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가치체계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체크해보자 -생산부는 어떤가?

  • 김정인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 no.5 s.19
    • /
    • pp.78-84
    • /
    • 1971
  • 국가 경제가 발달하면서 개인이나 법인의 영리추구도 점점 더 과학적이고 실리적인, 그러면서도 사회에 대한 공익성을 망각함이 없이, 내적인 면에서나 외적인 면에서나 진지한 발전을 계속해야 한다. 실리적인 면을 외면하며는 그 영리단위(營利單位)는 경쟁자에게 낙후되어 몰락될 것이며, 후자의 비중을 전자보다 지나치게 추구하는 것은 영리 단체의 기본 목적에 위배되는 것으로서, 양계업의 경우 산란계에 있어서 현재 가치가 500원 밖에 안되는 닭을 600원의 치료비를 들여가며 도태를 꺼리는 넌센스와 다를바 없는 것이다. 지난호의 판매부 체크에 이어서 이번에는 생산부를 체크해 보기로 하자. 영리단체의 목적이나 결과가 그의 번영에 있다면, 담당부서의 업무체계와 관리계획의 수립과 통제, 각 부서간의 빈틈없는 연락과 협조는 그 단체의 번영의 밑거름이 되는 것으로서 이의 비능률적인 운영은 귀하의 영리단체를 모래위에 쌓는 성(城)의 단계까지 이르게할지도 모르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about the indicator of knowledge activities applying AHP (AHP를 활용한 지식활동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Kang, Hyoung-Mo;Kim, Myung-Sub;Kim, Gwang-Y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313-319
    • /
    • 2006
  • 많은 기업 및 공공기관들이 지식경영을 도입하고 있고, 조직 내의 지식활동을 장려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표를 통해 이를 측정하고 평가/보상에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경영을 관한 성공적인 사례가 많이 보고 되고 있음에도, 개인 혹은 단위 조직이 수행하는 지식활동들에 대한 초점을 맞추고 있지 않아서, 지식경영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의 관점에서 필요한 지식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체계 및 측정 지표들이 그 중요성에 비해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활동 과정을 지식의 "창출-공유-가치증진" 이라는 관점으로 분류하고, AHP 분석을 통해 각 세부 지식활동들의 우선 순위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On a "duality" of the Corps-actant structure in Misaeng: with Jang Geurae as the central figure (『미생』에 나타난 신체 행위소 구조의 이중성에 관한 고찰 - 장그래를 중심으로)

  • Song, Taemi
    • 기호학연구
    • /
    • no.57
    • /
    • pp.211-255
    • /
    • 2018
  • This paper attempts to "re-read" the webtoon Misaeng, which was once an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 on "labor". Our hypothesis was that the dual actactial structure of Misaeng's hero Jang Geurae gave a dual structure to the entire text, which leads to the discovery of text meaning that was not mentioned in the existing discourse. This is based on the concept of 'meta-story character', which Hiroki Azuma talked in his postmodern literary theory. To verify this hypothesis we analyzed the text by applying the Parisian semiotics, more specifically J. Fontanille's theory. Jang Geurae is observed to be a actant of dual structure divided into 'character' of the enunciated level and 'player' of the enunciation level. Considering this characteristic of the hero, Misaeng can be interpreted as a metafiction that shows the 'shifting' between the subject of the enunciated level and the subject of the enunciation level. On the level of 'character' Jang's existence mode turns out to be "Deficiency (actualized)", but on the level of 'player' Jang 's existence mode turns out to be "Inanity(potentiallized)." His somatic responses also show a duality, which is represented by Fontanille's corps-actant model, where on the level of 'character' the somatic actant of Jang consists of 'Moi-chair(ego-flesh)' and 'Soi-idem(self-idem)', and on the level of 'player' it consists of 'Moi-chair(ego-flesh)' and 'Soi-ipse(self-ipse)'. The former mainly acts as a 'role' and takes charge of exteroceptive perception, while the latter mainly acts as 'attitude' and takes charge of interoceptive perception. Because of this dissociative nature of actant, Jang's two 'self' draw the re-adjustment of values without serious conflict between the collective norms and the individual identity. This is in sharp contrast with other characters who struggle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environment and "self". It becomes customary to adopt norms that are suspected to ineffective, but if you raise questions, the normative system can be updated. On one axis of Misaeng there are characters who have lost themselves in customs. On the other axis, there is Jang who can not help dismantling the existing ineffective norms and updating the normative system. Jang's existence mode seems to be one of many possible modes generated by this era where people share no longer solid community values, His actantial structure also communicates with readers of these days who put themselves more in subject of enunciation level than of enunciated level.

A Study on Value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the Relations among Values (과학영재학생의 가치 특성 및 가치유형 간 상호 관계성 분석)

  • Ju, Yeong-Hyeon;Choe, Ho-Seon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2 no.3
    • /
    • pp.679-702
    • /
    • 2012
  • Values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which acts as an indicator showing each person's individual path of life. many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values function as standards that guide thought and action. Values lead us to take particular positions on social issues and they predispose us to favor one perspective over another.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for the establishment of one's values. The values established during such a period become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one's right personality and contents of life.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take a study about the values possessed by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in Korea. There have been several researches regarding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in Korea.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research regarding their values in lif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values shown by 468 high-school students from two special schools for gifted students by using Schwartz's Value Survey Scale which is consisted of 57 value categories and 10 value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ents from the special high-school for gifted children tend to promote such value types as 'autonomy' and 'stimulation' the most. Conversely, the same students tend to deny or ignore such value types as 'power' and 'tradi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regarding the values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as the first research of its kind targeting gifted students in Korea. It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shown by gifted students in Korea.

Lessons from Data Repository 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 Building Experience (데이터 리포지토리 GDR 구축 경험과 교훈)

  • Han, J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0-100
    • /
    • 2017
  • 1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내 유일의 지질자원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그간 생산한 조사 연구데이터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귀중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유산으로써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KIGAM의 상황은 최종성과물 위주로 자료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사 연구 과정에서 생산된 암석 토양 지하수샘플이나 조사 탐사장비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는 연구자 또는 연구실 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관리체계는 자료의 공동 활용이 어렵고,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자의 퇴직이나, 조직개편으로 인한 팀 실의 분리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과 훼손 가능성이 높고, 누가 어디에 어떤 자료를 무슨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지 찾기 어려워 자료의 재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중복 조사 연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IGAM은 지질자원분야 국가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도에 기획사업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을 포함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DataNest를 기술이전받아 지질자원 연구데이터 리포지토리 시스템(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를 개발하였다. GDR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연구데이터 분류코드를 작성하였으며, 2016년부터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을 주요사업 연구계획서 양식에 포함시켜 제출하도록 하였다. 과거 KIGAM은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시도를 했지만 실패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패 요인에는 (1) 관련 정책, 제도, 조직, 인력, 예산 등 데이터 관리 인프라 부재, (2) 연구사업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개인소유라는 인식 및 공유 의식 부족, (3) 데이터 관리 활동은 귀찮은 것이고, 시간 낭비라는 인식, (4) 데이터 관리 공개 공유 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즉, 제도를 포함한 인프라 부족과 경영진과 구성원의 인식부족이 제일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성공적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경영진의 의지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거의 실패 요인에 대한 해결 없이 지난 1년 6개월 정도의 GDR 운영은 지지부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즉 국가 R&D 성과물 관리차원에서 연구데이터를 주요 성과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사업계획서에 DMP를 포함시키고, 연구주제 및 분야별로 데이터센터(혹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지정하고, 국가 R&D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연구사업비 항목에 데이터 관리비를 신설하여 데이터센터의 운영비로 사용하도록 하면 예산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데이터 제출 및 인용도에 따라 데이터 생산부서 혹은 생산자에게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등 보상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R&D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공유, 활용을 제대로 성공시키려면 국가 R&D 최고정책결정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 PDF

Images of Law and Reality in TV Legal Series: Focusing on (TV 법정 프로그램에 나타난 법 이미지와 현실구성: <실화극장-죄와 벌>을 중심으로)

  • Lee, Hee-Eu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50
    • /
    • pp.121-142
    • /
    • 2010
  • Can law be combined with 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s?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law systems and law culture are reflected in and reflect the television legal series. TV legal series, such as legal dramas and infotainment shows, provide platforms for the audiences, who otherwise have few opportunity in real life, to engage with legal systems in societies. Adopting loosely dramatized reality programs, these legal series not only entertain and inform audiences but also educate citizens. This paper combines analyses of theoretical debates on law and television with analysis of TV text. The result shows that , dramatized enactment based on true stories and criminal cases, may have an important ideological role in which fictionalized dramas mask the hard realities and authoritative legal systems. By doing so, TV legal shows play their roles not as mere symbolic representation but as powerful institutions that construct the image of law and reality.

  • PDF

A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Work Education and Advocac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ork Values (사회복지 가치를 매개로 한 사회복지 교육과 옹호 태도 및 전략의 인과관계 분석)

  • Jeong, Sun-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4
    • /
    • pp.35-6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social workers' level of social work values and advocacy(attitudes and strategies) and to verify the relations among social work education, social work advocacy and social work values by examining whether social work education influences social work advocacy and social work values, and whether social work values affect social work advocacy. Further, this study wishes to confirm not only the direct effect that social work education has on social work advocacy, but also how social work education indirectly influences social work advocacy through social work values as a mediator.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42 social workers who have obtained social worker licenses and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community centers. As survey tools, this study utilized social work advocacy attitudes, social work advocacy strategies, outcomes of social work education, social work values,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 12.0 for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ethod of the testing mediation of Baron & Kenny (1986)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ocial work values intervene between social work education and social work advocacy.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confirm that social work values on the social level serve as a mediator variable.

  • PDF

Quality Analysis of Web-site User Interface ; Using Kano's Two-dimensional Concept of Quality Model (웹사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품질 분석 - Kano의 품질 인식 모형의 적용 -)

  • 김재전;이경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5-98
    • /
    • 2002
  • 인터넷 이용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웹사이트에 대한 개인적ㆍ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참여가 늘어남에 따라 정보의 무분별한 발생을 막고 검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치가 더욱 증대되었다. 최근에는 개별적인 연구자들뿐 아니라 웹사이트 평가기관과 순위기관들이 각각의 평가영역과 평가모형에 따라 웹사이트,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기준들은 웹사이트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주로 일원적인 인식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웹사이트 품질이나 사용자 만족을 측정하는 데 있어 품질의 고저나 만족ㆍ불만족을 일직선상에서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물리적 상황이 충족되면 사용자가 만족을 느끼지만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불만을 가지게 된다는 가정에서 평가모형들이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Kano의 모형에 따라 품질을 물리적 충족상황을 횡축에, 고객의 만족감을 종축에 두고 품질개념을 이원적으로 해석하여 매력적, 당연적,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평가와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화면구성, 항해성, 검색성, 상호작용성, 사용자지원성의 5가지 영역에서 25개의 평가항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Kano의 설문지조사법을 이용하여 설문을 수행하였다. 게임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쇼핑몰 사이트, 일간신문 사이트를 대상으로 290부의 설문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품질요소에서 매력적 품질요소, 일원적 품질요소, 당연적 품질요소를 분류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인트로나 메인페이지의 포인트, 다양한 정렬방식, 개인화된 페이지, 개인장치로의 다운로드가 매력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으며, 시각적 구성, 링크의 정확성, 링크분류의 체계성, 용어의 명료성, 컨텐츠 이용의 용이성, 적절한 강조의 사용, 고객피드백시스템은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다. 또한 당연적 품질요소는 사이트 설계의 일관성, 에러처리, 의견제시 공간, 이용설명서 또는 도움말, FAQ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기업에 새로운 웹사이트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Quality Analysis of Web-site User Interface ; Using Kano′s Two-dimensional Concept of Quality Model (웹사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품질 분석 - Kano의 품질 인식 모형의 적용 -)

  • 김재전;이경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5-98
    • /
    • 2002
  • 인터넷 이용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웹사이트에 대한 개인적ㆍ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참여가 늘어남에 따라 정보의 무분별한 발생을 막고 검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치가 더욱 증대되었다. 최근에는 개별적인 연구자들뿐 아니라 웹사이트 평가기관과 순위기관들이 각각의 평가영역과 평가모형에 따라 웹사이트,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기준들은 웹사이트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주로 일원적인 인식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웹사이트 품질이나 사용자 만족을 측정하는 데 있어 품질의 고저나 만족ㆍ불만족을 일직선상에서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물리적 상황이 충족되면 사용자가 만족을 느끼지만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불만을 가지게 된다는 가정에서 평가모형들이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Kano의 모형에 따라 품질을 물리적 충족상황을 횡축에, 고객의 만족감을 종축에 두고 품질개념을 이원적으로 해석하여 매력적, 당연적,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평가와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화면구성, 항해성, 검색성, 상호 작용성, 사용자지원성의 5가지 영역에서 25개의 평가항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Kano의 설문지조사법을 이용하여 설문을 수행하였다. 게임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쇼핑몰 사이트, 일간신문 사이트를 대상으로 290부의 설문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품질요소에서 매력적 품질요소, 일원적 품질요소, 당연적 품질요소를 분류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인트로나 메인페이지의 포인트, 다양한 정렬방식, 개인화 된 페이지, 개인장치로의 다운로드가 매력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으며, 시각적 구성, 링크의 정확성, 링크분류의 체계성, 용어의 명료성, 컨텐츠 이용의 용이성, 적절한 강조의 사용, 고객피드백시스템은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다. 또한 당연적 품질요소는 사이트 설계의 일관성, 에러처리, 의견제시 공간, 이용설명서 또는 도움말, FAQ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기업에 새로운 웹사이트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ubjectivity of Hope among Korean Middle-Aged Adults (한국 중년성인의 희망에 관한 주관성)

  • Kim, Keum 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0
    • /
    • pp.629-6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ype of hope among korean middle-aged adult and to identify the major threads that structure various patterns of hope experienced by the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experiencing hope of middle-aged adult experiencing numerous problems and loss at the transition of life. Q-methodology involves five steps in its approach. Collected Q-statements are 112 from 200 adults through 4 open-ended questions. Among them, 34 statements were decided as a Q-sample, The Q-sorting was carried out in 21 middle-aged adults. Three types of subjective experiences of hope emerged as : (1) Passive Wish Type, (2) Positive Pragmatic Hope Type, (3) Active Internal Value-Oriented Hope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