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방적 탐구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서비스러닝자기주도 학습과의 관계)

  • Shin, Myeong-Hee;Kim, Jin-S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7
    • /
    • pp.399-405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service learning combined with self-directed study had on transferring skills from the university classroom to their practical application in local community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took service learning classes from September 1, 2019 to December 28, 2019. The research question in this paper i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learning-based general classes and self-directed learning?'. That is, how do service learning-based general classes affect sub-elem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We then tried to determine how the variables of individual learners can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autonomy and problem solving were the greatest at r=.66. Openness and self-assessment (r=.60), autonomy and self-assessment (r=.55) had significant correlation. Learner autonom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cilitation and collaboration of service learning (**p<.01). According to this result of the study, it is possible for learners to deepen what they have learned at school and to practice and gain experience through community service. Further, practical problem solving and self-assessment through reflection are possible. Learners were able to inspire responsibility as members of society and increase self-esteem as democratic citizens.

재미한인 영재 청소년의 민족적 정체감 형성 연구

  • 류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4.11a
    • /
    • pp.125-148
    • /
    • 2004
  • 본 연구는 우수한 학업 성적을 보이는 재미 한인 영재 청소년들이 민족적 정체감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 뉴욕의 학업영재아를 위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5명의 한인 영재아들을 대상으로 Phinney의 민족적 정체감 평가지가 사용되었다. 민족적 정체감의 평가를 위해 3가지의 민족 정체감 구성요인들이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민족적 자기 정의, 민족집단에 대한 평가와 민족집단에 대한 참여이다. 개방형 문제에 응답을 한 학생들은 두 명의 독립적인 관찰자에 의해, 자신이 정의한 민족집단에 대한 탐구와 헌신의 정도에 따라, 3단계의 민족 정체감 발달 단계로 나누어졌다. 이 3단계 중 첫번째 단계는 자신이 속한 민족집단에 대한 무관심과 낮은 참여도를 보이는 민족 정체감 무관심의 시기이고, 두 번째 단계는 자신의 민족집단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그 집단의 역사와 철학, 문화, 그리고 주류사회 속에서 해당 민족집단의 사회적 위치와 편견 등에 대해 관심과 참여를 보여주는 민족 정체감 탐구의 시기이며, 마지막 단계는 민족 정체감 완성 시기로, 자신을 그 집단의 구성원으로 완전히 수용하면서, 민족적 정체감에 안정된 모습을 보이는 단계이다. 각 민족 정체감 구성요소들과 민족 정체감 발달 단계내의 집단차를 논의하기 위해 ANOVA가 사용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영채아들은 자신을 재미아시아인이 아니라, 한국인 혹은 재미동포로 정의하였고, 이러한 민족적 자기 정의는 학생들의 민족집단에 대한 평가도와 참여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민족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민족집단에 대한 활발한 참여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바탕으로 재미 한인 영재 청소년들이 높은 자아 존중감을 지닐 수 있도록, 현재 교육현장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과 함께, 앞으로 필요한 보다 많은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보였다. 5. L값은 살균처리의 경우 저장 30일 이후 약간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고, 121$^{\circ}C$ 살균처리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대체로 저장온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밝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적색도는 인삼 첨가구의 경우 상온 및 냉장저장에서 10$0^{\circ}C$ 살균이 121$^{\circ}C$ 처리구 보다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적색도의 변화는 인삼과 송이 첨가구에서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황색도는 상온 및 냉장저장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후 상온저장 50일 째, 냉장 60일 째 가장 높게 나타났다. 121$^{\circ}C$ 살균처리구가 10$0^{\circ}C$ 처리구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circ}C$$,에서는 20시간 가열시 0.706$\mu\textrm{g}$/kg으로 가장 높게 생성된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산값과 공액이중산값은 계속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즉 B(a)P생성과 산패도 변화사이에는 일정한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ve(+)의 상관관계가 있었다.l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School Report Document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생활기록부 작성 효율성 제고 향상 연구)

  • Seo, Jung-Ho;Kim,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09-41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대입수시전형에서 생활기록부 입력은 대한민국 입시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평가자료이다. 3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교사들이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데 가장 많이 참고하는 자료로는 수행평가 결과물, 발표내용, 보고서, 감상문 등의 학습 결과물(90%), 학생들이 작성한 자기평가서(73.3%), 관찰 평가지(50%)로 나타났으며, 80%(24명)의 교사들이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데 고충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이 느끼는 고충의 원인으로는 학생들의 개인별 특성 파악이 어려워 차별성있게 작성하는 것(76.7%)을 가장 힘들어 하였고, 작성해야 할 많은 수의 학생(60%), 문구를 만드는데 대해 부담(86.7%)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전문성 뿐만 아니라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작업도 많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고안을 내었다. 교사들 역시 반복적이고 일률적인 생활기록부 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유용하게 활용할 것이라는 응답이 90%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교사들이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데 있어 기계적이고 단순한 작업을 도와 주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탐구보고서, 토론, 발표, 감상문 등의 생화기록부 작성 참고자료들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추상요약(Abstractive Summarization)을 통해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작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기록부 작성 참고자료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과 추상요약을 할 수 있는 개방형 데이터셋까지는 확보하였다. 추상요약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 있는 추가연구가 필요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교육 본질에 더욱 충실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내실 있는 생활기록부 작성이 공교육 신뢰 제고에 밑바탕이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Vehicle Voice Interaction Structure Considering Implicit context with Persistence of Conversation (대화 지속성 암묵적 단서를 고려한 차량 내 음성 인터랙션 구조 연구)

  • Namkung, Kiech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2
    • /
    • pp.179-184
    • /
    • 2021
  • In this study, the conversation behavior of users is investigated by using in-vehicle voice interac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conversations that the users expect in voice interactions with systems and present the structural improvements to enable the voice interactions similar to those between people. To observe the users' behavior of voice interaction in the vehicle, the data through contextual inquiry are collected and the interview contents are analyzed by using the open coding. We have been able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voice interaction features, which are of great importance in that they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features and their usage persist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user's empirical needs for the technology of interpersonal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sation.

What Do Scientists Think about the Nature of Science? - Exploring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of Korean Scientists Related with Life Science Area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 Lee, You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4 no.7
    • /
    • pp.677-691
    • /
    • 2014
  •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a consistent topic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in science education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Even though there is a variety of research related with the NOS conducted in science education, few researches has been conducted for the conception of scientists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Bayir et al., 2014; Taylor et al., 2008; Wong & Hudson, 2008). Recently, researchers in science education turned their attention to identifying views of scientist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ince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f scientists in science education (Southerland et al., 2003; Taylor et al., 200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Korean scientis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use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the views of 35 scientists who belong to the Korean-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KSEA)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were explored. Findings show that while the scientists have more informed views with respect to the tenta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cultural and social influence embedded in science, the limitation of science, and the collaboration of science with others, the scientists have more na${\ddot{i}}$ve views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 laws and theories,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scientific method, and the importance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As such, it can be assumed that the scientists cannot conceptualize their notion in a philosophical sense even though they are engaged in scientific work in reality (Bayir et al., 2014).

High-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Activities, Self-concept, and Choice of a Science Major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활동, 자아 개념, 과학 전공)

  • Heo, Mi-So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0 no.3
    • /
    • pp.885-89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explain why high-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in our country do or do not choose a science major and to explore gender differences. First-year students attending science high schools and international high school participated, responding to open-ended questions on science activities, self-concept of strengths for science learning, and rationales for choosing or not choosing a science major. For high- achieving students, it is shown that intrinsic interest has the greatest correlation with choosing a science major, with the next important influence being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in not choosing a science major, the lack of self-efficacy has a greater correlation than the lack of intrinsic interest. Self-concept in science-learning and science activities occurring outside of school classes a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from educational and policy viewpoints.

Samulnori Musicians' Experiences of Object Relations With Their Instruments (사물놀이 연주자의 악기 대상관계 경험)

  • Kim, Cheonsa;Kim, Kyoungsuk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8 no.2
    • /
    • pp.87-10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object relations with musical instruments as experienced by professional Samulnori musician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five Samulnori players who also completed questionnaires with open-ended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2004)'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results offered 121 semantic units, seven subcategories, and three main categories. The three main categories were transitional object, object of expression and recognition of internal desires, and object for recognition of others and commun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semble format of Samulnori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musician's object relationship and can externalize the player's internalized representational system and interaction meth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endopsychic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musician and their instrument and provides the basis for the use of Samulnori instruments in music therapy.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Traits On Work Stress And Ethical Decision Making (간호사의 환경적 요소와 개인적 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 Mi L.;Shake ketefia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3 no.3
    • /
    • pp.417-430
    • /
    • 1993
  • 이 연구는 환경적 요소(간호사의 자율성, 조직의 표준화)와 개인의 특성(통제위, 나이, 경험. 간호역할개념, 도덕성),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의사결정 사이의 관계를 이론적 틀을 구성하여 테스트함으로써 그 인과관계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모형은 1) Katz와 Kahn의 조직에 대한 개방체계 이론(open systems theory of organization) ; 2) Kahn. Wolfe, Quinn, Snoek의 스트레스 이론 (theory of stress) : 3)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theory of moral develop-ment): 그리고 4) 여러 문헌고찰을 기초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2가지의 주요 종속변수(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간호행위), 2가지 매개변수(간호 역할개념, 도덕성 발달정도) 그리고 여러 독립변수들(조직의 표준화, 자율성, 통제위, 교육, 나이, 경험 등)로 구성되었다. 간단히 말해,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윤리적 간호행위 를 개인 자신과 환경이라는 두 요소의 결과로 간주한 것이다. 미국(2개주)의 여러 건강관리기관에 근무하는 224명의 정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1)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s(LISREL)기법과 2) 나이, 경험, 교육이 변수간의 관계에 미치는 중간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LISREL결과를 보면 제시된 모델이 각 내재 변수에 상당한 설명력을 가지면서 자료에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가장 뚜렷한 점으로 나타난 것은 개인의 특성보다 환경적 요소로서의 자율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데 훨씬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간호사의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중간영향(moderation effect)을 보면, 젊고 경험이 적은 간호사일수록 나이가 많고 경험있는 간호사보다 환경적 요소(자율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4년제 대학 이상을 졸업한 간호사의 윤리 적 간호행 위 는 2, 3년제 를 졸업 한 간호사 보다 환경적 요소에 의해 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율성의 부족은 2, 3년제 졸업 간호사보다 4년제 졸업 간호사에게 더 심한 스트레스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제적인 제언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는 환경적요소로서의 자율성이 다른 어떤 개인적인 요소보다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간호행정가들에게,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선 “자율성”이 아주 중요히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그 개인의 복지에 큰 해가 되고 환자를 간호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계된다면, 간호행정가는 그 조직의 직무체계를 다시 평가해서 일에 대한 새로운 설계가 필요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직무를 다시 설계할 경우, 누구에게 먼저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는지를 밝혀주고 있다. 즉, 젊고 경험이 미숙한 간호사들에게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며, 작업환경의 가장 중요한 차원중의 하나인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을 조심스럽게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간호사의 윤리적 간호행위를 높히기 위해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재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 두 역할개념 들을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두 개념들이 간호사의 바람직한 간호행 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험이 많을수록 일에 싫증을 느껴 바람직한 윤리적 간호행위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건강관리체제 (health care system) 안에서의 간호사의 역할이-전문직으로서의, 그리고 환자를 위한 옹호자로서의-학교와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교육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간호사들의 역할에 대한 계속적인 교육이 학생은 물론 임상 간호사들에게도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미래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면 첫째로 연구의 일반화를 높히기 위해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켜야 한다. 이는 여러 종류의 표본을 반드시 한번에 전부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여러 표본들을 연속적으로 연구함으로서 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는 여러 construct들(윤리적 간호행위, 직무 스트레스, 간호 역할개념 등)에 대한 적절한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풍부하고 세세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질적인 정보를 얻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증진시키기 위해 실험설계 및 종단적 연구(expel-imental, longitudinal design)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할 수 있는 이론적 탐구(theoretical exploration), 즉 이론정립을 위하여, 환경적 요소와 개인의 특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질적 연구들이 요구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ppropriate Technology Educational Program Related to Water Acquisition and Purification (물의 취득 및 정수와 관련된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Hyunguk Kim;Sojean Jeong;Sori Jeong;SungYun Mu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7 no.3
    • /
    • pp.238-250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an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 related to water acquisition and purification on scientific attitude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us, this study developed a learning program related to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mposed of 8 sessions, and some were for exploring water acquisition-related scientific principles and the appropriated technology of Warka Tower, and the others were for conducting water purification-related inquiry experiments, such as Life Straw and Drinkable Book, and the last two sessions were for presenting practical tasks through creative ideas and designs and carrying out the relevant campaign activities. For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51 students from two sixth-grade classes, and after modifying the scientific attitude questionnaire an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 questionnaire fit for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 this study conducted a paired-sample t-test by applying both the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In addition, while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attitude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the post-test results,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sub-domains perceived by the students after this program was appli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Out of all the scientific attitudes, curiosity, openness, cooperation, and crea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th an increase in the average value when their overall averages of the pre-tes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ost-test. With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 domain of mastering a specific area and the domain of divergent think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ooperation out of the scientific attitude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the domains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especially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uch sub-domains as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ll the four domains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showed a number of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ub-domains of scientific attitude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bove,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on how and where to apply such appropriate technology-related topics in the future and various responses from students.

1910's Tap-gol Park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Design Document Interpretation (설계도서를 중심으로 본 1910년대 탑골공원의 성립과정)

  • Kim, Hai-Gyoung;Kim, Young-Soo;Yun, Hye-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2
    • /
    • pp.103-117
    • /
    • 2013
  • This research analyzed the spatial components and establishment of the Tap-gol Park according to the plans between 1897 to 1916 when the discussions on the construction of the park began and it was accomplished as an urban pa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stablishment of Tap-gol Park can be divided by three period. Firstly, Tap-gol Park was owned by the royal family from 1987 to 1904. The discussions on construction of Tap-gol Park as a first urban park of Gyeongseong(京城) in 1897, and the private houses were tear down in order to secure land for the park in 1899. Gates and fences surrounding of Tap-gol Park were organized and it was opened in 1902 based on park plane of turtle - shaped. The octagonal pavilion for 'Lee-Wang-Jik musical band(李王職音樂隊)' was re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park in 1903. Secondly, Tap-gol Park was used actively by the public between 1910 to 1913, because it was opened for individuals. Also The boundary of Park were changed by surrounding facilitie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and benefits was complemented for users. Tap-gol park was opened at nighttime in August 1913. Tap-gol Park was used as a place of amusement park. Thirdly, commercial facilities were made as the park facility between 1914 to 1916. The purpose of 'Kkikdajeom(喫茶店)' was similar to the one of modern cafes. It was built as a typical Japanese tea-house with a small pond having an island and a bridge constructed inside. With the increase of usage of Tap-gol Park as a recreational area by the citizens in 1916, the pavilion as a rest area and toilet as amenities were supplemented. Superintendent's office was equipped too. Simple chairs made from the wooden logs were installed around greenhouse, concert hall, the Wongaksa Buddhist temple(圓覺寺址十層石塔), and the flower garden was fenced round. After the relocation of Yongsan music band to Tap-gol Park, the existing concert hall was demolished. The shape of the park which was seen from the pictures of the magazines of 1920s were achieved as early as 1916.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includes the basis to revise the errors of the preexistence researches and value of historical material of the design plan reference of the park which was accomp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lso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and pa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