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발기본계획

Search Result 91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원전연료 성형가공 국산화

  • 조희봉
    • 전기의세계
    • /
    • v.46 no.7
    • /
    • pp.43-44
    • /
    • 1997
  • 우리나라는 원전연료로 사용되는 우라늄의 부존량이 매우 적을 뿐 아니라 품위가 낮아 경제성이 없으므로 정광을 외국에서 도입할 수 밖에 없으며, 원전연료 제조과정중 가장 중요한 단계인 농축 또한 핵무기 비확산에 관한 조약 등 국내외의 정치적 여건상 기술자립에 제약을 받고 있어 외국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내 기술자립에 제약을 받지 않는 성형가공 부문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한편 해외의 우라늄광산 개발참여 등을 통해 원전연료의 안정적 확보에 힘쓰고 있다. 정부는 '79년 9월 원전연료 국산화 사업추진을 결정하였으며, '80년 12월에는 세부추진계획을 확정하였는데 그 기본방침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수로연료는 외국과의 합작투자 방식으로 국산화하며, 둘째, 중수로 연료는 자체기술개발에 의해 국산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 PDF

해상에서의 폐기물처리 기술

  • 김석준;심성훈;길상인;윤진한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4
    • /
    • pp.43-51
    • /
    • 1996
  • 해상 소각 시스템 개발 연구를 위해서 System interfacing기술, System구성물 안전, Scale up기술 등의 개발이 현재 진행되고 있으며 우수한 환경공해 방지기술의 접목을 계획하고 있다. 후처리 설비는 2차오염을 야기시키는 폐수가 발생되는 설비의 선정은 근원적으로 배제하며 주변 주민들의 신뢰도 회복을 위해 배출허용기준은 엄격히 적용한다. 또한 회출설비는 소각잔재를 응용하며 고형화 함으로써 2차오염을 방지하고 재활용 자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자 한다. 현재 시스템의 타당성 및 기본구성 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및 기술선진국의 사례조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이 어느정도 완료되면 구성시스템의 세부설계가 진행될 예정이다.

  • PDF

A GIS-Based Method for Route-Alignment i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Projects (GIS를 활용한 교통시설사업의 노선선정 방법 연구)

  • 양광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1
    • /
    • pp.117-130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 GIS-based method of spatial analysis that can be applied to the line determination in traffic infrastructure project . It is based on the spatial analysis of the sensitivity or suitability of areas relating to the integration of new infrastructure routes, carefully considering the requirement of intervention optimizing . It makes the comparison of alternatives and a final selection of a"best route " easier, offers new possibilities and simplifies and accelerates the whole process of line determination. The developed method for route-alignment is tried out by an example project for road planing in Germany. It point out that during the line determination all aspects can be equivalently and adequately evaluated. So this method is well suited as a new tool within a line determination procedure and can bring enormous advantages in the planning process of traffic infrastructure projects. projects.

  • PDF

River Discharge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Nakdong-River Basin in 2006 (2006년 낙동강 유량측정 및 유출특성 분석)

  • Lee, Ki-Sung;Kim, Ji-Chan;Song, In-Ryeol;Kim, Hyoung-Seop;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08-1813
    • /
    • 2007
  • 하천유량은 수자원계획, 댐개발, 용수공급, 하천수질관리 등에 필요한 수자원 기본자료로서 정확도에 따라 국가 수자원계획이 좌우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7개 지점에 대한 2006년의 수문관측 자료 및 유량측정성과를 이용하여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2006년도 낙동강 유역의 유량측정 지점 중 낙동강 본류에 해당하는 7개 지점에 대한 현장 유량측정 수행결과와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수리특성 분석, 불확실도 분석 및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량에 대한 상 하류 유출 검토, 댐방류량과의 비교, 연유출률 검토, 주요 호우사상별 직접 유출률 검토, 평 저수시 동시유량 검토 등을 통하여 각 지점의 최종 유량을 확정하였다. 산정된 유출률은 대체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부분적으로 계기수위가 불안정했던 지점들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들의 유출률은 그 지점들의 특성을 감안할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범위 내의 유출특성을 보였다. 2005년도 유출률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올해 장기간 집중된 강우 특성을 고려한다면 적절한 유출범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전문인력에 의한 현장 측정과 일상적인 검증과정을 통해서 정밀한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한다면, 보다 신뢰성있는 유량자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며, 효과적인 치수 및 이수계획의 수립 등 수자원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pace and Environmental Planning Toward Extended Application of LID in Korea (저영향 개발(LID) 확대 적용을 위한 공간·환경 계획 관련 법·제도 평가 및 개선방향)

  • Son, Cheol Hee;Baek, Jong In;Ban, Yong U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4 no.4
    • /
    • pp.49-60
    • /
    • 2018
  • To restore urban water cycle, it is necessary to improve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LID(Low Impact Development), which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foreign countries. Thus, this study has intended to evaluate domestic legal systems related to space and environmental planning and to suggest directions to improv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pace and environmental planning toward extended application of LID in Korea.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has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tatus of the foreign countries where LID has currently been applied, to derive the factors that laws and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support LI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o evaluate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pace and environmental planning, and to suggest directions to improve the laws and regulations. After the evaluation,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and basic principles of LID and LID planning and associated methods were no longer mirrored in the space plannin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However, these problems are not confined to LID, and result from thefailurein applying environmental planning to space planning overall.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al plannin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defined the terminologies and targets of LID and suggested different measures to improve LID-related polici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backgrounds ofenforcing thelaws and regulations and on environmental properties. Finally,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directions to improv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pace and environmental planning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nact a law to support the extended application of LID. Second, the law to be enacted should be connected to laws, enforcement ordinances and regulations, and guidelines related to space planning. Third, environmental benefits provided by both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techniques of LID should be quantitatively measured.

A Study on Pollutant Loading Estimation in Seonakdong Basin (서낙동강 유역에서의 오염부하량 산정기법 연구)

  • Kim, Young-Do;Hwang, Jin-Young;Kwo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98-1101
    • /
    • 2006
  • 최근 3대강특별법에 의하여 시행되고 있는 환경부의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해 서낙동강 유역인 낙본N 단위유역에 대한 해당 지자체의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이 수립된 바 있다. 낙본N 단위유역은 서낙동강을 중심으로 좌측의 대부분이 경상남도 김해시이고, 우측과 하류부는 부산광역시 강서구이다. 서낙동강은 평상시에는 주요 농업용수 공급원과 철새도래지로서 홍수시에는 거대한 유수지 역할을 하고 있다. 서낙동강 유역내에는 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농업 및 축산활동, 내수면 양식어업, 오염원 배출공장 등의 점, 비점오염원이 있으며 대저수문과 녹산수문에 의해 조절되는 정체수역으로서 오염부하강도가 높은 유입지천들로 인하여 상습적인 녹조 발생수역으로 수질개선의 필요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 유역으로 낙본N유역의 소유역 중 배출부하량이 가장 큰 지류에 해당하는 조만강 유역인 낙본N06 소유역의 오염원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산정기법을 검토하였다. 장래 오염부하량 예측은 자연증가, 개발계획, 삭감계획에 의해 산정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과거 오염원조사, 부하량산정, 폐수 배출부하량 모니터링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이 따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오염부하량산정 과정에서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오염원 자료의 증감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결과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방대한 오염원자료를 이용한 오염부하량 산정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에서 개발한 데이터베이스관리 프로그램(Access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각 오염원별 오염원 현황 및 전망 결과와 환경부의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서 제시한 각 오염원별 오.폐수발생원단위, 배출원단위, 전환계수, 배출계수 등을 이용하여 각 오염원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원 조사나 장래 오염원 예측에서 있을 수 있는 오차에 대한 전체 배출부하량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방대한 양의 오염원 조사시에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할당부하량을 개별 오염원별로 할당하고 적정한 개발계획과 실현가능한 삭감계획 및 이행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오염원조사를 수행함에 있어 기초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오염부하량 산정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K-WEAP in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국가 수자원 계획의 수립을 위한 K-WEAP의 적용)

  • Choi, Si-Jung;Seo, Jae-Seung;Kang, Seong-Gyu;Moon, Jang-Wo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28-932
    • /
    • 2006
  • 지금까지의 수자원계획평가는 유역별 권역별로 이루어져 왔다. 다시 말해 지역적인 수자원계획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한 지역의 수자원계획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물이용 순환시스템을 분석해야 하며, 이를 통해 유역의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환구조 및 현황 문제점 파악, 시스템 개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종합적으로 물순환 및 물이용에 대해 제시된 연구결과는 거의 없으며, 각 순환요소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가 수행된 경우가 있다. 도시용수의 순환시스템의 경우 전체적인 순환시스템에 대한 연구보다는 주거형태에 따른 회귀율의 산정과 같은 특정 분야에 대한 연구결과가 제시된 경우가 있으며, 농업용수에 대해서도 회귀율의 추정과 같은 연구가 제시되어 있는 정도로 관련 연구의 수행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산 지역의 물이용 순환시스템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기 수립된 서산 지역의 장래 계획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에 대한 대책 및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며 장래에 일어날 수 있는 수량 및 수질 변화에 대한 상황들을 시나리오로 개발하여 분석함으로써 장래에 대한 수량, 수질을 연계한 수자원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서산 지역의 대표적인 수원인 보령댐의 댐운영 및 가뭄 모니터링에 이용할 수 있도록 보령댐에 대한 가뭄지수(물공급능력지수, 표준물공급능력지수)를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On Study of Rural Regional Development Planning by using GIS (GIS를 활용한 농촌지역개발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 Kim, Sang-Bum;Rhee, Sang-Young;Kim, Eun-Ja;Kim, Y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6-96
    • /
    • 2009
  • 최근 이상적인 계획안 수립을 위한 주요 요건은 대상지역의 물리적 비물리적 현황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검토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차별화된 계획 혹은 아이디어는 지역이 지닌 특성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현재 상황에 대한 철저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안은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해당 지역의 구성원이자 대표적인 이해당사자인 거주민들은 해당지역의 주요 속성정보 제공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기존 계획수립과정에서 활용되어 왔던 자료는 주로 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이러한 공공데이터의 활용은 최신정보의 제공 및 디테일한 지역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데 일정부분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GIS 기법과 양방향 인터넷 등 다양한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주민참여형 계획수립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GIS를 활용한 해외사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도출된 지역분석기법을 예산군에 적용함으로서 향후 주민참여형 지역기본 계획수립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Signalling Network Planning System : SINEPS (공통선 신호망 설계시스템의 개발)

  • 신동원;김현준;윤문길;이영희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7 no.2
    • /
    • pp.77-89
    • /
    • 1990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결합으로 기존의 공중전기통신망(PSIN) 과 비음성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 줄 수 있는 종합정보통신망(ISDN)으로 진화되고 있다. CCITT에서는 ISDN의 기본신호방식으로 No.7 신호방식을 권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미 2000년대 통신망의 기본 신호방식으로 No.7 신호방식을 채택하기로 확정하였다. No.7 신호방식에 따른 공통선 신호망이 구성되면 기존의 통신망은 ISDN으로의 진화가 가능하게 되고, 다양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능망으로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통선 신호망의 구성은 각종 뉴미디어의 출현으로 구성되는 부가가치 통신망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본고에서는 공통선신호망 구성계획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KAIST와 ETRI에서 공통으로 개발된 신호망 설계지원시스템(SINEPS)을 소개한다.

  • PDF

Possibility and Limit of a Redesign of a Path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평생직업능력개발 경로 재설계의 가능성과 한계)

  • Yun, Hyung-Gi;Lee, Hee-Su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4 no.1
    • /
    • pp.19-43
    • /
    • 2009
  • An ideology what a modern society seeks is lifelong employ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The single word which draws the attainment is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his study is designed for exploring its possibility and limit of a redesign of it, and tries to propose efficiently a redesign idea of a vocational educational path. To this end, it was analyzed by a subject for a national human resource foundation plan and a lifelong b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foundation plan. In addition to that, it was covered a structure and content analysis of main laws and regulations which are a base of policy making. An educational path could be divided into an area of formal education system, an area of workplace for labors, and an area of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nd the insights were drawn by pulling apart an operational situation of main organizations and a recurrent process of the educational path. The redesign plan of a vocational education path we did analyze to activate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 is deduced as following. Firstly, it should be re-organized with a direction towards an effective manpower training to be linked with skills and demands required by an industry. Secondly, it should be generalized for a model of recurrence between work and learning and its alternation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hirdly, it should create a cluster in the region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o that it is to form an efficient network to have a division of labor and its liaison with cooperative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