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성차원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초

패션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 (Impa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Comparison among Formal, Casual, Sports Brands -)

  • 고은주;윤선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59-80
    • /
    • 2004
  • 본 연구는 패션 제품은 사회심리적 속성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aker의 일반적인 제품에 적용한 브랜드 개성 차원과는 다른 차별화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패션 브랜드 이미지에서 추출한 브랜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어휘들을 포함하여,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을 도출하여 전체적 패션브랜드 개성 차원을 밝혔으며, 또한 패션 제품의 세분화 기준중의 하나인 복종별 (정장, 캐주얼웨어, 스포츠웨어)에 따라 패션 브랜드 개성요인은 어떻게 다르게 도출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는 패션 제품 카테고리에 맞는 패션브랜드개성 차원을 개발함으로써 차별적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활용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있어 브랜드 개성차원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개성 차원들이 브랜드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은 유행/ 혁신성, 성실성, 보편/ 안정성, 전문성의 4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복종에 따라 정장에서는 혁신/활동성, 안정성, 전문성, 보편성이, 캐주얼웨어에서는 유행/ 혁신성, 활동성, 성실성, 안정성으로, 스포츠웨어에서는 혁신성, 사교성, 성실성의 개성 차원이 도출되었다. 셋째, 패션 브랜드 개성 요인에 따라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와 구매의도의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 보편성, 전문성이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정장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전문성,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활동성, 스포츠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이 선호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반적인 패션브랜드 개성과 정장 브랜드 개성에서는 선호도와 동일한 차원들이 각각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유행/ 혁신성, 진실성, 안정성이 스포츠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혁신성이 각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고 표현에 따른 브랜드 개성 평가 (Evaluation of Brand Personality by Advertising Message)

  • 박범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5-62
    • /
    • 2014
  • 본 연구는 광고를 통해 표현되는 특성을 평가하여 브랜드가 가지는 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브랜드는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며 이는 광고 표현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어, 소비자의 이해와 해석을 통해 브랜드 개성이 형성된다. 동일 제품군내에서 서로 경쟁하는 브랜드들 사이의 브랜드 개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연구를 위해 아웃도어 브랜드 4개가 선정되었고, 최근의 TV광고물 각 3편씩이 분석을 위한 소비자 평가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4개의 아웃도어 브랜드 모두 열정과 능력이라는 강한 브랜드 개성차원을 공통적으로 소유하고 있었다. 다른 대표적인 브랜드 개성 차원으로는 모험, 세련, 진실 등이 나타났다. 두 개의 공통된 브랜드 개성차원 이외에 각 브랜드마다 가지는 서로 다른 개성 차원이 나타났다.

브랜드 개성 평가를 통한 선도브랜드의 전형성 분석 연구 (Analysis for Typicality of the Leading Brand by Evaluation of Brand Personality)

  • 박범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8-57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제품군 내 선도 브랜드가 가지는 전형성을 브랜드 개성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인스턴트 원두커피가 분석 대상 제품군으로 선정되었고, 일반 매장 판매 브랜드인 '카누', '루카', '수프리모' 세 개의 브랜드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선도 브랜드인 카누가 해당 제품군을 대표하는 브랜드 전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누의 경우, 진실, 능력, 성공, 세련 등 제품군이 보유하는 4가지 개성 차원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었다. 루카의 경우, 능력, 진실, 세련 등 세 가지 개성차원이 공통적인 것으로, 수프리모의 경우는 세련과 능력 두 개의 개성차원만이 공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개성차원을 구성하는 구성개념에 있어서도 카누의 경우가 다른 경쟁 브랜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공통성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를 통해 브랜드 개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브랜드의 전형성 평가에 대한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웹페이지 디자인의 이브랜드 개성 구축을 위한 시각조형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brand personalities and visual attributes)

  • 박수이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187-204
    • /
    • 2006
  • 경쟁이 치열한 온라인 콘텐츠 시장에서 이브랜드 개성(eBrand Personality)은 효과적인 차별화 전략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브랜드 개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각 측면에서 이브랜드 개성의 구현 방법을 구체적인 디자인 언어로 제시하는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브랜드를 형성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인 웹페이지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이브랜드 개성 차원을 시각적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시각조형특성(visual attributes)을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이브랜드 개성 차원 모델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탐색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각각의 이브랜드 개성 차원과 관련 있는 시각조형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앞서 도출된 탐색적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극을 제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는 확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전 연구를 통해 도출된 네 가지 차원, 'Pl.선정적이다', 'P2.분석적이다', 'P3.호의적이다', 'P4.세련되다'을 바탕으로 탐색적 연구에서는 '단순성'과 '응집력'은 'P1.선정적이다' 개성 차원과 관련이 있으며, '대비', '규칙성,' '조밀성'은 'P2.분석적이다' 개성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비', '규칙성', '응집력', '조밀성'은 'P3.호의적이다' 개성 차원과, '균형', '규칙성'은 'P4.세련되다'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확증적 연구를 통해 앞서 제시된 분석 결과를 검증한 결과, 'Pl.선정적이다', 'P2.분석적이다', 'P2.호의적이다' 차원에 대한 이브랜드 개성 차원과 시각조형특성 간의 인과관계가 검증되었다.

  • PDF

관광지 개성과 속성이 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Effect of Tour Site Personality and Attributes on the Choice of Tour Site)

  • 임병훈;안광호;하재은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49-16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지 개성이 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아시아 지역 내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제주도를 포함한 섬 관광지 6곳을 경쟁 관광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일본인, 중국인, 한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관광지 개성과 관광지 속성에 대한 여행갤들의 지각을 측정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관광지 선택에 있어 관광지 개성과 관광지 속성의 상대적 영향정도를 분석하였다. 관광지 개성의 차원은 Aaker의 연구와 유사하게 5개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유능함" 대신에 "매력성"이 새로운 개성차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Multinomial Logit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지 속성들 중에서 친절한 서비스가, 그리고 개성차원들 가운데 성실함이 의미있는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 쇼핑과 흥미로움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는 전반적으로 관광지 속성과 관광지 개성 모두가 관광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인의 경우 관광지 속성보다 관광지 개성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디자인 개성과 소비자 반응 간의 관계에 대한 디자인 전형성 효과 (The Effect of Design Person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ersonality and Consumer Response)

  • 나광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65-76
    • /
    • 2019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디자인 개성 차원이 제품 디자인의 태도나 구매의도 등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디자인 전형성이 디자인 개성과 소비자 반응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형적 디자인에 노출될 경우 진실성과 강인함이라는 디자인 개성 차원을, 비전형적 디자인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열정과 세련됨 디자인 개성차원을 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형적 디자인의 경우 진실성, 유능함, 열정, 강인함 등의 디자인 개성차원이, 비전형적 디자인의 경우에는 진실성, 유능함, 열정, 세련됨 등이 디자인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형적 디자인의 경우에는 유능함과 강인함이, 비전형적 디자인의 경우에는 진실성, 열정, 강인함이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능함과 강인함은 전형적 디자인에서, 세련됨은 비전형적 디자인의 경우 디자인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능함은 전형적 디자인의 경우에, 열정은 비전형적 디자인에서 제품구매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이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Online Brand Loyalty and the Congruence between Online Brand Personality and Actual Self-Image)

  • 왕샤오우;이홍일;박철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9-284
    • /
    • 2010
  • 최근 온라인 브랜드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나 온라인 영역에서 브랜드 개성(Brand Personality)과 로열티(Brand Loyalty)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온라인 영역에서의 개성과 자아이미지(Self-Image) 그리고 로열티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절대차이모델(Absolute Difference Model)을 적용하여 온라인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 지수를 도출하고, 온라인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개성의 진실, 최신, 유능성 차원이 온라인 브랜드 로열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브랜드의 로열티를 높이기 위해서 는 자아이미지와 브랜드 개성 차원이 일치하는 타겟집단의 선정과 브랜드 이미지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랜드 개성을 활용한 온라인 브랜드 차별화 전략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PDF

인터넷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 김경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0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인터넷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차원을 개발하여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최근 6개월 이내에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경험이 있는 부산지역 대학생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시장점유율 상위에 있는 종합쇼핑몰과 오픈마켓 등 11개 쇼핑몰을 선정, 비교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차원은 '유능 세련성', '활기', '정감', '신뢰성' 등으로 나타났다. '정감', '신뢰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뢰성'이 인터넷 쇼핑몰의 재방문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소비자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개성차원 중에서도 '정감', '신뢰성'을 더욱 강화하는 구체적인 전략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관광축제 브랜드개성 요인의 탐색과 태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Investigation on the Factors of Tourism Festival Brand Personality and the Effects of the Personality on Attitude and Royalty: Focused on Boryeong Mud Festival)

  • 임명재;권현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25-433
    • /
    • 2010
  • 관광축제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관련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축제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브랜드개성은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축제 브랜드개성 구성차원의 도출과 더불어 브랜드개성이 축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관광축제 브랜드개성은 유능/세련, 흥미, 성실과 같은 3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개성요인 중 흥미, 성실요인은 축제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유능/세련, 흥미요인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축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축제 브랜드개성에 관심을 갖고 축제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복합자극에 의한 슈트용 직물의 감성 변화 (Changes of Sensibility by Multi Sensory Stimulation with Suiting Fabrics)

  • 정경희;이보람;조길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61-136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슈트용 직물의 촉각 자극 시 나타나는 감성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물의 스치는 소리가 공감각적 감성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평가 및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직물의 촉감을 평가하게 한 후, 그 직물의 스치는 소리를 제시하여 감각과 감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복합자극으로는 직물별 tm치는 소리와 촉감을 동시에 제시하여 때 감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촉감에 대한 감성차원으로는 '심미성'과 '개성'의 두 가지 요인이 나타났고, 소리에 대한 감성차원으로는 '심미성'과 '고급감', '개성'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심미성을 유발하는 촉각성 요인으로는 'pliable'과 'cool', 개성을 유발하는 촉감성 요인으로 'smooth'와 'cool'로 나타났다. 청각자극에 의한 감성은 'loudness'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촉감자극에 의한 직물 별 소리 자극을 부가하였을 경우 직물 소리의 물리량에 따라 심미성 요인에서 감성의 상승 및 하강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