor generation. Th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microorganisms and their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are effective to promote composting. The optimal growth conditions of bacteria such as aeration (oxygen),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standardized to maximize composting through microbial degradation. The use of porous minerals and moisture control has significantly improved odor removal. Recent technologies to reduce odor from the composting environment and improved composting processes are also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