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망초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1초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염색(I) -모섬유에 대한 염색성- (Natural Dyeing using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American Fleabane (I) -Dyeing properties on wool-)

  • Shin, Youn-Sook;Arang Cho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34-1440
    • /
    • 2003
  • 개망초로부터 색소를 추출, 분말화하여 FT-IR 분석을 행하고, 모섬유에 대한 염색조건과 매염이 염착량(K/S값) 및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염색한 시료의 견뢰도를 측정하여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망초 색소는 모섬유에 높은 친화력을 보였으며, Langmuir형의 등온흡착곡선을 보여 염착이 주로 이온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착략이 pH 3.0에서 최대가 되었으나 강한 산성조건은 강도 저하를 비롯한 섬유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pH를 조절하지 않고 염색하였다. 피염물의 색상은 모두 Y 계열을 나타내었다. 철매염 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 매염처리가 염착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매염제 종류를 달리하여 염색한 모섬유의 색상은 크롬과 주석으로 매염한 경우 YR 계열을 나타내고 그 밖의 매염제에 의해서는 Y 계열의 색상을 나타내어 큰 변화는 없었다. 매염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견뢰도는 매우 양호하였으며 매염처리가 견뢰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제2보) -면섬유에 대한 염색성- (Natural Dyeing using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American Fleabane (Part II) - Dyeing properties on cotton -)

  • 신윤숙;조아랑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625-1631
    • /
    • 2004
  • 개망초로부터 추출한 색소의 면 섬유에 대한 염색성을 조사하였다. 염색조건과 매염처리가 염착량(K/S값)및 CIELAB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염색한 시료의 견뢰도를 측정하여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망초 색소의 면 섬유에 대한 친화력은 높지 않았으며, Freundlich형의 등온흡착곡선을 보여 염착이 주로 수소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 또는 후매염처리 방법보다는 전매염처리 방법이 염차량 증진에 더 효과적이었으나, 주석매염제를 제외하고 매염제에 의한 염착량 증진효과는 크지 않았다. 매염처리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는 Y계열의 색상을 나타내어 큰 변화는 없었다. 모든 시료의 세탁견뢰도는 낮았으며 , 땀 및 마찰견뢰도는 매우 양호하였으며 매염 처리가 견뢰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의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Erigeron annuus (L.) Pers. Ethanol Extract on Melanoma Cell (B16F10))

  • 주다혜;유단희;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48-157
    • /
    • 2019
  • 개망초의 항산화능 측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500{\mu}g/ml$에서 82%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500{\mu}g/ml$에서 87%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결과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이 $100{\mu}g/ml$에서 69%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100{\mu}g/ml$에서 32.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개망초 추출물에 대한 수렴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0{\mu}g/ml$에서 80%이상의 우수한 수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농도 구간이 $100{\mu}g/ml$ 일 때 96%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따라서 관련 실험을 세포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mu}g/ml$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에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MITF, TRP-2의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RP-1과 tyrosinase 발현양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위 단계 유전자인 ERK와 CREB의 발현양은 미비했으나, 인산화된 ERK와 인산화된 CREB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25, 50, $100{\mu}g/ml$의 농도 별로 처리하였으며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및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그 하위 유전자 및 상위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국화과에 속하는 신귀화식물 개망초를 기능성 천연 미백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염생식물로부터 Peroxynitrite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Screening of Peroxynitrite and DPPH Rao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Salt Marsh Plants)

  • 서영완;이희정;김유아;안종웅;이범종;문성기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57-6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유용한 선도 물질을 찾기 위한 일환으로 20종의 염생식물의 추출물에 대해 peroxynitrite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해당화 (Rosa rugosa), 개망초 (Erigeron annus), 냇씀바귀(Ixeris tamagawaensis), 띠 (Imperata cylindrica), 범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의 MeOH 추출물에서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해당화(Rosa rugosa), 개망초 (Erigeron annus), 칠면초 (Suaeda japonica), 냇씀바귀 (Ixeris tamagawaensis), 띠 (Imperata cylindrica), 갯방풍 (Glehnia littoralis), 함초(Salicornia herbacea), 해국 (Aster spathulifolius), 범행초 (Tetragonia tetragonoides)의 MeOH 추출물과 CH$_2$Cl$_2$ 추출물에서 각각 peroxynitrite의 소거효과가 관찰되었다. 그 중에서도 해당화 MeOH 추출물의 DPPH 래디칼 소거효과는 100 $\mu\textrm{g}$/$m\ell$ (f.c.) 농도에서 87.51%로 나타났고, peroxynitrite 소거효과는 5 $\mu\textrm{g}$/$m\ell$ 농도에서 표품의 ONOO를 첨가했을 때 97.03%와 SIN-1을 첨가했을 때 98.48%로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화의 peroxynitrite의 효과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penicillamine보다도 우수하며, L-ascorbic acid와 비슷한 효과였다.

논둑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in paddy levee)

  • 오영주;손수인;김창석;김병우;강병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3-420
    • /
    • 2008
  • 논둑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구조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59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urich-Montpellier 학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논둑 식생조사 결과3군단, 3군집, 3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쑥-수크령군단(바랭이-돌피군집, 쑥-개망초군락, 띠군락, 한삼덩굴-돌콩군락), 참억새-새군단(억새군집), 미국가막사리-개기장군단(고마리군집). DCA분석에서 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쑥-개망초군락과 띠군락은 토양 경도와 양의 상관관계, 습한 논둑에 서식하는 고마리군집과 서식폭이 넓은 억새군집은 전질소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XIII. 개망초(Erigeron annuus L.) 꽃으로부터 triterpenoid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III. Isolation of Triterpenoids from the Flower of Erigeron annuus L.-)

  • 김동현;정성제;방명호;정인식;김성훈;권병목;김대근;박미현;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422-425
    • /
    • 2004
  • 개망초의 꽃을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 및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로 정제하여 3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alpha}-amyrenone(1),\;{\alpha}-amyrin(2)$${\beta}-amyrin(3)$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3종의 triterpenoid는 개망초에서는 처음 분리되었다.

계룡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 김용식;임동옥;전승훈;추갑철;신현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11-323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결과 111과 346속 509종 69변종 10품종 1교잡종 총 589종으로 밝혀졌다. 대상지역은 식물구계지리학적으로 한반도 온대중부지역에 속하나 굴피나무, 감태나무, 사람주나무, 나도밤나무, 자귀나무, 대팻집나무, 비목나무, 정금나무 등 온대남부계 수종이 많은 서식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대상지역의 특징적인 식물군락이나 희소적 가치가 있는 식물종은 동학사 주변의 느티나무군락과 삼볼봉 등산로 주변의 구실사리, 바위손군락와 정상부 능선에 서식하고 있는 피나무 등으로 이들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심과 보전이 필요하다. 이번 조사에서 미국자리공, 개망초 등이 등산로 주변으로 다수 출현하고 있으므로 귀화식물종에 대한 모니터링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RAW264.7 대식세포에서 Heme Oxygenase-1의 유도에 의한 개망초 (Erigeron annuus L.) 꽃 Methanol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rigeron annuus L. Flower Extract through Heme Oxygenase-1 In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 성미선;김영화;최용민;함현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07-15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LPS에 의해 활성화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 및 iNOS와 HO-1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여 개망초(Erigeron annuus L.) 꽃(EAF) methanol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한 결과 NO의 함량이 11.48 ${\mu}m$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EAF methanol 추출물(25, 50, 100, 200 ${\mu}g$/mL)을 처리하였을 때 NO의 함량이 12.82, 9.61, 6.83, 2.52 ${\mu}m$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EAF methanol 추출물은 NO의 생성에 관여하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HO-1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EAF methanol 추출물에 의한 HO-1 발현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HO-1의 inhibitor인 ZnPP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ZnPP를 처리하여 HO-1의 발현을 저해하였을 때 추출물에 의해 감소된 NO의 함량이 다시 증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 EAF methanol 추출물은 염증을 유발하는 중요 인자인 NO를 저해하였고, iNOS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 방어 기작에 관여하는 HO-1의 발현 등 항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원 횡성 및 제주지역 더덕밭 잡초발생양상 (Occurrence of Weed Flora in Codonopsis lanceolata Upland Fields of Gangwon-Hoengseong and Jeju Areas in Korea)

  • 송희근;김창석;이정란;서현아;최경미;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76-187
    • /
    • 2015
  • 강원 횡성 및 제주 지역의 더덕밭에 발생하는 잡초 발생상황을 파악하여 더덕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 조사하였다. 더덕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47과 207종으로 일년생잡초가 87종, 월년생잡초가 47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73종이었다. 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에서 광엽잡초는 182종, 화본과잡초는 18종, 사초과잡초는 7종이었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는 쑥, 바랭이, 닭의장풀, 개여뀌, 돌피 등이었다. 더덕밭 발생잡초 중 외래잡초가 59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하였으며, 개망초, 주홍서나물, 미국가막사리, 서양금혼초 등이 발생하였다. PCA 분석 결과, 강원 횡성 더덕밭의 잡초군락은 개망초군락, 털진득찰군락과 닭의장풀군락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주 더덕밭의 잡초군락은 주홍서나물-참방동사니군락, 들개미자리군락, 새포아풀군락과 뽀리뱅이군락으로 분석되었다.

수로와 강변의 습지에 발생한 수생잡초의 분포 및 방제 현황 (Distribution and Control of Aquatic Weeds in Waterways and Riparian Wetlands)

  • 변종영;김상우;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9
    • /
    • 2015
  • 수로, 하천, 호수, 강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생잡초는 왕성한 생장으로 관개, 배수에서 유속 감소, 수생 생태계에 영향 등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수생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로, 하천, 강 주변 습지와 수중에서 발생하는 수생잡초와 침입식물의 분포 및 방제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수생잡초의 효과적인 관리대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수로, 저수지, 호수 주변의 수생잡초는 갈대, 나도겨풀, 줄, 망초, 개망초, 소리쟁이, 개기장, 미국가막사리, 부들, 주요 강변의 습지에서는 바랭이, 갈대, 소리쟁이, 쑥, 환삼덩굴, 피, 미국가막사리, 고마리가 우점하였다. 수로 및 호수에서 발생한 침수잡초는 검정말, 나자스말, 대가래, 말즘, 붕어마름, 생이가래, 마름이 우점하였다. 습지에서 외래잡초는 토끼풀, 달맞이꽃, 개망초, 망초, 미국가막사리, 메귀리, 돼지풀, 도꼬마리, 미국개기장, 소리쟁이가 우점하였다. 수생잡초 방제는 기계적, 화학적, 생물적 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습지에서 수생잡초와 외래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수생잡초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기계적, 화학적 방제를 포함한 종합잡초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