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천(盖天)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건축 디자이너 김개천-건축에 무한을 담고 싶다

  • Lee, Gi-Won
    • 주택과사람들
    • /
    • s.207
    • /
    • pp.86-87
    • /
    • 2007
  • 김개천은 건축가이면서 건축가가 아니다. 그는 자신이 때와 상황에 따라 다른 호칭으로 불리기를 원한다. 그리고 굳이 불려야 한다면 디자이너로 불리기를 바란다. 문학과 철학, 종교에까지 조예가 깊었던 옛 선비들의 삶을 동경한다는 그는 디자이너야말로 선비에 가장 가까운 현대적 직업이라고 생각한다.

  • PDF

Flood Stage Reconstruction from the Historical Documents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하천 수위 관측 자료의 복원)

  • Kim, Hyeon-Jun;Cho, Han-Bum;Noh, Seong-Ji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41-344
    • /
    • 2007
  • 조선시대에 도성의 개천과 한강변에서 하천 수위를 측정하였다. 세종 23년(1441년)에 측우기와 수표(水標)를 제작하여 강우량과 하천수위를 측정하기 시작한 것이다. 수표는 지금의 청계천과 한강변두 곳에 설치하였다. 와다유찌는 조선고대의 관측기록을 정리하면서 측우기 기록을 분석하였고, 수표 기록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 자료에서 수표 관측 기록을 복원하여 조선의 도성인 개천(청계천)과 한강의 홍수 기록을 복원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복원한 승정원일기와 기우제등록에 수록된 수표의 관측기록은 와다유찌가 조사한 기록을 상회한다. 와다유찌가 조사한 기록은 명종 1554년부터 영조 1778년까지인데, 1554년의 기록은 1회에 그치며, 인조11년(1633) 이후의 기록이 대부분이다. 이 점은 기우제등록의 경우도 유사하다. 기우제등록은 인조 11년부터 고종 26년(1889)까지의 기우제, 기청제, 기설제에 대한 기록을 정리한 것으로 전체 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우제 기록과 함께 수표기록(중부, 남부, 한강 및 수표)이 포함되어 있다. 기우제등록에 수록된 수표기록은 총 690회에 이르지만, 1779년 6월 11일의 3척 5촌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의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숙종의 재위 기간에는 1669년부터 1791년까지 매년의 홍수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한강의 수위와 도성안 개천에서 중부수표와 남부수표 2곳의 수표 기록을 있으나, 숙종 23년(1697)부터는 중부수표만 기록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의 10척을 상회하는 홍수는 20번의 기록이 있다.

  • PDF

Economic Value Measurement of Local Festival Using Improved Travel Cost Method (TCM): Focused on Gaecheon Arts Festival in Jinju, Korea (개선된 여행비용차이추정법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가치측정: 개천예술제를 중심으로)

  • Yu, Jung-Sub;Lee, Jae-Dal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7 no.4
    • /
    • pp.133-153
    • /
    • 2013
  •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Gaecheon Arts Festival in Jinju, Korea. To measure the value of the festival, improved travel cost measurement that applied new weight concept from the Travel Cost Measurement(TCM) proposed by Peares(1972) was used. The total value was evaluated to approximately 2,270.057 billion KRW. The result showed that travel cost items affecting on economic value of the festival were transportation, food and beverage, shopping, accommodation, amusement and entrance fee in order. The effect of accommodation due to the visitors' surplus was small, due to day trip participation trend??. Because accommodation, shopping and entrance fee, therefore, directly affect the regional economy, it is necessary for festival planning party to develop the program for tourist accommodation and so forth. Fina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s through the more objective, clear comparison and measurement of economic value between local festivals using improved travel cost estimation method.

A Study on the Grounding Method of Temporary Facilities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토목건설현장 임시설비 접지방법에 관한 연구)

  • Yoon, B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35-13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건설현장 중 토목건설현장의 임시설비 기계, 기구 등의 접지저항치를 안전하게 최대한 낮추어 감전 재해율을 저감하기 위한 연구이며, 토목건설현장 주변의 설치되어 있는 기존 시설물 흙막이, 가드레일, 개천의 물 등을 이용한 접지시설을 통해 각종 사용되는 임시설비의 감전재해 저감을 위함이다. 최근 건설현장 안전관리에 대한 임시설비 등의 기계화, 안전장치 등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의 감전 재해율은 크게 감소하지 않는 추세라 이를 보완, 보호하기 위해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건설현장 중 접지시설 설치가 곤란하고 어려운 토목건설현장 대상으로 감전재해 형태의 예방효과를 별도의 재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현장 주변 시설물 대상을 이용한 접지시설을 설치하여 실제로 실험을 통해 접지저항치에 대해 측정하였다.

  • PDF

누가 한 물 갔다 했는가? RF온라인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11 s.162
    • /
    • pp.92-93
    • /
    • 2006
  • 어려운 경기 탓에 지갑은 얇아도 한가위가 있어 마음만은 풍요로웠던 10월이 지나갔다. 앞뒤로 주말에다가 징검다리 휴일로 개천절까지 끼어 있어 유난히 길게 느껴졌던 연휴로 게임이용량이 줄지 않을까 우려했지만, 오히려 지난 한달 동안 게임 사용량은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 PDF

행사 - 파주북소리 2014 성료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3 no.11
    • /
    • pp.48-49
    • /
    • 2014
  • '파주북소리 2014'가 지난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열흘 동안 파주출판도시에서 열렸다. 올해로 4회를 맞은 파주북소리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대한민국 대표축제의 하나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파주시 후원으로 진행됐다. 올해 행사는 주말외에도 개천절, 한글날 등 공휴일이 포함돼 있어 어느 해보다 않은 사람들이 행사장을 찾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