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건강정보

Search Result 58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ersonal Health Care Platform Trends (개인중심 건강관리 플랫폼 동향분석)

  • Kim,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5
    • /
    • pp.80-88
    • /
    • 2015
  • 최근 삼성,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기업들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ICT융합 건강관리 서비스 및 기기로 건강관리서비스의 주도권이 의료영역에서 일반 소비영역으로 확대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선점을 위해 최근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개인건강정보 플랫폼의 동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삼성전자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국내외 글로벌 IT기업들의 개인건강정보 플랫폼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으로 개발 중인 개인건강정보 기반 개방형 ICT힐링 서비스 플랫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산업보건 정보 - 건강진단결과표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 위반 여부에 대한 유권해석 내용

  • 대한산업보건협회
    • 월간산업보건
    • /
    • s.270
    • /
    • pp.70-70
    • /
    • 2010
  • 산업안전보건법 제43조에 따라 건강진단기관이 작성하여 사업주에게 제공하는 건강진단결과표 중 사후관리소견서(2면)에 기재되는 내용이 근로자의 개인정보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기재하는 행위는 개인정보보호 관련법령에 위반된다는 일부 주장에 대하여 고용노동부가 개인정보보호관련 법률을 담당하는 행정안전부에 당해 사항의 법령 위반여부에 대한 유권해석을 질의한 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사후관리소견서상에 개인정보를 기재하는 것과 이상소견이 있는 지에 대한 검진결과 수치를 기재하는 것 모두 개인정보보호 관련법령에 위반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회신되어 이를 안내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DF

The Comparison of Recognizing Personal Health Record Between Healthcare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보건대학생과 의과대학생 간의 개인건강기록(PHR) 인식 비교)

  • Baek, Eun-Hae;Lim, Sung-Won;Kim, Han-Kyoul;Rhee, Hyun-Sil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0
    • /
    • pp.373-382
    • /
    • 2012
  • With the paradigm shifts towards consumer-centered health service, it is expected that more health care consumers will keep their health information and manage their own health in the futur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Understanding",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Record(PHR) between medical users(healthcare stud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medical students). We collected data from 208 health and medical students via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m April to June, 20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Chi-square on SPSS 19.0 ver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PHR between two groups. Looking at the order of the importance of PHR contents, two groups equally emphasized medical records, surgical history, and test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ime and effectiveness of PHR(p=0.02). Intergrated type of PHR was preferred by both groups. Recently, PHR reflects needs and demands of users more than ever. However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promote the utiliz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argeted strategies for the elderly groups and specific types of disease.

u-Health 시대의 개인건강정보 보호를 위한 관련 법제 고찰

  • Jeong, Hye-Jeong;Kim, Nam-Hyun
    • Review of KIISC
    • /
    • v.19 no.1
    • /
    • pp.115-124
    • /
    • 2009
  • 오늘날 의료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등을 동인으로 하여 기존의 환자가 치료 목적으로 병원을 찾아가던 환경에서 개인의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의료서비스가 찾아가는 소위 u-Health 환경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환경에 대처하는 보건의료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로 현행법률과 현재 계류 중인 법안을 고찰하여 가장 민감한 개인정보인 건강정보의 보호와 활용의 균형을 위한 입법 방향을 제시하였다.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Identity-Based Proxy Re-Encryption in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원격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상에서 신원기반 프록시 재암호화를 이용한 개인 건강정보 전송)

  • Noh, Si-Wan;Park, Youngho;Rhee, Kyung-Hy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258-261
    • /
    • 2016
  • 환자가 가정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건강정보를 원격지에 위치한 의사에게 전송하여 이에 대한 진단을 받는 원격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환자의 개인건강정보의 보호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원기반 프록시 재암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환자가 다수의 의사를 선택하여 각 의사들에게 개인건강정보를 전송하여 진단을 받는 환경을 가정하여 환자가 가지는 연산부담을 줄이기 위해 환자의 비밀키로 생성한 암호문을 프록시가 재암호화하여 의사가 가진 비밀키로 복호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Research on the Domestic and Foreign Legislation about Secondary Use Protection for Personal Health Information (개인건강정보의 2차이용 보호에 관한 국내외 법안 연구)

  • Park, Han-Na;Jung, Boo-Geum;Lee, Dong-Hoon;Chung, Kyo-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0 no.6
    • /
    • pp.251-260
    • /
    • 2010
  • Through the convergence of medical services and the IT technique, the patient'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computerization has been rapidly spread with propag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EHR). In addition, by entering u-health, the demand of the secondary use for public health, medical research, and medical service using electronic patient health care records are increasing.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secondary uses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medical area and service, are very good thing. But, carelessly to us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he patient privacy would be damaged. However, there are not yet systematic studies about secondary us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bill for personal medical data secondary use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medical servic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the individual's privacy.

Perception of Privacy and Sensitivity of Personal Inform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들의 개인정보보호의 인식과 개인정보의 민감도에 대한 연구)

  • Boo, Yoo-Kyung;Noh, Jin-Won;Kim, Yun-Mi;Kim, Sung-Soo;Rha, Young-Ah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1 no.5
    • /
    • pp.25-37
    • /
    • 2015
  • By studying the awareness level of students, for the ne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also by studying students' level of perception as to which information needs protection,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increased education is beneficial, and necessary, across all university majors. This increased edu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information security, and increase the responsible sharing of private data which has many benefits, specifically in the Healthcare field. Utilizing student volunteers across multiple majors at a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se questionnaires measured the students' awareness of private information, their perception of private information and also the students' experience in receiving university level education regarding private information and the need for its protection. This study shows that, when compared to students in other fields, students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ha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consequences of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for both public purposes and medical research. Within the parameters of this study, this outcome can be explained as the result of exposure to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contained information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is increased education raised the student's awareness of which information is considered private, as well as, which information is valuable when responsibly shared.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an increase in education regarding information privacy, should be included in all university majors, and gives us evidence to support that this additional education is valuable to students at all levels and should be encouraged.

u-헬스케어 서비스에서의 정보보호 기술 동향

  • Yun, Eun-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0
    • /
    • pp.55-65
    • /
    • 2012
  • u-헬스케어 서비스는 개인 의료 정보를 다루는 분야로서 단순한 건강 검진 및 치료의 수준을 넘어 생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개인 의료 정보 속성은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만약 개인 의료 정보가 불법적으로 노출되거나 악용될 경우 단순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뿐만 아니라 생명까지도 위협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전한 개인 의료 정보 공유 및 인증방법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며 보안성을 고려하여 u-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개인의 건강 정보에 대한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의료 서비스기관에 의한 개인 의료 정보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 감사 시스템이 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u-헬스케어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보안 취약점 및 최신 정보보호 기술 동향에 관해 알아본다.

An Analysis o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Digital Healthcare: Focusing on the PHR Service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구조에 대한 분석 :개인건강기록(PHR) 서비스 중심으로)

  • Lee, YeonKyeong;Lee, Mi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675-676
    • /
    • 2022
  • 헬스케어 패러다임이 정밀, 예측, 맞춤, 예방의료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4차 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수요자 중심의 고부가 가치형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한 영역인 개인건강기록(PHR) 서비스는 개인의 모든 건강기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예방과 관리 목적에 맞추어 맞춤형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의 가치사슬을 정리해보고, 가치사슬 핵심요인 중심의 산업구조분석을 통해 주요 환경변화에 있어 경쟁자들과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필요한 차별화 전략의 우선순위를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ecurity Requirements for Privacy of U-Healthcare Service (U-Healthcare 서비스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 Chae, Ha-Na;Song, Yang-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092-1095
    • /
    • 2012
  • IT융합기술인 U-Healthcare 서비스는 건강관리, 질병 예방, 사후관리 등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의료기관외의 장소에서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U-Healthcare 서비스에서 다루는 대다수의 정보는 개인정보 중에서도 민감한 개인의 건강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는 시점에서 유출에 대한 피해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Healthcare 서비스에서 개인정보를 보호받을 수 있는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해낸다. 이 연구를 통해 U-Healthcare 서비스의 보안 수준을 향상 시키고 일반 개인정보보다 피해가 큰 개인건강정보의 유출을 예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