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방적 상황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27초

개방형 상황 인식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추천 서비스의 설계 (Design of Recommendation Service in Open Context-aware Service Architecture)

  • 김동진;권준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C)
    • /
    • pp.19-2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개방형 아키텍처 하에서의 상황 인식 추천 서비스를 설계한다. 상황 인식 서비스에서는 다양한 기기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개방형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장치에서 공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OSGi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였고,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관심도를 측정하여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유비쿼터스의 이질적인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적절한 정보를 적시적지에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open ended problem)

  • 권오남;조영미;박정숙;박지현;김영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6권
    • /
    • pp.217-218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이나 재량활동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학적 창의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Haylock(1987)등에 의해 창의력과 수학적 창의력의 구분되었으며, 특히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안되었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수학적 창의력을 측정하려는 평가 도구들이 그 동안 여러 가지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 창의력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종국적으로 교실 수학수업에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교실에서 수학수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들이 수학적 창의력을 위한 수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당장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 동안 교실 수학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들 대부분은 게임이나 퍼즐을 이용한 것으로 그 수준이 단순 흥미유발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영재아를 위한 소재를 중심으로, 특히 수학적 사고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많으며, 수학과의 연계성이 불분명한 채로 단순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수업과 연관되어 창의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사례가 많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현재 교과교육공동연구 지원사업의 하나로 한국 학술 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를 중심 소재로 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 문제라 함은 명백한 정의가 어렵지만 Pehkeon(1995)는 개방형문제의 정의를 명백히 하기위한 시도로서 그 반대로 닫힌 문제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문제가 닫혀있다고 하는 것은 그 문제의 출발 상황과 목표 상황이 닫혀 있는 것, 즉 명백히 설명되어있을 때라면 개방형 문제는 이와 반대의 개념임을 시사하였다. Silver(1995)는 개방형 문제를 문제 자체가 다른 해석이 가능하거나 서로 다를 인정할만한 답을 가질 수 있는 문제 또는 풀이과정이 다양한 문제, 자연스럽게 다른 문제들을 제안하거나 일반화를 제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란 출발상황이나 목표 상황의 일부가 닫혀있지 않을 때를 말하고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해답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는 문제를 뜻한다. 수학적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다른 문제 유형보다도, 개방형 문제가 유리하다는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왔다. 미국 국립영재교육센터(NRCG/T)는 기존의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문제와 질문들은 학생들의 사고 능력에 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open-ended' 또는 ’open-response' 문제와 질문을 가지고 수학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표현능력을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고, 개방형 문제가 일반적으로 정답이 하나인 문제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하는 문제 형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학교에 실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창의력 신장에 비중을 두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는 수학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학생들에게는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생각하면서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수학을 보는 학생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개방적 상황에서 과학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예비교사의 과학적 문제발견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en-Situation Scientific Problem-Making Activity on th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 황요한;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9-119
    • /
    • 2015
  • 본 연구는 개방적 상황에서 과학적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문제발견능력이 어떻게 향상되는지를 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학부 1학년 세 반을 훈련에 참여한 정도를 기준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한 반을 실험집단 1로, 비적극적으로 참여한 반을 실험집단 2로, 참여하지 않은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편성하였다. 문제 만들기 훈련을 위해 활동지를 제작하여 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하였는데, 예비교사들은 7주간 한 주에 하나의 궁금증을 찾아 활동지를 작성하였고,연구자와 교수가 매주 피드백 해주었다. 또한 문제 만들기 훈련이 문제 발견능력에 주는 영향을 보기 위해 개방적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검사지를 개발하여 훈련 전후 문제발견능력을 측정하였다. 훈련 간 문제 만들기 활동지의 지속적인 작성과 피드백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발견하는 문제의 수준이 높아지고 다양해졌으며, 검사결과 발견한 문제의 양과 질에서 실험 집단 1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질적 검사 항목 중 독창성, 정교성, 검증 가능성, 변인의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 집단 2는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이것으로 보아 훈련에 임하는 태도가 문제발견능력의 향상과 상관이 있다고 짐작할 수 있다. 전체적인 결과로 보아 지속적인 문제 만들기 훈련과 피드백은 예비교사들의 문제발견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변화하고 있는 우리의 법률시장

  • 소순무
    • 대학교육
    • /
    • 통권149호
    • /
    • pp.38-44
    • /
    • 2007
  • 2007년 4월 1일 체결된 한미 FTA 협약으로 법률시장의 개방 또한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협정 발효 후 5년 내에는 완전 개방이 이루어져 미국 로펌과 국내 로펌 간 동업사업체 설립이 허용된 상태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로스쿨법이 지난 7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로스쿨법의 시행을 앞두고 우리 법률시장의 현황 및 특징을 알아보고, 법률시장개방에 따른 대응책을 검토해 봄으로써 로스쿨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건들을 갖추어야 하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 PDF

국내건축사의 해외진출 방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5호통권337호
    • /
    • pp.33-65
    • /
    • 1997
  • WTO(세계무역기구)출범 이후 국제적인 설계시장 개방 및 교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건축계도 그동안 이에 대한 다양한 대응방안을 모색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외국건축사의 국내진출과 시장잠식을 우려한 수세적 자세에 머물러 왔으며, 이를 적극적인 자세에서 국내건축사의 해외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는데에는 소홀히 해온 듯하다. 본지는 이와같은 배경에서 '국내건축사의 해외진출 방안'이라는 주제로 기획특집을 마련, 한국건축의 해외 설계시장 진출상황과 잠재력, 바람직한 접근방향 및 활성화 방안등을 살펴봄으로써 개방화ㆍ국제화를 국내건축계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으로 삼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개방대학의 개요와 한국의 현황

  • 김호근
    • 전기의세계
    • /
    • 제33권12호
    • /
    • pp.721-725
    • /
    • 1984
  • 개방교육의 체제는 학습사회화의 추세에 따라 평생교육의 이념과 그의 실천이 구체적으로 전개되는 상황에서 원하는 수준의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다시금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제2의 기회를 마련해 주는 것으로 이는 개인 성장과 사회적 개발과 국가의 발전에 직접적인 기여를 크게 할 것이 확실히 예견되는 교육제도이다.

  • PDF

개방형 문제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두 개의 개방형 문제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How to Pose an Open Problem? : Two Cases of Posing an Open-ended Problem by Reorganizing Given Closed Problems)

  • 도종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21-235
    • /
    • 2007
  • 개방형 문제는 문제의 출발 상황이나 목표 상황, 해결 방법 등이 열려 있어 학생들에게 각자의 수준에서 다양하고 새로운 산출물을 생산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교사는 여러 가지 유형의 개방형 문제를 답을 구하거나 증명하는 문제의 형태로 제작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개방형 문제 제작과 활용을 위해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어떤 소재를 가지고 어떤 절차와 방법으로 개방형 문제를 만들 것인가 하는 점이다.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생소하거나 과도한 배경지식을 필요로 하는 내용보다는 학생들에게 친숙하여 접근이 용이한 내용이나 소재 및 대다수의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제작 방법과 절차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인 예와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 등에 제시되어 있어 이미 알려진 문제를 재구성하여 개방형 문제를 제작하는 방법과 절차를 예시 설명하고, 예시 개방형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개방형 문제가 지니는 수학 교육적 의의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동화천 하류부 수중보 설치에 따른 수리특성 분석 및 방류량 검토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istics and Evaluation of Outflow by a Small Dam Construction in the Donghwa downstream)

  • 황만하;이배성;이상진;고익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81-1685
    • /
    • 2006
  • 현재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시화호로 유입되는 유량을 저류하여 습지내 안정적인 유량을 공급함은 물론, 정화된 하천수를 방류하여 호소내 수질을 개선하고자 동화천 하류 약 840m 지점에 제수문을 설치하여 운영중에 있다. 그러나, 폭우시 상류농경지 침수우려에 따른 제수문 개방후 폐쇄시 제수문 담수어종이 상류로 올라가는 길이 차단되어 제수문 유출부에 어류가 폐사되는 현상이 반복되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동화천 제수문 하류부(약 36m)에 어도를 갖춘 수중보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제수문과 수중보사이에 Pond를 형성하여 어류의 자연사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량규모 및 수문개방 조건에 따른 보 설치 전 후 상황에 대한 1차원 수리특성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보 설치로 인해 제수문 상류지역에 배수불량 상황 발생여부를 검토하고, 이를 배제하기 위한 제수문 개방조작 변경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수문 하류단의 설치예정인 수중보가 제수문 상류지역의 배수상황에 미치는 영향은 제수문 상류 유입량이 저유량 구간인 $3.92cms{\sim}8.88cms$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방수문 조작 변경안과 같이 간단한 수문조작을 통해 상류 수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기업의 환경과 개방형 혁신을 통한 성과 창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Creation through Open Innovation with Corporate Environments)

  • 서용모;현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81-91
    • /
    • 2019
  • 본 연구는 기업의 특성이 개방형 혁신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는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기업이 처한 다양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고 이를 기업의 성과를 창출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기업이 처한 다양한 상황에서는 환경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의 극복을 거쳐야 한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시장의 역동성과 기술의 역동성은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게 하고 이는 결국 성과를 창출하는 전략적 도구가 되기도 한다. 또한, 기업의 내부의 환경으로는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기업 내부적인 특성인 기업가적 지향성, 조직문화 개방성, 권한위임 및 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개방형 혁신을 통해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기업에게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는데 개방형 혁신은 결국 기업에게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는 중요한 매개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기업 176개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처한 환경을 극복하고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혁신을 전략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경영 전략적 차원의 철학으로 이해함을 시사하고 있다.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개방형 학습법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 전평국;문점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31-243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개방형 학습법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수학 교수-학습법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한 반은 실험집단으로 하고 다른 반은 비교집단으로 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개방형 학습법에 의한 수업을 전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수업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로서, 오직 답이 하나로 제한되고 닫힌 통상적인 문제가 아니라 결과가 하나로 결정되지 않는 문제상황을 제재로 하여 거기에 내재하는 결과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개방형 학습법에 의한 수업이 일반적인 수업보다 수학적 창의력 향상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며, 수학적 창의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에서 남 ${\cdot}$ 여간에 차이가 없이 남과 여 집단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