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발노력추정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bivory of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Viburnum (가막살나무속 몇 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 Kim, Gap-Tae;Kim, Ho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11.04a
    • /
    • pp.31-33
    • /
    • 2011
  • 화외밀선(EFN)의 형태로 엽연부의 엽맥 끝에 넥타를 분비하는 것은 가막살나무 5 수종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에서는 잎 뒷면 선점(pellucid dot)이 분포하는 것이 좋은 방어전략이라 판단된다. 가막살나무의 선점에서 넥타를 먹는 포식응애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분꽃나무의 잎 뒷면에는 성모 이외에 별모양의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이를 포식응애가 먹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 구조가 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에서의 선점과 같은 역할일 것이라 추정되나 좀더 정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수종별로 독특한 방법으로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을 개발하면서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여기에 화학적 방어전략이 추가된다면 식물이 살아남기 위하여 얼마나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가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우리나라 도시가구(都市家口)의 계층별(階層別) 소득(所得) 및 후생불평등도(厚生不平等度)의 추계(推計)와 분석(分析) - 1984년(年) 횡단자료(橫斷資料)를 中心(중심)으로 -

  • Yu, Jong-Gu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0 no.2
    • /
    • pp.117-140
    • /
    • 1988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1984년 한 해의 "도시가계연보(都市家計年報)"(전산(電算)테이프자료(資料))를 이용해 도시가구(都市家口) 계층간(階層間) 및 계층내(階層內)의 소득(所得) 및 소비(消費) 후생불평등도(厚生不平等度)를 추정하였으며 그 요인(要因)을 근로소득(勤勞所得)의 측면(側面)에서나 찾아보았다. 본(本) 연구(硏究)의 주요실증분석(主要實證分析)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도시가구(都市家口)의 불평등(不平等)을 크게 좌우(左右)하는 것은 재산소득(財産所得) 유무(有無)이며 (2)근로소득(勤勞所得)의 불평등(不平等)은 주로 학력간(學歷間) 임금격차(賃金格差)에서 비롯되고 있으며 (3)재산소득(財産所得)의 불평등(不平等)은 자본이득(資本利得)(capital gain)을 좌우(左右)하는 일반물가수준(一般物價水準)의 불안정(不安定)에서 비롯되고 있다. 따라서 불평등(不平等)의 개선(改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물가수준(物價水準)의 안정(安定)이 최우선 조건이며 이와 더불어 학력간(學歷間) 임금격차(賃金格差)를 완화(緩和)시키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Software Development Effort Estimation Using Neural Network Model (신경망 시스템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노력 추정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Baek, Seung-Ik;Kim, Byung-Gwa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 /
    • v.5 no.1
    • /
    • pp.97-109
    • /
    • 2006
  • As software becomes more complex and its scope dramatically increase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developing methods for estimating software development efforts has been increased. Such accurate estimation has a prominent impact on the development projects. To develop accurate effort estimation model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mong the academia and the practitioners. Out of the numerous methods, Constructive Cost Model (COCOMO) based on Line of Code (LOC), Regression Model based on Function Point (FP) were the most popular models in the past. As today's development environments are dynamically changing, these traditional methods do not work anymore. There is an impending need to develop an accurate estimation model which accommodates itself to the new environments. As a possible solution, this research proposes and evaluates an software development estimation model based on function points and neural networks.

Spatial Prediction of Wind Speed Data (풍속 자료의 공간예측)

  • Jeong, Seung-Hwan;Park, Man-Sik;Kim, Kee-Wha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2
    • /
    • pp.345-356
    • /
    • 2010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linear regression model taking the parametric spatial association structure into account and employ it to five-year averaged wind speed data measured at 460 meteorological monitoring stations in South Korea. From the prediction map obtained by the model with spatial association parameters, we can see that inland area has smaller wind speed than coastal regions. When comparing the spatial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classical one by using one-leave-out cross-validation, the former outperforms the latter in terms of similarity between the observations and the corresponding predictions and coverage rate of 95% prediction intervals.

Estimating Seasonal Runoff Ratio of Paddy Field (논의 시기별 유출율 산정)

  • Jung, Jae-Woon;Yoon, Kwang-Sik;Choi, Woo-Jung;Choi, Woo-Young;Lee, Soo-Hyung;Chang, Nam-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70-774
    • /
    • 2008
  • 현장 계측을 통한 오염부하량 산정은 많은 시간, 노력, 비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오염부하 추정에 관한 많은 방법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논오염부하 추정을 위한 일환으로 강우사상평균농도(Event Mean Conentration, EMC)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해서는 농도이외의 주요 매개변수인 유출량 산정 또한 중요하다. 하지만 논의 경우 실제 유출량 자료는 흔치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영농활동이 시기별, 지역별로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이용하면 유출율을 추정하는데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07년 영농기 강우-유출량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시기별 유출특성을 파악하고, 논의 시기별 유출율을 제안하였다. 논의 시기별 유출율을 산정하기 위한 시험지구는 영산강 수계내에 위치한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화양리 13.69 ha 논지구이며, 2004년부터 2007년 영농기(5월$\sim$9월)동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논 배수로 말단에 수위계를 설치하여 수위-유량관계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구하였고, 직선분리법을 이용하여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한후 강우량과 유출량의 비를 통하여 월별 평균 유출율을 산정하였다. 5월, 6월, 7월, 8월, 9월에 내린 평균 강수량은 각각 40.2, 50.1, 75.4, 75.8, 136.8 mm로 나타났고, 영농기 월별 평균 직접유출량은 각각 9.1, 26.6, 34.6, 42.9, 79.6 mm로 나타났다. 강우량과 유출량의 비를 통해 4개년 5월, 6월 7월 8월 9월 평균 유출율은 각각 0.18, 0.42, 0.40, 0.44, 0.49로 나타나 논의 경우 시기별로 유출율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Analysis and Evaluation of Solar Radiation Resources and Reliability Enhancement on Insolation Data in Korea (한반도 태양에너지 자원의 분석.평가 및 데이터 신뢰성 향상 연구)

  • Jo, Dok-Ki;Kang, Yong-Heac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479-491
    • /
    • 2005
  • 지구환경문제와 에너지 수급관계를 감안할 때, 청정 및 대체에너지 연구개발은 불가피하며, 그 중에서도 태양에너지는 대표적인 대안의 하나로 인식된다. 따라서 태양에너지의 적극적인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마련은 필수적이다. 태양에너지의 이용 및 관련 절약 기술에 필요한 태양에너지 자원(기상)에 대한 기술자료는 최소한 30년간의 측정 자료를 필요로 한다. 이들 자료에는 시간별 수평면전 일사량, 법선면 직달일사량 및 수평면 산란일사량은 물론 시간별 평균치로 운량, 기온, 습도 등이 포함된다. 이들 자료로부터 자료의 분포, 평균 및 최고, 최저값 등과 같은 기초자료들을 선별하여 관련 시스템 설계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충족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태양에너지 자원에 대한 정밀한 측정은 1982년 이후 수평면 전일사량, 1990년 이후에서나 법선면 직달일사량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실정으로, 자료의 표준화 및 신뢰성 확보에는 여전히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지속적인 측정과 더불어 요구되는 것으로 측정자료의 가공기술을 들 수 있다. 즉, 측정자료의 품질평가 및 관리 기술, 미측정 또는 불량자료의 복원 기술 및 측정 지역외 자료의 추정을 위한 보간기술 등이다. 이와 같은 기초자료 및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은 보다 구체적인 적용에 앞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 PDF

State of the Art of Segment Lining in Shield Tunnel and Statistical Analysis of Its Key Design Parameters (쉴드터널 세그먼트 라이닝의 최신 기술동향과 핵심 설계항목의 통계 분석)

  • Chang, Soo-Ho;Lee, Gyu-Phil;Choi, Soon-Wook;Bae, Gyu-Ji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1 no.6
    • /
    • pp.427-438
    • /
    • 2011
  • Segment lining is a key permanent lining structure to maintain the shield tunnel stability in shield tunnel operation. Moreover, segment lining generally accounts for the largest proportion in the shield tunnel construction costs. As a result, technical improvements to increase its economic feasibility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high-performance segments from their recent cutting technologies. In addition, based on over 2,100 world-widely collected segment design data,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of segment key design parameters such as thickness, width and the number of divisions as well as segment materials were carried out to approximately estimate them in a design stage.

A Review and Analysis of Earthquake Disaster Risk Assessment Tools and Applications (지진 재해 위험도 평가 분석 도구 사례 분석 연구)

  • Chai, Su-Seong;Suh, Dongj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5
    • /
    • pp.899-906
    • /
    • 2018
  • In the entire process of disaster management, it is very significant to construct related information as well as perform quantitative assessment of damage losses with respect to minimizing the effect of disasters. Many countries have paid much attention not only to studying risk assessment methodologies including constructing inventories, hazard mapping,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direct/indirect damage loss estimation, but also to developing risk analysis tools investigated in this paper. We conducted comparison studies of representative earthquake damage risk analysis tools,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b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cision makers and researchers who can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Project Performance of Government R&D Program: Focusing on IT and CT Industry (정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창출요인에 관한 연구: IT와 CT산업을 중심으로)

  • Ko, EunOk;Jang, Pilseong;Kim, Yeunbae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2 no.3
    • /
    • pp.261-286
    • /
    • 2014
  • Recently, project performance and management of government R&D program investing huge amount of budget is being focused. In this study, I built a model for estimating the performance creating paths of the government R&D program, then I analyzed the attributes of performances created by industries. I used simultaneous equations with FIML and examined the IT industry and CT industry of industrial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 using survey on R&D performance conducted by KEIT. On the analysis result, all the companies create the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government grants. However, the one who commercialize patents is SMEs in IT industry, and conglomerates in CT industry. SMEs in IT industry, which has characteristic of complex product, need extra self innovation activities even the government supports them. For improving the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 SMEs in CT industry, it is effective when conducting cooperative research. These findings give us the implication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different factors by industrial and enterprise characteristic when planning the public policy and government tasks.

생물공정의 측정 및 새로운 공정변수의 개발

  • Heo, Wo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4a
    • /
    • pp.51-52
    • /
    • 2000
  • 생물공정의 운전에 있어서 적절한 공정변수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것은 멸균과정을 견딜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센서가 부족하기 때문이다[1]. 생물공정에 주로 사용되는 센서로서는 온도, pH, D.O., rpm, viscosoty 등이 있으나 이 센서들은 배양액의 물리적 혹은 화학적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 미생물의 대사활동과 관련이 있는 공정 변수로는 배출가스의 성분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는 Oxygen uptake rate, Carbon dioxide evolution rate 및 Respiratory quotient가 있으며 현재 생물공정의 운전에 사용되고 있다[3]. 그러나 반복적인 센서의 보정과 연결관의 잦은 청소 및 보수를 필요로 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고있는 실정이다. 자동화된 습식분석장치, Gas chromatograph, High Performace Liquid Chromatograph 혹은 Mass spectrophtometry 등을 온라인 샘플 처리장치와 연결하여 발효조의 배양액의 성분을 온라인으로 분석하고 공정의 운전에 응용하는 사례가 많이 발표되었다[4-6]. 고가의 장비 및 운전의 번거러움이나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하므로 역시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온라인 센서 및 바이오 센서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역시 그 사용범위는 특수한 영역에 한정되어있다. 이와 같이 새로운 센서를 개발하여 공정변수를 측정하려는 시도중의 하나가 소프트웨어 센서의 개발이다. 이 것은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1차 공정변수를 이용하여 배양액의 상태 혹은 2차적인 공정 변수를 추측해내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기존의 공정 변수를 사용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 않고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므로 센서의 보정과 설치 및 유지관리의 노력이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공정에서 자동제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공정상의 제어 신호로부터 새로운 공정 변수를 얻어내고자 시도하였다. 대부분의 생물공정에서는 pH의 자동제어가 필수적인데 자동제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pH 제어 신호 및 pH의 변화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배지의 완충용량의 변화와 알칼리의 소비속도를 온라인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여기에 인공지능망을 설계하여 균체의 량을 온라인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7].산업용 발효조의 운전 온도는 주로 냉각수의 단속적인 공급에 의하여 항상 일정하게 조절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냉각량을 측정하면 미생물의 배양시 발생하는 대사열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의 발효조를 냉각수의 단속적인 공급에 의하여 자동온도 조절이 되도록 개조하고 여기에 냉각수의 유출입 지점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각수의 공급량과 대기의 온도 등을 측정하여 대사열의 발생을 추정할 수 있었다.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유가배양시 기질을 공급하는 공정변수로 사용하였다 [8]. 생물학적인 폐수처리장치인 활성 슬러지법에서 미생물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아직 그다지 개발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의 주 구성원이 미생물인 점에 착안하여 침전시 슬러지층과 상등액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대사열량의 발생량을 측정하고 슬러지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