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상황

Search Result 1,93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Task Decomposition Scheme for Context Aggregation in Personal Smart Space (개인 지능형 공간에서의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작업 분배 기법)

  • Ryu, Ho-Seok;Park, In-Suk;Hyun, Soon-J.;Lee, Dong-Man;Kim, Jeong-S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08-315
    • /
    • 2007
  • 상황 인지 컴퓨팅에서 상황정보 추론 기능은 상황정보 관리를 위해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상황정보 추론 기능은 하위 레벨의 상황정보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상위 레벨의 상황정보를 제공한다. 인프라 기반 지능형 공간에서 중앙 집중 형의 상황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자원 소모를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자원이 제약된 장치들로만 구성된 개인 지능형 공간에서는 공간 내 전체의 자원 소모뿐만 아니라 상황정보 관리자 역할을 하는 장치 (coordinator)들의 자원 소모가 최소화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앙 집중적인 상황정보 추론 작업을 분배하여 개인 지능형 공간 내의 다른 장치들에게 작업을 분산시키는 상황정보 추론 작업 분배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분배 기법은 건강정보, 환경정보, 지리정보 같이 상황정보가 자주 발생하는 환경에서 더 효율적이다. 상황정보 추론작업을 분배 함으로써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개인 지능형 공간의 전체의 처리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코디네이터의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의 작업분배 기법은 상황정보 추론의 역할을 하는 코디네이터와 분산된 로컬 상황정보 추론기능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상황정보 추론 기능을 개인 지능형 공간을 구성하는 장치들에 각각 구현하고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처리부하를 측정하여 제안된 기법의 실행 가능성을 보였다.

  • PDF

The research on using personalization technology situations recognition-based TV application service (개인화기술을 응용한 상황인식 기반 TV 응용 서비스에 관한 연구)

  • Yoon, Se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75-7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센서를 활용하여 개인의 위치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패턴을 분석하여 이에 따라 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TV 프로그램 추천 및 제어 시스템(CAPUS)을 제안하였다. 상황인식기반 TV 응용서비스를 위하여 개인화(Personalization)기술에 적용을 할 수 있는 사례로 TV채널 추천을 예로 실험하였다. CAPUS는 유비쿼터스의 큰 축이라 할 수 있는 개인화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그 규모가 무척 크며 방대하다 할 수 있다. 본문에서 제안한 CAPUS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에이전트, 분석하는 에이전트, 필터링하는 에이전트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사용자의 정보를 동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고 생성한 후에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CAPUS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비슷한 행동이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 for Emergency Treatment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개인건강기록 시스템 개발)

  • Lee, Jisoo;Dang, Thien-Binh;Yeom, Sanggil;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80-682
    • /
    • 2017
  • 최근 급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급성 질환은 초기 증상 발생 시 올바른 인지와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그러나 유지 관리비용 면에서 모든 개인의 응급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의료시스템은 구축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개인건강기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심박 체온의 생체신호로 응급 상황을 판별해 지정된 보호자에게 알린다. 또한, 응급버튼을 통해 곧바로 응급상황을 알린다. 개인이나 가족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생명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ersonalized Resource Recommender System Based on Context-Aware in Ubiquitous Environments (유비쿼터스 환경에 상황 인지 기반 개인화 자원 추천 시스템)

  • Park, Jong-Hyun;Kang, Sun-Hee;Kang,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95-99
    • /
    • 2008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는 개인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이지 않는 수많은 자원들과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 받기를 원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지능 공간에 존재하는 자원들 사이의 공유가 필요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구는 새로운 연구 주제이다. 그러나 동일한 환경이라 할 지라도 각 사용자들의 상황은 서로 다르며 개인적인 성향 역시 다양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들이라 할 지라도 현재의 상황과 사용자 개개인의 개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자원이 다른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맞춤형 자원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온톨로지 기반 추론을 수행하고,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규칙들 이용한 규칙 기반 추론 방법을 수행한다.

  • PDF

Context-aware Framework for Personalized Service (개인화 서비스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프레임워크)

  • Chang, Hyo-Kyung;Kang, Yong-Ho;Jang, Chang-Bok;Choi, Eui-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
    • /
    • pp.301-307
    • /
    • 2012
  •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and the spread of wireless network help share and exchange information and resources more easily. The bond them to Cloud Computing technology help pay attention to "Mobile Cloud" service, so there have been being a lot of studies on "Mobile Cloud" service. Especially, the important of 'Personalization Service' which is customized for each user's preference and context has been increasing.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personalization services, it enables to recognize user's current state, analyze the user's profile like user's tendency and preference, and draw the service answering the user's request. Most existing frameworks, however, are not very suitable for mobile devices because they were proposed on the web-based. And other context information except location information among user's context information are not much consider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the context-aware framework, which provides more suitable services by using user's context and profile.

The Value of Private Information based on Cost-Benefit Analysis Framework: Focusing on Individual Attributes, Dealer Traits, and Circumstantial Properties (비용편익분석 프레임워크를 통한 개인정보가치에 대한 연구: 개인적 특성, 거래 상대방 특성, 상황적 특성을 중심으로)

  • Jaehyun Park;Eunkyung Kweon;Minjung Park;Sangmi Chai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9 no.3
    • /
    • pp.155-1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ose factors that are influenced when a user recognizes his/her private information value as an economic asset.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will also be discussed. This research targets Internet users, and the value of their private information will be converted into economic figures. How economic value changes in relation with individual attributes, dealer's traits, and circumstantial properties will also be studied. The changes in the factors of private information value under different situations will be analyzed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By using the cost-benefit analysis framework, this work hypothesizes that the user's private information value can be influenced by individual attributes and situational properties. in the business aspect, this study can help users recognize the true value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and minimize the cost resulting from private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This work also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stimating the scale of investments for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Overall, this research will proceed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users' recognition of their private information value is influenced by the attributes of the individual, dealers, or situations.

An Implementation of Unified Ontology Context Model for Efficient Wellness Management (효율적 웰니스 관리를 위한 통합 온톨로지 상황모델의 구현)

  • Jeong, Jang-Seop;Ki, Byung-Wook;Hong, Seung-Taek;Bang, Dae-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2-155
    • /
    • 2011
  • 최근 사회생활의 다변화로 인한 개인의 질환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인 웰니스 관리는 현대 사회의 성인에게는 필수적인 자기 관리에 해당된다. 본 논문는 이러한 웰니스 관리에 적절한 상황 모델로써 상황 데이터를 추론할 수 있는 SWRL 상황규칙과 불확실성을 표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포함한 통합 온톨로지 기반 상황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상황모델에 포함된 추론 규칙은 웰니스 관리에 필요한 상황 서비스를 수행하는 액션들을 정의한다. 즉 상황 온톨로지에 SWRL 규칙을 포함함으로써 주로 웹 시멘틱에 사용되고 있는 OWL 언어를 상황인식 분야의 지식 베이스 구축에도 적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웰니스 관리를 위해 상황 온톨로지로 표현되는 원시 상황 데이터는 센서 부정확성, 또는 개인 판단기준 차이로 인해 불확실성을 포함하므로, 어떤 논리적 상황 데이터는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추론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논문은 상황 온톨로지 및 SWRL 규칙과 함께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함께 표현할 수 있게 하여 OWL 상황 온톨로지 기반 규칙 추론뿐만 아니라 확률 추론을 용이하게 하였다.

A Design of Obesity Context-Award Service System for U-health Service on Based Ontoloty (U-health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비만상황인식 서비스시스템의 설계)

  • Sung-Woong Hong;Pyeong-J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36-39
    • /
    • 2008
  • 가정에서 쉽게 측정 가능한 신장, 체중, 체지방율 등의 측정만으로 본인의 비만정도를 인지하게하고, 각 개인마다 상황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 비만상황, 집안의 비만상황 등을 총괄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들의 최근 몇 달 동안 또는 몇 년 동안 비만 이력 관리 등을 통하여 비만상황에 따라 지속적인 대처방안을 알려주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health 서비스를 위한 비만상황 인식과 개인이력관리 및 비만증상 온톨로지를 제안한다. 또한 비만관리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비만관련 증상, 요인, 대처방법 등을 온톨로지화하여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U-health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비만상황인식 서비스시스템(OCS)을 설계하였다.

A Study on the Cell Phone based Context Inference Platform in Smart Home Environment (휴대폰 기반 스마트 홈 환경 상황추론 플랫폼에 대한 연구)

  • Um,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253-255
    • /
    • 2012
  • 최근 휴대폰의 보급과 기능의 고급화로 휴대폰을 이용한 개인 환경 맞춤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을 이용한 상황인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과 수집된 상황 정보에 적절하게 주변 생활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개인화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과 휴대폰에서 작동하는 경량 상황인식 엔진을 제안하였으며 상황인식을 통한 추론 작업을 휴대폰과 홈 서버로 분산시켜 상황 추론 작업의 효율화를 기했다.

  • PDF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OWL Modeling (OWL 모델링을 이용한 개인 추천 서비스)

  • Ahn, Hyo-Sik;Jeong, Hoon;Chang, Hyo-Kyung;Choi, Eui-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
    • /
    • pp.309-315
    • /
    • 2012
  • The dissemination of smartphones is being spread and supplementary services using smartphones are increasing and various as the Mobile network and device are developing rapidly, so smartphones that enables to provide a wide range of services is expected to receive the most attention. It makes users listen to music anytime, anywhere in real-time, use useful applications, and access to Internet to search for information. The service environment is changing on PC into Mobile due to the change of the circumstance mentioned above. these services are done by using just location information rather than other context, and users have to search services and use them. It is essential to have Context-aware technology for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s and the appropriate representation and definition of Context information for context-aware. Ontology is possible to represent knowledge freely and knowledge can be extended by inferring. In addition, design of the ontology model is need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utilization. This paper used context-aware technologies to implement a user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 It also defined the context through OWL modeling for user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 and used inference rules and inference engine for context reas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