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의 가치관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Last Phase of Life.Life Completion.Palliative Care Model (생의 마지막 단계.삶의 완결.완화간호 모델)

  • Kim, Dal-Soo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2 no.3
    • /
    • pp.115-121
    • /
    • 2009
  • Despite a recent increased nation's attention given to improving end-life care, we professionals need to be more critical and reflective on our realities surrounding hospice palliative ca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palliative care models can be used for patients/families in the last phase of life and examine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for caring them in congruence with philosophy of hospice. The hospice experience model (HEM) of Eagan & Labyak and the developmental model of Byock are introduced and examined for their congruence with philosophy of hospice in applying to clinical practice. The HEM as a patient/family value-directed end of life care model emphasizes three principles; unique experience of patient/family, interactions/relationships among multiple dimensions of personhood and between family, and personal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face of suffering through a life-completion. The developmental model stipulates dying as the last stage of living, a stage of life cycle in which patients/family may have growth through life-completion in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s of personhood. The model includes the developmental landmarks and tasks for life-completion as the framework to guide a means of professionals' to recognize their opportunity to grow. The landmarks and tasks include worldly and social affair, individual relationships, intrapersonal, and transcendent dimension. The models could work as appropriate palliative care models for patients/families in the last stage of living. The professionals need to be encouraged to apply the models to end of life care setting.

  • PDF

SIGN OF ADVERTISING DESIGN - FOCUSED ON METAPHORICAL EXPRESSION - (담론으로서의 기호표현 - 광고의 은유적 표현을 중심으로 -)

  • 이지은;김지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1
    • /
    • pp.209-218
    • /
    • 1998
  • Information is the most important rather then wealth in the information age. According to propagation of the information by new media, this era is called communication innovation age. And away of thought and life style as well as a society system are changing. Propagation by newspaper and TV as well as new media makes new view on value of consumers, and they recognize propensity to consume as needs from emotion rather than economical value. Changes of thoughts make lots of innovation:from one side, modern design to multi-meanimg design, from consuming of products to consuming of the image, from outer object to inner object, from consuming by mass to consuming individually by fashion. It means the possibilities that a meaning could be interpreted variously. Sign is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on with discourse, which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meaning maker and meaning solver. In this study, various expression of sign in advertising were divided into direct expression and metaphoritical expression which was analysed deeply because it was recoquized as proper expression methed in postmodem design.

  • PDF

A Study on Motivation and Utilization of SN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Moon, J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11
    • /
    • pp.271-27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motivation, functional motivation, playful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motivation affect SNS user satisfaction in order to find out what factors are important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using SNS. As a result, playful motives, functional motives, and psychological motives except social motives have an effect on SNS user satisfaction, and this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value 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ason wh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use SNS is that they need it and enjoy it, that is, they use SNS from a personal point of view, and are not related to social phenomena. However, social motiv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and playful motives. In other words, various social phenomena, which are social motives, provide an opportunity and theme for the use of SNS, and functional motives have positive effects on playful and psychological motives. In other words, th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S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ection and use of SNS.

Development of Happiness Index of Korea (한국의 행복지수 개발)

  • Hwang, Myung-Jin;Shim, Su-Jin
    • Survey Research
    • /
    • v.9 no.3
    • /
    • pp.93-117
    • /
    • 2008
  •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the Happiness Index of Korea. "Happiness" reflects various aspects of human lives such as individual experiences, values systems and personal goals as well as social census for the welfare system which is embedded within the social norms, justice system and the ultimate goal for the modem democratic state. In this regard, it gains mor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numeric and objective measurements for the overall level of the happiness of a society. However, while an accurate and relevant measure of happiness will serve for policy makers as sources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policies in one hand, the making of "happiness" index in the other hand may have to deal with various obstacles in tenns of agreeable definitions, data acquisition, qualification of it. The study includes an analytical review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cases of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indices. Methodological development for the national happiness index by using data sources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system is suggested for a further study.

  • PDF

A Literature Study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offee Market in Japan - Focusing on a Specialized Japanese Coffee Store System - (일본 커피시장의 발전 과정에 관한 문헌적 연구 - 커피전문점 시장을 중심으로 -)

  • Kim, Soon-Ha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6 no.2
    • /
    • pp.155-169
    • /
    • 2010
  • Only specialized coffee stores which have a competitive power will survive in the future and what matters is that how well they satisfy customers. A variety of costumers regard their individuality as important and prefer the store which meets their value. Therefore, managers should have a marketing strategy which comes up to customers' expectations with a clarified concept. In this respect,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e of a specialized Japanese coffee store system which is similar to that of Korea and its chang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ideal strategy for a specialized Korean coffee store system after investigating Japanese various kinds of coffee, their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Japanese coffee market trend. According to this results, Korean studies on coffee are just focusing on the quality of ser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cale of stores, the classification between domestic coffee stores and those of foreign enterprises,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individual coffee stores and franchised coffee stores.

  • PDF

Deep Learning-based Happiness Index Model Considering Social Variables and Individual Emotional Index (사회적 변수와 개개인의 감정지수를 함께 고려한 딥러닝 기반 행복 지수 모델 설계)

  • Sumin Oh;Minseo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489-493
    • /
    • 2024
  • Happiness index is a measurement system for understanding collective happiness. As values change, studies have been proposed to add the value of behavior to the happiness index.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analyze the relationship using individual emotions. Using a deep learning model, we predicted happiness index using social variables and individual emotional index. First, we collected social and emotional variable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20. Second, we preprocessed the data and identified significant variables. Finally, we trained deep learning-based regression model. Our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using 5-fold cross validation. The proposed model showed 90.86% accuracy on test sets. Our model will be expected to analyze the significant factors of country-specific happiness index.

우리나라 직장 정신보건제도의 방향과 전망

  • Baek Do-Myeong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5a
    • /
    • pp.73-83
    • /
    • 2002
  • 우리 사회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사회와 가정에서의 기능상의 부적응을 초래하는 정신적 문제는 경제활동인구에 있어 가장 흔한 보건의료상의 문제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신보건제도 마련에 있어 가장 극심한 부적응을 보이는 정신적 장애를 지닌 환자를 위주로 수용시설과 지역사회에서의 재활과 관리에 그 초점을 두어 왔다. 즉 직업스트레스와 같은 일시적인 사회심리적 갈등으로 인한 신체증상의 호소나 알을 및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으로부터 일생동안 관리되어야 하는 지능저하나 학습장애와 같은 만성적인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사업장과 지역사회에서의 정신적 문제들 중 그 일부만이 제도적으로 관리되어 왔다. 실제 그 동안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행정적 관심은 일부 장애인의 취업 문제를 제외하고는 없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 사회의 산업구조와 경제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노동내용과 조건상 유연화의 증대가 많은 직장에서 노동강화로 이어진다는 점, 그리고 가족 및 교류집단을 비롯한 전통적인 사회적 지지구조가 와해되고 있다는 점과 정신적 문제로 인한 기능상 부적응의 척도가 한편으로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계속 그 영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등에서 직장 내 정신보건 문제는 앞으로 더욱 그 비중이 커질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제도적 접근에 대한 검토 또한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현재까지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신보건관리의 현황을 단편적으로 파악해 보았을 때, 단지 일부 기업에서 취업시 내지는 부서 배치시 성격검사를 비롯하여 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기업윤리확보 차원에서 비정규적으로 사기앙양을 주목적으로 하는 집단적인 교육이나 단체훈련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신심리적 문제를 개인적 차원에서 그리고 또한 조직적 차원에서 체계화된 프로그램으로 관리하고 있는 사례는 아직 없다. 앞으로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하여 제도적인 접근을 하기 위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조건들이 구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 번째로 문제점 그 자체의 내용과 그 규모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예측이 가능하여야 한다. 즉 제도 전체의 운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제가 함께 있어야 제도가 실제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최소한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문제점의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개입내용 및 개입지점의 확보가 가능하여야 한다. 특히 직장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는 시범사업과 시장을 통한 소비자, 즉 사업주들의 자발적인 선택을 통하여 검토되고 걸려져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제도 운영의 대상, 특히 정신보건문제를 안고 있는 노동자들의 자발적인 동의가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정신적 문제가 안고 있는 편견과 그로 인한 차별이 가져다주는 문제를 함께 고려하면서 제도가 운영되어야 하며, 이에 있어 제도 운영상 노동자들의 주체적인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상 고려되는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제도적 접근을 담기 위하여서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전문가 집단의 양성과 같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과 이들의 인허가 및 사업화에 따른 적용기준 및 의무의 설정과 같은 제도적 접근에 그쳐서는 그 실효성을 담보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노사의 공감대를 이루어 내는 것이며, 사회 전반적인 인식의 확산과 더불어 바람직한 관리모습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을 도출해 내는 것이 제도적인 접근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 조건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 정신보건문제를 바라보는 기존의 가치관이 부정적이고 고착화된 모습만을 강조하였으나, 이제는 점차 긍정적이 사회활동에 수반되는 역동적인 모습으로서 비추어지는 것이 많아진다는 측면에서 그 전망을 밝게 하여 주고 있다.

  • PDF

A Study on Value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the Relations among Values (과학영재학생의 가치 특성 및 가치유형 간 상호 관계성 분석)

  • Ju, Yeong-Hyeon;Choe, Ho-Seon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2 no.3
    • /
    • pp.679-702
    • /
    • 2012
  • Values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which acts as an indicator showing each person's individual path of life. many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values function as standards that guide thought and action. Values lead us to take particular positions on social issues and they predispose us to favor one perspective over another.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for the establishment of one's values. The values established during such a period become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one's right personality and contents of life.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take a study about the values possessed by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in Korea. There have been several researches regarding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in Korea.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research regarding their values in lif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values shown by 468 high-school students from two special schools for gifted students by using Schwartz's Value Survey Scale which is consisted of 57 value categories and 10 value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ents from the special high-school for gifted children tend to promote such value types as 'autonomy' and 'stimulation' the most. Conversely, the same students tend to deny or ignore such value types as 'power' and 'tradi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regarding the values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as the first research of its kind targeting gifted students in Korea. It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shown by gifted students in Korea.

The Role of Women in Health Care in Korea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44-50
    • /
    • 1984
  • 한국여성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 속에서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종사해왔다. 그러나 산업화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여성들도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변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반면에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함으로서 가족 내에서의 자녀양육을 비롯한 가정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여성에게 현재의 사회구조와 핵가족 속에서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역할사이에서는 여성은 갈등과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이중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여성-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은 부계 중심의 혈연 계승을 중요시하는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계 계승을 통한 가족의 영속성과 가 중심사상에 기반을 둔 철저한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전통적 사회를 지배하여 왔다. 그러므로 자연히 개인보다 가족집단이 우의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행동의 결정에도 중요한 준거 집단이 되었다. 이러한 가의 영속 및 번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녀를 필요로 했으며 부계중심 가족에서 자연히 남아 선호사상이 강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조상에 대한 의무요 책임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가부장권의 확대에 반비례해서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축소되어갔다. 여성들의 절대적인 예속을 필요로 하여 삼종지도니 칠거지악이니 불경이부등의 도덕률을 만들었으며 여성들 스스로가 이러한 정절과 복종을 미덕으로 생각하도록 교육받음으로서 여성들 자신이 자기희생의 굴레 속에서 인내와 복종의 생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남편과 자식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희생하게끔 철저히 사회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가족 제도 안에서의 남녀의 지위는 동위 항렬 내에서만 해당되고 항렬을 달리할 때는 삼종지도의 이론에 부합된다. 어머니로서의 존장련이 인정되어서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에 비하여 모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상례와 제례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가 없으며 내외 명부제도에 의해서 부인도 남편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존장련에 의한 모의 권리와 더불어 부부유별에 의해서 가사권의 독자적인 결정권도 인정되고 있었다.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 전통적으로 건강관리에 관련된 한국여성의 역할은 1. 씨받이로서의 역할로 생명을 잉태하도록 돕고 건강한 아이의 수태를 위해 태교에 힘썼으며 2. 자녀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가사 역할만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출산한 생명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는 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으나 정서, 사회면은 도외시 한 과잉보호현상이었다. 3. 결혼 후에는 남편의 건강관리를 위해 철저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고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념하였다. 4. 또한, 임종시 평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여성의 역할은 돕는 역할이었다.

  • PDF

The influ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ir alienation (탈북자들의 심리적 특성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 탈북자들과 남한주민들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 Jae-Chang Lee;Young-Man Kim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1 no.3
    • /
    • pp.41-66
    • /
    • 2005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North Korea defectors's psychological alienation by comparing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sense of values, lifestyles, attribution styles and stereotypes. To pursue this goal,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43 South Koreans and 99 North Korean defectors, According to results, in comparison with South Koreans, North Korean defectors placed more values on 'nation' than 'individual or family', on the 'support of parents' than 'a great success', In the lifestyles,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an South Koreans put higher significance in 'traditional familism', 'traditional collectivism', 'social consciousness', and 'traditional hierarchy'. As for stereotypes, South Korean people considered the North Korean defectors defiant, critical, egoistic, and competitive people. Also, South Koreans perceived North Korean defectors as more negatively than North Korean defectors did themselves. In case of alienation, North Korean defectors reported that their workplace was the most common place where they were alienate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factors investigati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alienation, it showed that 'affluent life' in their values, 'cultural openness' in the lifestyles, and 'inside attribution' in the attribution styles were critical. Finally, it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the research requir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