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 클라우드 컴퓨팅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8초

퍼스널 클라우드 보안 표준화 동향

  • 박준영;나상호;허의남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62-67
    • /
    • 2012
  • 퍼스널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개인 사용자들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서비스이다. 국내외에서 IT기업을 중심으로 퍼스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표준기술 없이 개발된 퍼스널 클라우드 서비스는 각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종속되어 호환성이 낮으며, 서비스 및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 정책도 명확하지 않고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보안 가이드라인도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퍼스널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정의 및 요구사항과 퍼스널 클라우드 보안 기술에 대한 보안 표준화를 분석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안전한 이용과 활성화를 위한 법적 과제

  • 이창범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2-43
    • /
    • 2010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 기업들이 서비스의 가용성 및 데이터 보안, 자사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 확보, 종속성 등의 문제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이용을 꺼리고 있다. 이 같은 문제들은 기술개발, 표준화, 표준약관, 서비스수준협약(SLA) 등으로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데이터가 여러 국가에 복제되어 분산 저장될 경우 데이터의 국외이전 금지 문제, 데이터의 보관 및 파기 의무, IT 컴플라이언스 수탁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위탁자의 책임, 자신의 데이터센터에 저장된 불법정보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제공자의 책임범위, 클라우드 서비스제공자의 책임제한 등 현행법상의 법적 규제와 충돌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법. 제도적 접근과 검토가 필요하다.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촉진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이 법 제도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1) 클라우드 서비스나 솔루션을 시험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구축 등 시범사업 근거 마련, (2) 분야별 특화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정부시책 추진 및 지원 근거 마련, (3) 민 관의 포괄적 협력 기반조성 및 정부의 기술 개발연구 지원체계 마련, (4) 사전 인증 및 사후 보증체계 구축을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신뢰성 및 안정성 제고, (5) 클라우드 서비스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6)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보보안, 개인정보보호 등 각종 법률 이슈와 예상되는 다양한 이해관계 충돌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서비스제공자와 이용자 대상의 지침 근거 마련, (7) 클라우드 속에 있는 기업의 정보지산에 대한 접근권 보장, (8) 정보자산의 실제 위치와 선택권 보장, (9) 정보자산의 부적절한 접근 방지와 오남용 방지, (10)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기업 또는 서비스 자체의 영속성 보장, (11) 서비스 장애 책임범위와 분담, (12)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등에 대한 규정이 고려되어야 한다.

개인용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국 사례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of Personal Cloud Computing Service: A Case of Chinese Users)

  • 김수현;손호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877-884
    • /
    • 2013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도 바이두를 중심으로 개인용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는 경우 서비스 수용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개인용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인용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형을 토대로 프라이버시, 정보활용 욕구, 서비스 유형, 서비스 적절성, 시스템 품질, 시스템 보안 등의 연구변수를 포함하여 확장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고, 설계한 연구모형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실증하였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프라이버시, 서비스 적절성, 시스템 품질, 시스템 보안 등의 요인은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주며 결국에는 서비스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보활용 욕구와 서비스 유형은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분산 데이터 관리 기법 (Distributed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 for Privacy in Cloud Environment)

  • 차정훈;강정호;박종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65-467
    • /
    • 2020
  • 최근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은 개개인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기능하지만, 실생활에서 디지털 정보의 의존성을 높이게 되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실시간으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들을 로컬 서버에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웃소싱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데이터를 외부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여 저장하게 되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로 인한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클라우드 서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암호화가 복호화될 수 있으며, 특히 클라우드 서버에서 Offline Bruteforce 공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분석한다.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전한 분산 데이터 관리 기법에 대해 고찰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를 위한 모니터링 서비스 설계 (Design of Cloud Monitoring Service for User in Cloud Computing)

  • 이하나;김혁호;김양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92-795
    • /
    • 2009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다수의 고객들에게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가진 IT 자원들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컴퓨팅이다. 데이터 센터내의 가상화된 스토리지를 할당 받아 개인의 PC 환경처럼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현재 리소스 사용률 등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이런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센터내의 할당 받은 사용자의 스토리지 리소스 사용량, 서비스 정보, 데이터 전송률을 모니터링 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 해주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를 위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안한다.

클라우드 컴퓨팅기반 개인 맞춤형 가상머신 임대 서비스 구현 (Cloud Computing-based Personalized Virtual Machine Lease Service)

  • 황인찬;최경근;이봉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5-12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가상머신 임대 서비스 구현을 위해 OpenNebula 기반의 클라우드 클러스터를 구축하였다. 클라우드 클러스터는 1대의 Front-End와 4대의 클러스터 노드로 구성하고 클러스터 노드에는 Xen을 통하여 서버 가상화를 실현한다. 사용자는 개인 맞춤형 가상머신 요구사항 템플릿을 작성한 뒤 Front-End를 통하여 클라우드 클러스터에 가상 머신 임대 서비스를 요청한다. 본 실험에서 총18개의 가상머신을 임대하는 서비스를 실행하여 생성된 가상 머신의 동작 및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Cloud Computing에서의 가상 데스크 톱 접속을 위한 효율적인 접속 방법 연구 (A Study for Efficient Connection Method with Access to Virtual Desktop on Cloud Computing)

  • 박석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07-508
    • /
    • 2009
  • 최근 IT는 cloud computing이라는 새로운 컴퓨터 프러다임에 대해서 정부와 많은 IT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클라우드 컴퓨팅를 제시한 크리스토프 비시글리아의 생각대로, cloud라는 공간에 개인 컴퓨팅 환경을 이용했을 때 발생되는 네트워크 트래픽 문제를 분석하여 향 후 클라우딩 컴퓨팅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가상 데스크 톱 연결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것은 향 후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지각된 가치와 신뢰가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치기반수용모델을 기반으로 (Impacts of Perceived Value and Trust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of Individuals' Cloud Computing: The Perception of Value-based Adoption Model)

  • 김상현;박현선;김보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77-88
    • /
    • 2021
  • 모바일 기기의 확산, 디지털 데이터의 증가, IT 자원 비용 문제 등의 환경 변화로 많은 사람이 개인용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데 유용한 서비스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클라우드 컴퓨팅 채택 및 수용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개인 사용자가 인지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아직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치기반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제안하고 연구모델을 설정하였으며 AMOS 22.0과 SPSS 23.0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유용성, 정보접근편의성, 확장성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염려와 비용은 지각된 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가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는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개인 사용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모바일 클라우드 표준화 동향 및 전략

  • 이강찬;이승윤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10호
    • /
    • pp.44-49
    • /
    • 2011
  • 최근 몇 년간 웹의 확산을 통해 기존 IT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 열풍이 또 한번의 새로운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웹과 모바일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시너지 효과가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상보다 너무 빠른 클라우드로의 이동은 기존 비즈니스를 파괴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을뿐 만 아니라 모바일 클라우드를 통한 서비스 경쟁을 과열시키는 양상까지 초래하고 있다. 모바일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편리성과 확장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플랫폼 및 운영체제 비종속적인 개방환경의 N-Screen 지향성의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모바일 단말에 심리스하게 서비스제공, 모바일 단말의 자원을 연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하는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요 분류체계, 그리고 관련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도록 한다.

퍼스널 클라우드 보안 Framework (Personal Cloud Security Framework)

  • 윤가람;이봉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00-702
    • /
    • 2011
  •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퍼스널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개인화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퍼스널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과 문제점인 기업의 기술과 서비스의 독점 및 종속성에 대한 문제점과 함께 보안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퍼스널 클라우드에서의 보안 위협들을 살펴보고 보안 위협으로부터 대응을 위한 퍼스널 클라우드 보안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퍼스널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 안전한 인프라를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