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심술환자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18초

개심술시 Intra-aortic balloon pump (IABP)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Experience with IABP in Cardiac Surgery)

  • 옥창석;지현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34-39
    • /
    • 1997
  • 1994년 5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성인에서 심장수술을 시행한 122례중 18례(14.8%)에서 IABP를 순환보조장치로 사용하였다. 그중 술전에 IABP(intra-aortic balloon pump)를 시행한 경우는 9례이고, 술 중에는 7례, 그리고 술후에는 2례에서 시행하였다. 그 이유는 술전에는 저심박출, PTCA(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의 실패였고, 술중에는 체외순환기 이탈을 위해서이며, 술후에는 술후 발생한 부정 맥 때문이었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8$\pm$6.9세(39세에서 75세)였다. 술전 및 술중에 IABP를 시행한 환자의 수술사망율은 각각 33.3, 42.9%였으며 술후 IABP를 시행한 환자는 모두 생존하였다. IABP이탈율은 술전의 경우 66.77%. 술중의 경우 85.7%였으며 술후에 시행한 IABP는 모두 이탈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IABP는 심근 손상이 가역적인 시기에 적용할 경우, 수술전후 어느시기에나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수술전후의 혈류역학적 불안정, 체외순환기 이탈 및 저심박출증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개심술 후 심폐소생술 실패환아에서의 체외막산소화 치험 1례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in the Patient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ailure after Open Heart Surgery. - A case report -)

  • 전희재;성시찬;우종수;이혜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53-57
    • /
    • 1999
  • 저자들은 심장수술 후 발생한 심정지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신생아에서 성공적인 체외막산소화 장치(ECMO)사용 1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울혈성 심부전과 폐동맥 고혈압을 가졌던 4.4kg의 35일된 남아로 술중에 특별한 문제없이 심실중격결손증을 첨포봉합법으로 봉합하였다. 심장 중환자실에서의 술후 경과는 junctional ectopic tachycardia (JET)가 나타나기 전까지 약 5시간 동안은 특별한 문제가 없었다. junctional ectopic tachycardia (JET)가 나타난 후 50분경과한 뒤 갑작스러운 서맥이 나타나면서 수축기 혈압이 50mmHg로 하강하여 곧 흉골절개 봉합부(sternotomy incision)를 열고 심폐소생술을 바로 시행하였으며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지 4시간 후에 상행대동맥에 동맥관을 그리고 정맥관은 우심방이에 삽관하여 체외막산소화 장치를 시작하였다. 환자의 혈액동력학은 체외막산소화 동안 안정적이었으며, 시작 후 38.5시간 만에 중지하였다. 흉골지연봉합을 시도하였고, 환자는 수술 후 7일째 인공호흡기를 제거했으며, 신경학적 합병증없이 수술 후 21일째 퇴원하였다.

  • PDF

비청색성 팔로사징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cyanotic Tetralogy of Fallot)

  • 천종록;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8호
    • /
    • pp.749-755
    • /
    • 1998
  • 배경: 1988년 2월부터 1997년 7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비청색성 팔로사징(acyanotic tetralolgy of Fallot) 환자 12례에 대하여 개심술에 의한 완전교정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들 비청색성 팔로사징 환자는 같은 기간에 본원에서 팔로사징의 진단하에 치료를 받았던 전체 팔로사징 환자 121례의 9.92%를 차지하였다. 비청색성 팔로사징의 진단기준은 심초음파검사, 심혈관조영검사 및 수술소견상으로 배열부정 심실중격결손(malaligned ventricular septal defect)과 함께 누두부협착(infundibular stenosis)에 기인하는 폐동맥협착이 있음이 확인된 환자들 중에서 임상적으로 안 정시에 청색증 소견이 전혀 없는 경우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생후 12개월부터 42개월까지로, 평균연령은 25.2개월이었다. 결과: 술전의 동맥혈산소포화도는 평균 93.5%, 헤마토크리트치는 평균 38.8%였다. 심초음파검사상 에서 심실중격결손을 통한 혈류단락의 방향은 좌-우단락이 4례, 양방향 단락이 2례, 그리고 단락이 없었던 경우가 6례 있었다. 폐동맥협착에 의한 우심실-폐동맥간의 혈압차이는 심초음파검사상으로 52.3 mmHg, 심도 자검사상에서는 평균 48.4 mmHg 였다. 수술에 있어서 심실중격결손은 전례에서 우심방절개창을 통해 포편 봉합하였고, 폐동맥협착의 교정은 판막절제, 누두부근육절제 및 경판륜폐동맥패취성형술을 시술했던 경우가 6례, 누두부근육절제만 했던 경우가 4례, 판막교련부절개와 누두부근육절제를 함께 시행한 경우가 2례 있었다. 개심술시의 체외순환시간 및 대동맥차단시간은 각각 평균 135.0분 및 87.8분이었다. 수술후 병원사망례나 만기사망례는 없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는 재수술을 요한 출혈 1례와 유미흉 1례가 있었으나 별문제 없이 해결되었다. 술후 퇴원전후에 시행한 심초음파검사상에서 심실중격결손의 봉합부위에 경미한 잔류단락이 5례에서 있었고, 우심실유출로에 평균 15.3 mmHg의 혈압차가 남아 있었다. 술후 추적기간은 평균 18.1개월 이었으며, 모두 별다른 투약가료 없이 NYHA 등급상 1등급이하의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비청색성 팔로사징은 팔로사징중에서는 흔하지 않는 유형에 속하며, 교정수술을 시행하면 양호한 수술성적을 보일 수 있는 심질환이다.

  • PDF

심장세동의 수술요법 (The Surgical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Undergoing Simultaneous Open Heart Surgery)

  • 김기봉;이창하;손대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87-292
    • /
    • 1997
  •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 질환으로서,특히 승모판막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60%에 이르는높은 빈도의 유병율을 보이는데,심방세동 환자의 약 113에서 혈전 색전증을 일으키고,혈전 색전증이 생긴 환자의 약 60%에서는 사망에 이르거나 심각한 합병증이 초래되므로 심장질환에 대한 수술시,동반 심 방세동에 대한 적극적 인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94년 4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심방세동을 동반한 심장질환 을 가진 20명의 환자에서 Maze 술식을 포함한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들의 남녀 성비는 남 '녀 : 6 : 14 이 었으며, 평균연령은 48$\pm$11세 (31 ~66세) 였다. 1년이상 지 속된 만성 심방세동이 14례(70%)였고, 1년미만인 경우가 6례(30%)였으며,심방세동의 과거력은 평균 36$\pm$42개월(1~132개월)이었다. 수술전 혈전전색증의 과거력이 있었던 경우가 7례(35%), 좌심방내에 혈전이 있었던 경우가 9례(45%)였다. 동반 심장질환으로는 판막질환이 19례,심실중격결손증이 1례였 으며, Maze술식과 더불어 승모판막 및 대동맥판막 치환술이 5례, 승모판막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가 4 fl, 승모판막 치환술 및 삼첨판\ulcorner 성형술 4례, 승모판막 성형술 3례, 승모판막 성형술 및 삼첨판막 성형 술이 1례, 승모판막 치환술 및 관상동맥 우회술이 1례, 대동맥판막 치환술 1례, 심실중격결손봉합술이 1례 였다. 대동맥차단시간은 평균 175 :41분(116~270분)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으며, 수술 후 심방세동의 재발이 16명(80%)에서 있었으나, 수술후 평균 41일째 규칙적인 심박동 소견을 보였다. 수술후 합병증으로서는 저심박출증을 보였던 경우가 3례 (15%), 술전 존재하였던 반신불수의 악화가 1 례, 그리고 급성 신부전이 1례씩 관찰되었다. 20명의 외래추적 관찰기간은 평균 16.5개월(10.5~24개월) 이었는데, 외래 추적기간 중 모든 환자에서 규칙적인 심박동의 소견을 보였으며, 정상 동방결절리듬을 보인 경우 17례 (85%)중에서 항부정맥제의 투여가 필요 없는 경우가 13례 (76%)이고 나머지 4례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여중이며, 접합부 율동을 보이는 3례 (15%) 중 2례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i중이고, 1 례는 접합부 서맥으로 인공심박동기 (DDD-R type : AAI mode)의 삽입이 필요했다. 추적기간 중에 심에 코검사는 19명에서 시행하였는데, 우심방 수축력이 보이는 경우가 1 례 (95%) 이었고, 좌심방 수축력은 12례 (63%)에서 명백히 관찰되 었다. 심장질환에 대한 개심술시 Maze술식을 동반시행할 경우심장허혈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최근의 발달된 심근보호법의 적용으로 수술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심방세동의 적극적 인 치료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개심술후 발생한 심근손상에서 진단 표지자로서의 Troponin T의 임상적 유용성 (Availability of Cardiac Troponin T as a Marker for Detecting Perioperative Myocardial Damage in Patients with Open Heart Surgery)

  • 김태이;정태은;이동협;이정철;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20-27
    • /
    • 1998
  • Troponin T(이하 TnT)는 주로 심근세포에 존재하며 심근손상 시에만 유리되는 심근특이 효소이다. 저자들은 개심술을 시행한 3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심근손상에 대한 지표로서 TnT의 유용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환자들은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관동맥 우회술이 11례, 후천성 판막 질환이 13례, 그리고 선천성 심질환이 10례였다. 이들은 술후 흉통과 심전도의 ST분절과 T파의 변화 등에 의거하여 심근손상이 의심되는 환자들(A군, 11례)과 정상 소견을 가진 환자들(B군, 23례)로 구분하였다. TnT의 측정은 효소 면역법을 이용하여 술 전, 수술 직후와 술후 1, 2, 3, 7일에 각각 측정하여 수술 전후의 수치 변화를 각 군간에 서로 비교하였고, 같은 시기에 측정한 CK-MB의 변화와 비교 분석하였다. A군에서는 수술 직후와 술후 1, 2, 3, 7일에 각각 1.37$\pm$0.26 $\mu$g/L, 3.16$\pm$0.66 $\mu$g/L, 2.39$\pm$0.74 $\mu$g/L, 2.49$\pm$0.76 $\mu$g/L, 그리고 1.23$\pm$0.60 $\mu$g/L로 변화하였으며, B군에서는 0.38$\pm$0.04 $\mu$g/L, 0.34$\pm$0.05 $\mu$g/L, 0.25$\pm$0.03 $\mu$g/L, 0.24$\pm$0.04 $\mu$g/L, 그리고 0.11$\pm$0.03 $\mu$g/L로 두 군간에 전기간에 걸쳐서 유의한 차이를 가졌다(P<0.01). 이에 반하여 CK-MB는 술후 1일째만 A군과 B군간에 145.04$\pm$35.08 IU/L과 31.28$\pm$5.87 IU/L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2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3일 이후에는 술전치로 환원하였다. 혈청 TnT치가 1.0 $\mu$g/L이상인 경우를 술후 심근손상의 기준으로 볼 때 TnT는 심근손상의 진단에 있어서 100%의 민감도와 87%의 특이도를 보였다(P<0.01). 따라서 TnT는 심근손상 환자에 있어서 CK-MB와 달리 수술 직후부터 증가하여 지속됨으로써 심근손상의 정도를 더욱 민감하게 반영하고, 장기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술후의 심근손상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방법들보다 더욱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개심술 환자에서의 면역기능의 변화;T lymphocyte subset의 변화에 대한 고찰 (Changes in Lymphocyte Subsets following Open-Heart Surgery ; A Study for Changes in Lymphocyte Subsets)

  • 황재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1호
    • /
    • pp.1185-1191
    • /
    • 1992
  • Cell mediated immunity is depressed following surgical procedure and the degree of immunosuppress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magintude of the procedure, blood transfusion, and length of operation. So we would expect cardiac operations to be highly immunosuppressive, although little is konwn about their immunosuppressive effect. The nearly complete consumption of complement factors and decreased levels of IgM and IgG resulting in an impaired opsonizing capacity. Additionall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counts including T-and B-lymphocytes and T-cell subsets are reduced. Depression of cell-mediated immunity following open-heart surgery is potentially detrimental because it could increase the susceptability of patients to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 We reviewed 20 patients after cardiac operation to search for changes in peripheral blood lymphocyte subsets. Lymphocyte subsets were measured by flow cytometer and the preoperative values of lymphocyte subse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first, fourth, and seventh days after operation. After cardiac operation, total mumbers of T lymphocyte was severely depressed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and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level by the seventh day after operation. CD3, CD4, and CD8 lymphocytes were decreased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and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level by the seventh day also. There was four cases of wound infection and these patients had increased CD4 lympocyte and more decreased CD19 lymphocyte compared with the non-infected group. It is concluded from these data that cell-mediated immunity is significantly depressed for at least one week following open-heart surgery and this result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stoperative infection.

  • PDF

개심술 환자 가족의 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xiety of Open Heart Surgery Patient's Family)

  • 최영희
    • 대한간호
    • /
    • 제31권5호
    • /
    • pp.29-38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is to find the anxiety score of OHS pt's family and general surgery pt's family and to offer basic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 40 were OHS pt's family in Seoul Hospital and remaining 40 were OS pt's family in Capital Hospital.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March 1, through May 30, 1992.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Zung's The Self-Rating Anxiety Scale. The collected daL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and Two-way Anova. The finding's were as followed: 1. Test of hypothesis "The anxiety score of the Ol-lS pt's family were similar to as pt's family" was rejected (L=0.772 P>.05) 2. The mean score of anxiety of the OHS pt's family was 1.772, The mean score of anxiety of the OS pt's family was 1,790. 3.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of the OHS pt's family and GS pt's family and family's age was significant (P<.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age interaction effect. (F=242.0 P<.01) In conclusion, the anxiety score of the OI-IS pt's finding and GS pt's family was all high.

  • PDF

개심술후 발생한 Vasodilatory Shock의 치료 : Arginine Vasopressin의 소량투여요법 - 3례 보고 - (Treatment of Vasodilatory Shock after Cardiac Surgery : Low Dose Arginine Vasopressin Therapy - Three cases report -)

  • 이교준;김해균;정은규;김도형;강두영;이응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27-230
    • /
    • 2002
  • 혈관확장성 쇼크(Vasodilatory shock)는 혈관마비 증후군(vasoplegic syndrome), 심폐바이패스후 혈관마비(post-cardiopulmonary bypass vasoplegia)라고도 불리며, 개심술 직후 나타나는 저혈압, 빈맥, 정상 또는 약간 증가한 심박출량 및 체혈관저항 감소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일반적인 수액공급이나 카테콜아민 혈관수축제(cathecolamine vasopressor)에 대한 반응이 적거나 거의 없기 때문에 개심술후 높은 이환율 및 사망율을 나타내는 상태를 말한다. 저자들은 개심술후 혈관확장성 쇼크(vasodilatory shock)로 진단되는 3명의 환자들에서 저용량의 아르기닌 바소프레신(AVP)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관련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흉통을 유발한 대동맥판막의 유두상 섬유탄력종 -1예 보고- (Aortic Valve Papillary Fibroelastoma Triggering Chest Pain -A case report-)

  • 여인권;정요천;조광리;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58-860
    • /
    • 2006
  • 유두상 섬유탄력종은 원발성 종양 중 두 번째로 많이 호발하는 양성종양으로 주로 심장판막에 발생한다. 본원에서는 흉통과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61세 여자 환자에서 발견된 대동맥 판막에 위치한 유두상 섬유탄력종을 경험하였다. 대동맥 판막의 손상 없이, 개심술 하에서 대동맥 판막에 부착된 종양을 제거한 치험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만성 신부전 환자의 심장수술 - 개심술 4례 보고 - (Open Heart Surgery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 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482-487
    • /
    • 1990
  •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is cardiovascular diseases. The problems relevant to cardiac surgery in these patients are occurring more frequently with a growing number of patients at risk. Among these, important risk factors related to uremic patients undergone open heart surgery are fluid and electrolytes imbalance, coagulopathy, increased susceptibility to infection. Since 1968 when Lansing and colleagues reported the first successful aortic valve replac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infective endocarditis, there have been increasing reports of the cardiopulmonary bypass surgery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with acceptable peri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From Jan. 1988 to Nov. 1989 we have experienced four uremic patients necessitating open heart surgery ; one needing a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and the other 3 needed cardiac valve replacement. Based on our observations we would like to suggest followings 1]Intraoperative ultrahemofiltration during C-P bypass thought to be an excellent means for the control of hyperkalemia and fluid balance. 2] The immediate postoperative application of peritoneal dialysis instead of hemodialysis is beneficial in controlling 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 3]The cause of one early postoperative death was not associated to renal failure, rather it was the result of an accidental rupture in the right ventricular wa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