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량폭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1초

한약재 보관을 위한 오존 램프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Ozone Lamp for Preservation of Oriental Herbal Medicine)

  • 우성훈;이상근;이광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2205-2207
    • /
    • 2005
  • 국민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생약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어가고 있으며 건강생활 추구와 함께 장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한약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해마다 새로운 생약이 발굴되면서 이제 한약에 대한 임상응용이 그 폭을 넓혀가고 있으며, 한방의학적 치료에 접근하는 추세가 강하게 일고 있기 때문에, 한약에 대한 적극적인 사고방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한약재의 우수한 품질을 보존, 개량하고, 품종을 유지하고 또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재배법이 개선되고, 병충해의 예방으로부터 품질을 유지시키는 일련의 사항들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약 보관을 위한 기초연구 단계로서, 우선 오존 램프를 제작하여, 방전 및 오존생성 특성 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늦서리 피해 뽕나무 품종별 회복정도 (Recovery of Several Mulberry Varieties from Late Frost Damage)

  • 김종한;김동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3-117
    • /
    • 1990
  • 충북 청주 일원에 1990년 4월 24-27일, 4일간에 걸쳐 조상최저온도가 -5.7--8.2$^{\circ}C$로 급강하하여 연구 및 개엽상태에 있는 뽕나무에 심한 늦서리 피해를 주었다. 본 조사에서는 품종별로 피해와 회복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량뽕, 청일뽕, 잠상 21호 및 22호 등 4개 품종에 대하여 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예년의 기상과 비교해 보면, 4월 하순은 기온이, 5월 상하순에는 일조가, 5월 하순에는 기온 및 강우량이, 6월 상순에는 다시 강우량이 모두 떨어져 4월하순부터 6월상순까지 계속 뽕나무의 회복에 불량한 환경을 보였다. 2. 서리가 내린 당시 잠상 21호는 2-3개엽으로 가장 빨랐으며, 개량뽕과 잠상 22호는 1-2개엽, 청일뽕은 연구-1개엽으로 가장 늦었다. 3. 서리가 내린 15일 후인 5월 12일 1개엽을 보여서, 예년보다 19일 늦었으며, 이런 차는 수확때인 6개엽까지 계속되었다. 4. 신소장은 전년대비 50-58%였으며, 개량뽕은 가장 낮아서 50%였고, 잠상21호는 58%로 가장 높았다. 5. 엽수는 전년대비 52-67%였으며, 개량뽕은 가장 낮아서 52%였고 잠상 21호는 67%로 가장 높았으며, 앞의 길이와 폭은 전년대비 80%내외였으며, 품종간의 차이는 5%이내였다. 6. 신소량은 전년대비 44-63%, 정엽량은 39-61%이었으며, 개량뽕이 가장 낮은 품종이었고 잠상 21호가 가장 높은 품종이었다. 청일뽕은 개량뽕과 비슷하였고, 잠상 22호는 21호와 비슷하였다. 7. 조상량에 대한 신초엽량 비는 예년의 75%에서 55-61%로 떨어졌고, 신소엽량에 대한 정엽량은 예년의 72-76%로 5-10%로 떨어졌다. 8. 수엽량은 전년 대비 잠상 22호가 57%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고 개량뽕 61%, 잠상 21호 64%, 청일뽕 72%이었고, 절대수량은 개량뽕이 827kg/10a으로 가장 적었으며, 다른 품종은 1,000-1,050kg/10a 정도였다.

  • PDF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및 치아모형 연구 (A cephalometric and dental cast study of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정미라;남기영;김종배;권오원;황상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8-236
    • /
    • 2006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란 수면도중 주기적으로 호흡이 멈추는 증상을 말한다. 상악과 하악이 후퇴되어 있거나 하악이 작으며 수평적으로 기도 폭경이 좁고 혀가 후방에 위치하는 등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전후방적인 악골 및 연조직 특성에 대한 평가는 많았으나 치열 및 악궁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골격적 특징과 악궁의 폭경과 구개깊이와 수면무호흡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수면클리닉에 수면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수면다원검사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치아모형이 갖추어진 38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모형과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수면무호흡지수와 체질량지수를 비교하였다. 수면무호흡지수와 악궁의 횡폭경, 구개깊이, 수직피개량 및 수평피개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수면무호흡군에서 상기도 폭경은 좁고, 하기도 폭경은 넓은 경향이 있었다. 수면무호흡지수와 상기도 폭경은 미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하기도 폭경은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수면무호흡지수가 클수록 하악 하연으로터 설골까지의 거리도 멀었다.

무도상 철도교 레일 장대화를 위한 궤도-교량 상호작용 해석 및 개량방안 분석 (Analysis of Track-Bridge Interaction and Retrofit Design for Installation of CWR on Non-ballasted Railway Bridge)

  • 윤재찬;이창진;장승엽;최상현;박성현;정혁상
    •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83-39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경간이 긴 트러스교를 포함한 무도상 교량을 대상으로 장대레일을 부설할 때 궤도-교량 상호작용으로 인한 레일 부가 축응력과 교량 지점 반력 등의 변화를 검토하여 레일 장대화를 위한 개량 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무도상 교량에서 장대레일을 부설할 경우 레일 부가 축응력과 지점 반력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일 부가 축응력은 횡저항력을 충분히 확보할 경우 수용 가능하지만, 지점 반력이 증가하게 될 경우 받침이나 교각의 손상이 우려되고 대규모 보수 보강을 필요로 하므로 지점 반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교량 가동단의 마찰저항을 고려하는 경우 레일 부가 축응력은 감소하지만 지점 반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궤도 종저항력이 작아지면 레일 부가 축응력과 지점 반력이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일 부가 축응력이 큰 일부 구간에 ZLR 체결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레일 부가 축응력 뿐 아니라 교량 지점 반력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도상 교량의 레일 장대화를 위하여 일부 ZLR 체결장치를 적용하고 궤도 종저항력을 줄이는 방안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韓半島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의 稔性 및 재배학적 특성 (The Fertility and Som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Morus tiliaefolia Makino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12
    • /
    • 2002
  • 한반도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의 임성과 재배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종자형성률은 46∼80%이며 종자의 발아율은 19∼28%에 불과하다 2. 개화최성기(1994년)는 4월 28일∼5월 3일로서 산뽕나무보다는 늦고 개량뽕보다 빠르다 3. 춘기 동아의 탈포기는 4월 21일∼24일로서 산뽕나무와 개량뽕보다 늦다. 4. 잎은 대형으로 엽형지수 1.05의 폭광성을 나타내며 잎두께는 산뽕나무보다 두껍다. 5.성숙엽의 화학성분은 가용성 무질소물과 조회분이 많고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가 적다. 6. 낮추베기때의 자세는 대부분 전개성이며 가지는 조장형이고 절간장이 길다 7. 추위견딜성과 뽕나무 동고병에 약하다.

들깨류사 종.속 수집 유전자원의 잎품질 및 지방산 조성 (Leaf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ollected Perilla Related Genus and Species Germplasm)

  • 곽태순;이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8-333
    • /
    • 1995
  • 들깨관련 종·속 수집 유전자원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자소(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축면자소(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Decaisne), 청자소(Perilla frutescens var. Kudo for viridis Makino), 들깨풀(Mosla punctulata Nakai), 산들깨(Mosla japonica Maxim) 및 쥐깨풀(Mosla dianthera Maxim)에 대한 잎품질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집한 들깨관련 종·속 가운데 Perilla속 유전자원이 Mosla속 유전자원보다 주경엽수가 많았고 길이에서 3배 정도, 폭에서 약 5배 정도 컸었다. 2. 들깨관련 종·속 모든 수집 유전자원이 들깨보다 방향성 정도가 높아 방향성 개량육종의 교배재료로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3. 잎의 유연성 면에서는 Perilla속 유전자원이 Mosla 속 유전자원보다 부드러웠다. 4. 종실성분함양에서 들깨에 비하여 들깨관련 수집 종·속의 기름과 단백질함량이 낮았으나 리놀렌산 함량이 높아서 공업용 또는 의약용을 위한 고리놀렌산 들깨품종개량의 교배재료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5. 수집 Perilla속 유전자원의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과 기름함량, 단백질함량 그리고 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한복개량에 대한 사적 고찰 (A Historical Research on Improved Change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 구미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23-131
    • /
    • 1998
  • 개화기 이후 서양복이 도입되면서 한복에 일어난 변화를 1920년대 이후 조선일보의 마이크로필름과 1950년대 이후의 의상 잡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복 개량의 시기는 변화 내용의 질적, 양적 특성에 따라 해방이전의 소극적 변화기와 해방 이후의 적극적 변화기로 크게 대별하여 분석하였다. 소극적 변화기는 기본적인 한복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나 기존 한복의 길이, 폭과 치마허리에서 약간의 변화가 나타났던 시기이며 적극적 변화기는 한복의 구조에서 벗어나 그 이전시기에 비해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적극적 변화기는 변화특성에 따라 다시 해방이후로부터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두 시기로 분류하였다. 1950년대에는 서양복의 다트의 개념이 한복에 도입되었으나 아직은 한복의 구조에서 서양복의요소를 가미하는 정도로만 변화가 있었다. 그런데 1960년대에는 서양복착용이 보편화 되면서 서양복에 한복의 특징적인 요소를 반영하는 것으로 완전히 뒤바뀌었다. 서양복이 점차 일상복으로 자리잡게 되자 한복은 1950년대말경부터 예복으로 착용하게 되었다.

  • PDF

토양개량제를 장기연용한 논토양에서 구리와 아연의 분획화 및 유효도 (Fractionation and Availability of Cu and Zn in Paddy Soils Following a Long-Term Applications of Soil Amendments)

  • 정구복;이종식;김원일;연병렬;유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7-113
    • /
    • 1998
  • 퇴비, 석회, 규산 등 개량제 장기연용이 논 토양 및 현미중 중금속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토양중 Cu 및 Zn의 연속침출($H_2O$, $KNO_3$, NaOH, $Na_2{^-}$, EDTA, $HNO_3$)을 수행하고 현미중 함량 및 토양의 화학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비, 석회, 규산 등을 장기연용한 토양의 Cu및 Zn에 대한 연속침출 결과 주된 형태는 각각 NaOH 침출성(유기태) 및 $HNO_3$ 침출성(황화물 및 잔류태)이였으며, 퇴비 장기연용으로 NaOH 침출성 및 EDTA 침출성(탄산염태) Cu함량은 증가하였고, 특히 Zn함량은 3요소 단용구보다 모든 형태에서 증가하였는데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적은 $KNO_3$ 침출성(치환태) Zn의 분포비율은 감소하였다. 개량제의 병용으로 $KNO_3$침출성 Zn함량 및 분포는 감소하였고 Cu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NaOH 침출성 Cu함량은 유기물과 정의 상관을 보였고. 특히 Zn의 경우 모든 형태에서 유기물 및 치환성 K함량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토양의 O.M, CEC 및 양이온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현미중 Cu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토양중 Cu 및 Zn의 모든 형태별함량과는 일정한 관련성이 없었다.

  • PDF

해상 연약지반의 저치환율 개량에 대한 확률론적 최적화 (Probabilistic Optimization for Improving Soft Marine Ground using a Low Replacement Ratio)

  • 한상현;김홍연;여규권
    • 지질공학
    • /
    • 제26권4호
    • /
    • pp.485-49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방파제 하부지반을 저치환율 재료로 보강 및 개량하기 위한 치환율과 재하중 방치기간을 확률론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석에 필요한 확률변수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전자료를 활용한 베이지안 갱신결과 최대 39.8% 포인트까지 불확실성이 감소하였고, 특히 사전함수의 표본수가 더 많은 구간의 감소폭이 컸다. 치환율 결정을 위하여 저치환율 단면 중 15~40% 범위에서 일계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해 해석한 결과 목표파괴확률을 만족하는 치환율은 심층고결처리 및 쇄석다짐말뚝 구간에서 각각 20% 및 25% 이상으로 나타났다. 치환율에 대한 최적화를 위하여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목표파괴확률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최적 치환율이 산정되었으며, 두 구간에서 각각 20% 및 30%가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재하중의 방치기간에 대한 확률론적 해석결과 3개월 이상인 경우 모두 목표파괴확률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피 Hormone의 누에 숙화 촉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ccelerative Function for the Silkworm Maturation with Ecdysis Hormone)

  • 김윤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5-139
    • /
    • 1971
  • 1. Ecdysterone의 숙화 촉진작용은 5령 성식기이후에 유효하다. 2. Ecdysterone은 누에의 숙화를 촉진하고 또 초숙잠과 종숙잠간의 시차폭을 축소시킨다. 3. Ecdysterone의 숙화 촉진작용은 Ecdysterone의 식하량과 비례한다. 4. Dodecyl alcohol 주제의 DAT는 등족작용을 촉진한다. 5. Ecdysterone과 Dodecyl alcohol의 병용은 숙화와 등족을 촉진하여 자연상족을 가능케 하며 상족기술 개량에 공헌할 줄 믿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