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적 신뢰

검색결과 944건 처리시간 0.027초

코로나19 확진자 개인정보 공개의 개인적, 사회적 수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onal and Social Accepta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of COVID-19 Confirmed Patients)

  • 오주연;서우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49-61
    • /
    • 2021
  •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우리 사회는 개인정보 공개에 대해 부정적인 또는 비협조적인 태도를 가진 확진자들로 인해 코로나19의 피해가 확산되는 경험을 해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자의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용성의 개념을 개인적 수용성과 사회적 수용성으로 구분하여 그것들의 영향요인들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594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개인정보 관리역량에 대한 신뢰가 클수록 개인정보 공개에 따르는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이 낮을수록 코로나19 확진자의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효용성을 크게 인식할수록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수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논의는 향후 코로나 19 뿐만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재난 상황에서도 국민들의 정보공개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보다 성숙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SNS-based Advertising and the Roles of Involvement: Focusing on Facebook News Feed Advertising)

  • 이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88-202
    • /
    • 2014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뉴스 피드 광고 태도 영향 요소로서 정보성, 오락성, 성가심, 신뢰성, 개인화, 인센티브, 프라이버시 염려 등의 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들 요인들이 뉴스 피드 광고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요인과 뉴스 피드 광고 태도 속에서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성과 오락성이 한 요인으로 구성된 인포테인먼트성, 신뢰성 및 개인화가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여도는 성가심과 광고 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소비자들에게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광고의 인포테이먼트성, 신뢰성 및 개인화의 측면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 마케팅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ssage Framing Types of Sustainable Marketing Campaigns of Luxury Impacting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Brand Trust)

  • 김민정;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245-252
    • /
    • 2024
  • 본 연구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지속가능 마케팅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이라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이 갖는 상호작용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로 하여금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을 높였으며, 수용자의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은 각각 해당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임이 직접적으로도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는데 있어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보안관 제도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School Sheriff System as a Security Guard Field)

  • 강민완;김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774-784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폭력 및 학교안전을 위한 학교보안관 제도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제도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학교보안관이 배치되어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2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최종분석에는 189명을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전문가회의와 요인분석, 신뢰도는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통계처리는 카이스퀘어 검정과 t검정, F검정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학교보안관 제도의 필요성은 차이가 있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학교보안관 제도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다. 셋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학교보안관의 역할 인식은 차이가 있다. 넷째, 학교보안관의 역할 활동인식은 차이가 있다. 다섯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학교생활안전에 도움정도는 차이가 있다. 여섯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학교보안관 만족은 차이가 있다.

조직의 메세나 관심이 내부 조직원의 메세나 관심도와 참여도 및 조직 신뢰, 애착,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cenat Interests on Individual Mecenat Interests, Participation, Organizational Trust, Commitment, Loyalty)

  • 주순이;김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45-156
    • /
    • 2017
  •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활동을 지칭하는 메세나(mecenat)는 고객, 이해관계자, 지역사회와 더불어 기업문화 강화는 물론 사회공헌과 문화마케팅 도구로 활용되면서 단순 예술후원이나 협찬의 개념을 넘어 기업 경영의 다양한 활동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전략적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내 조직원들에게 미치는 조직의 메세나 관심 및 조직원 참여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기업 임직원 438명을 대상으로 조직과 개인의 메세나에 대한 관심도가 조직원들의 메세나 활동 참여도를 통해 조직 신뢰, 애착,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메세나에 대한 조직의 관심이 높을수록 조직원 개인의 메세나 관심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관심도가 높은 직원의 메세나 참여도가 높았으며, 결국 조직 신뢰와 애착,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의 메세나 활동이 조직문화 강화에 효과적이며, 단순히 기부나 후원활동이 아니라 내부 조직원의 관심과 참여와 함께하는 능동적인 활동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품질 관점에서 웹사이트의 신뢰와 서비스가치, 그리고 보안인식의 조절효과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curity Awareness on Trust and Service Value in Website)

  • 박준기;이혜정;김기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217-1232
    • /
    • 2017
  • 웹사이트는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보안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의 보안인식이 웹사이트 품질요소와 신뢰, 정보품질과 서비스가치 간의 관계에 어떤 조절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 연구이다. 중고등학교 학생 및 학부모 6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사용성을 제외한 웹사이트 품질요소는 웹사이트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웹사이트 정보품질은 서비스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서비스가치는 신뢰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사이트 보안인식은 정보품질과 서비스가치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사용자들이 보안수준이 낮은 웹사이트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웹사이트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부중단자의 특성 및 기부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apsed donors' characteristics and giving behavior)

  • 정정호;김미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241-266
    • /
    • 2008
  • 개인기부자는 비영리기관의 사회적 신뢰 및 자원 확보를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기반으로, 기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기부자, 기부자, 기부중단자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중 기부중단자의 특성 및 중단이후 기부행위에 관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진 초기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우선 대부분의 기부중단자는 경제적 상황과 관심의 변화(타기관 혹은 다른 대의명분으로의 관심이동)로 인해 특정기관에 대한 기부중단을 결정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기부실망자가 아니고, 따라서 기부를 아예 중단하기보다는 기부를 다시 시작하는 경향이 높다. 그리고 이전 기부대상에 대한 신뢰(긍정적인 기부경험)는 이처럼 기부중단자가 다시 기부를 시작하게 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기부자의 기관신뢰는 비영리기관의 현 기부자 유지 차원에서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기부를 중단한 이후에도 비영리부문 전체에 대한 신뢰를 잃지 않고 다시 기부를 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비영리기관과 기부자와 맺는 긍정적인 관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on the Job burnout -Trustworthi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 김진욱;장영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185-211
    • /
    • 2016
  • 본 논문은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의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독립변수인 학습조직활동 중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학습 조직화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말해 질문하고, 피드백을 주며 다양한 학습방법을 실험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조직의 노력과 팀의 효과적인 활용을 강화할 수 있는 협력적인 학습이 직무소진의 핵심적 차원으로 간주되는 정서적 탈진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서적 탈진으로 인하여 자신의 고객, 동료, 직무 등에 대하여 부정적이고 냉소적이며, 형식적으로 처리하여 더 이상의 정서적 탈진을 막으려고 하는 비인격화도 낮춰주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 학습 조직화은 직무상에서 성취도 부족으로 생기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인 개인성취감감소 또한 낮춰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 분석의 결과, 독립변수 가운데 전략적 학습리더십과 직무소진 중 비인격화와 정서적탈진과의 영향관계에서 신뢰성(정직성, 호의, 능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국 상사가 가지고 있는 신뢰성은 리더들이 변화를 주도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학습이 조직구성원들의 정서적탈진과 비인격화를 완화시키는데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AI(Appreciative Inquiry)와 같이 긍정적 탐구를 위한 질문법과 강점을 발견하기 위한 피드백분석과 같은 학습차원에서 의사소통이 직무소진을 완화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리더의 개인의 역량으로 볼 수 있는 전략적 학습리더십이 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사의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다.

  • PDF

소상공인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 자본이 창업의지와 창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 창업 컨설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mall Business Own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Anxiet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Consulting)

  • 봉구원;김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91-204
    • /
    • 2019
  • 생계형 창업의 절박함과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 등 소상공인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창업의지와 창업불안에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자본이 차별적인 영향력을 미치는지, 그리고 선행요인과 창업의지 및 불안과의 관계에서 창업컨설팅 경험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223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창업의지에는 모든 개인적 특성, 네트워크, 신뢰 자본과 컨설팅 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창업불안에는 외적통제성과 호혜성 규범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컨설팅 경험은 위험감수성향과 네트워크 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키고, 외적 통제성이 창업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창업불안과 창업의지의 차별적 효과 및 창업컨설팅의 조절 효과를 규명한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후속연구에서는 창업불안에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복지지위가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Welfare Status on Welfare Attitud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 최고은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125-150
    • /
    • 2016
  • 본 연구는 복지지위가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각 개인의 정부신뢰 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복지인식의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알려진 복지지위에 주목하며, 각 개인의 복지지위를 단일한 차원으로 측정하고자 복지부담-혜택 간 격차를 '물질적 희생(material sacrifice)'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물질적 희생'과 정부신뢰가 '복지확대를 위한 비용부담의지'로 구체화되는 복지인식에 가지는 직접효과와, '물질적 희생'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기제로서 정부신뢰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8차년도"의 "복지인식부가조사"에 응답을 완료한 4,185명을 연구대상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복지지위에서 복지부담(조세 및 사회보험료지출)이 복지혜택(사회보험, 공공부조급여 및 각종 정부보조금)보다 커지는 '물질적 희생'이 증가할수록 '복지확대를 위한 비용부담의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가 사회정책을 유능하게 수행할 것이라는 신뢰가 높아질수록, '물질적 희생'이 '복지확대를 위한 비용부담의지'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완화됨이 확인되었다. 이는 복지태도를 결정하는 일차적 동기인 자기이해 역시 정부기능에 대한 믿음이나 기대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복지확대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견인하기 위해 사회정책에 대한 신뢰 확충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