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식별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27초

개인정보 비식별화 현황 및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보완 연구

  • 손지민;신민호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9-109
    • /
    • 2023
  • 최근 AI와 로봇기술 등으로 개인정보를 포함한 데이터의 처리가 일상화됨에 따라 한국정부는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및 데이터 3법을 발표함으로써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돕고자 하였다. 하지만 복잡한 비식별화 절차와 이의 효과에 대한 불명확함으로 기업들이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의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동시에 시민단체나 소비자단체에서는 현 가이드라인에 따른 비식별화 절차가 개인정보를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비식별화 현황과 기술을 검토하고 현 가이드라인의 한계점을 보완 함으로써 데이터 활용 업체와 기관들의 정확한 비식별화를 돕고 빅데이터 활용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비식별화에 대한 위험성 제기 및 대응 방안 제시 (Raising Risk and Suggesting Solution about Personal Information De-identification in Big-Data Environment)

  • 이수림;장웅태;배재영;신찬호;현범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97-300
    • /
    • 2016
  • 최근 빅데이터 산업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빅데이터 산업에 활용되는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빅데이터 산업에서 개인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비식별화 조치를 해야 한다. 하지만 비식별화는 비식별화 평가 모델 자체의 취약성과 더불어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재식별화 하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본 논문은 적정성 평가 모델, 비식별화 조치 기술, 재식별에 관한 위험성을 연구하고 각 위험성에 대한 대응 방안을 통해 재식별화의 문제를 해결하여 빅데이터 산업에서 비식별화된 개인정보가 안전히 쓰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서 비식별개인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와의 갈등에 관한 연구: 국내외 현황과 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flict between the Use of Personally non-Identifiable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Digital Behavioral Advertising: Focusing on the Domestic and Foreign Status and System)

  • 최민욱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1-79
    • /
    • 2021
  • 본 연구는 빅데이터 산업과 디지털 광고 산업의 발전을 위한 비식별개인정보의 활용이라는 측면과 개인정보 보호 측면 사이의 갈등 관점에서 조망해보았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논문, 법조문, 행정 규정, 최근 언론 기사 등 문헌연구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 주제 관련 국내외 현황과 제도 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서의 비식별개인정보 보호 관련 주요 쟁점으로 '광고표현의 자유와 개인 인격권과의 상충', '식별 불가능한 정보의 개인정보화; '정보의 불균형'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와 관련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서의 비식별개인정보 보호 방안으로 '광고표현의 자유와 개인 인격권과의 조화' '고지와 동의 절차의 개선', '개인정보통제권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서 비식별개인정보가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비식별개인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 주제 관련 사례와 판례 중심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빅데이타 비식별화 기술과 이슈 (De-identification Techniques for Big Data and Issues)

  • 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0-753
    • /
    • 2017
  • 최근 스마트폰, SNS, 사물인터넷이 확산되면서 생겨나는 빅데이타의 처리와 활용이 ICT 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해서는 개인정보 비식별화가 이루어져야한다. 비식별화는 개인의 데이터가 특정인과 연결되지 않도록 데이터 셋으로부터 식별정보를 제거하는 것으로 정보를 수집, 처리, 보관 혹은 배포하는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노출의 위험을 줄이며 그 정보를 활용하고 공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비식별화된 정보는 또한 재식별화되어 개인정보보호의 논란이 되고 있지만 빅데이터등의 개인정보가 비식별 처리되어 활용되는 사례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많은 비식별화 가이드라인의 등장과 함께 개인정보 비식별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타 비식별화 과정과 사후관리를 서술, 비식별화 방법을 비교분석하고 비식별화와 개인정보보호 관련 이슈와 해결과제를 제시한다.

  • PDF

디지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는 키분배 프로토콜

  • 문태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3-16
    • /
    • 1994
  • 본 논문의 저자들은 이전에 디지틀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키분배 프로토콜을 제안한 바있다. 그러나 이 프로토콜에서는 사용자 인증에 RSA방식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키분배 프로토콜과 비교하여 여전히 많은 지수승 연산처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는 보다 효율적인 세가지의 키분배 프로토콜을 새로이 제안한바 있다. 프로토콜 은 Schnorr 의 개인식별 방식을 변형시켜 얻은 개인식별 방식과 의 키분배 방식을 결합한 것이고, 프로토콜에서의 개인식별방식과 Okamoto 의 변형 키분배 방식을 결합한 것이다. 이와는 달리, 프로토콜은 Fiat-Shamir 의 개인식별 방식과 이 개인식별 방식을 기본으로 새롭게 구성한 키분배 방식을 결합한 것이다. 끝으로 지금까지 제안됐던 프로토콜과 본 논문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프로토콜에 대해 안정성과 효율성을 비교했다.

개인식별에 있어서의 법치의학의 역할과 증례 보고 (The Role of Forensic Odontology and Cases Report in Individual Identification)

  • 안용우;노창세;옥승준;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317-326
    • /
    • 2006
  • 개인식별에 있어서 법치의학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해 왔으며 증례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개인식별은 한 가지의 방법으로 할 수 없고 각각의 증례에서 가장 확실한 개인식별을 할 수 있는 필요한 방법들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 증례를 확인하였다. 2 증례는 연령추정적 개인식별이었으며 2 증례에서는 동일인임을 확인하였다.

개인식별정보와 바이오인식정보의 안전한 결합방법 (Secure Binding of Identity Reference and Biometric Reference)

  • 유미경;권만준;이상호;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10-6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바이오인식 정보와 개인식별 정보가 분리되어 운영되는 상황에서 이들이 결합되어야 할 때, 이들이 보안조건을 만족하도록 안전하게 결합 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다룬다. 패스워드를 이용한 개인인증과 같은 단순한 개인인증 방법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타인에 의한 도용 등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개인마다 타고난 신체적 행동적 특성을 이용하는 바이오인식시스템은 바이오인식 정보자체가 또 다른 개인정보의 하나이며, 더욱이 이들 정보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경우, 특정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유일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단계에서 안정적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바이오인식 정보와 개인식별 정보를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분리운영 환경에서 이들을 공통으로 가리킬 수 있는 공통 식별자의 생성과 운영방안 그리고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점검하는 방법을 안전한 채널과 불안전한 채널의 경우로 나누어서 각각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인식별정보와 바이오인식정보의 보호기법 (Biometric and Identity Reference Protection)

  • 신용녀;권만준;이용준;박진일;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60-16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바이오인식 정보와 개인식별 정보가 결합되어 운영되는 상황에서 바이오인식정보 제공자의 개인정보를 보호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다룬다. 암호를 이용한 개인인증과 같은 단순한 개인인증 방법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타인에 의한 도용 등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개인마다 타고난 신체적 행동적 특성을 이용하는 바이오인식시스템은 바이오인식 정보자체가 또 다른 개인정보의 하나이며, 더욱이 이들 정보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경우, 특정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유일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는 관계로 이들의 생성, 저장, 전송에 있어서 안정적인 보호 수단이 요구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X9.84 표준을 확장하여 바이오인식 정보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개인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이들의 저장과 이송에 있어서,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ASN.1으로 표현되는 표준 포맷을 정의하고 이를 구현함으로서 그 유용성을 보였다.

개인식별을 위한 영상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ID Visual System)

  • 심정범;이진행;송현교;강민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08-213
    • /
    • 1998
  • 사회구조가 복잡해질수록 보안(Security)의 확보는 점차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보안의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각 개인의 본인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는 자동화된 인증(Authentication) 기술의 개발 여부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개인식별은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지문인식, 두개골함성, 장문인식, 족적인식, 입술인식, 홍채인식, 골격인식 등 불변하는 신체의 특징을 이용하는 연구가 주도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식별에 관한 총체적인 영상시스템을 위한 영상처리 자료를 정리한다.

  • PDF

자체인증 개인식별정보 (Self-certified Identity)

  • 박성준;양형규;원동호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4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9-13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개념인 자체인증 특성을 갖는 개인식별정보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자체인증 공개키 개념을 개인식별정보에 적용한 방식이다. 그리고 자체인증 개인식별정보 방식을 사용하여 역설적인 id-based 암호시스템(id-based identification scheme, id-based 서명방식, id-based 키분배방식 등)을 구성하였다. 제안한 방식의 안전성은 고차잉여류 문제와 이산대수 문제에 근거하며, Schnorr 방식과 비슷한 효율성을 가지는 암호시스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