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량처리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3초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주물의 공정조직 개량처리에 미치는 희토류 금속의 역할에 관한 평가 (An Assessment of the Role of Rare Earth in the Eutetic Modification of Cast Aluminum-Silicon Alloys)

  • 예병준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4-115
    • /
    • 1986
  • I A쪽과 II A쪽이 Al-Si 합금의 공정조직개량 처리에 효과적인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Na(Sodium)과 Sr(Strontium)만 상업적으로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휘발성과 산화하기 쉬운점때문에 Na 은 그 양을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어렵고 특히 온도가 높은 경우 더욱 곤란하나 Sr 은 휘발성이나 산화성은 없으나 micro-또한 macro-porocity의 주 원인으로 보고 되고 있다. 희토류 금속 (예 : Cerium, Lanthanum,etc )도 개량처리 효과가 있다는 논문들(ref. 2, 3, 4, 5) 이 있고, 계속 연구되어 오고 있으나 그 세부사항과 효율성에 관해 정립된 바가 없다. 이런 연유로 Al-Si 합금의 생산을 위한 개량 처리제로서의 희토류 금속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개량처리기구의 구명을 위해 이 연구가 이루어졌다. Al-Si 합금 356가 채택된 이유는 상업적 Al 주물의 생산을 감안해서 였다.

  • PDF

진열중 조도 처리에 따른 재래종 돈육과 개량종 돈육의 지방산화 및 육색 안정성 비교 (Lipid Oxidation and Color Stability of Korean Native Black Pork and Modern Genotype Pork under Light-Exposure during Refrigerated Display)

  • 강선문;이성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0-407
    • /
    • 2007
  • 본 연구는 진열중 조도 처리에 따른 재래종 돈육과 개량종 돈육의 지방산화 및 육색 안정성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출하체중 66 kg의 재래종 돼지(거세돈) 5두와 112 kg인 개량종 돼지($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거세돈) 5두를 도축하여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1^{\circ}C$에서 5일 동안 숙성한 다음 $4^{\circ}C$의 암실 및 3,000 lux에 7일 동안 진열하였다.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높은 지방 함량을 가진 반면(p<0.05), 개량종보다 낮은 $C_{14:0},\;C_{18:3},\;C_{20:5}$ 함량을 가졌다(p<0.05). pH는 진열기간 동안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낮았으며(p<0.05), 조도 처리시 두 돈육의 PH가 빨리 증가하였다. TBARS는 재래종이 진열기간 동안 개량종보다 빨리 촉진되었으며, 조도 처리시 더 빨리 증가하였다. 표면육색은 조도 처리시 두 돈육 모두 빨리 변질되었으나, 재래종의 육색이 개량종보다 붉고 진함을 더 오랫동안 유지하였다. 신선육의 기호도는 진열기간 동안 조도 처리에 의해 빨리 감소하였지만,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진열기간 동안 재래종 돈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우수한 색택과 신선육 기호도를 보였으나, 개량종 돈육보다 낮은 지방산화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식육을 조도 처리시 지방산화와 변색이 더 빨리 촉진되었다.

토양 개량제 처리에 따른 밤나무의 개화 및 종실 형질 특성 (Flowering and Nut Fruit Characteristics after Soil Amendment Treatments i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Orchards)

  • 김춘식;조현서;임종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567-573
    • /
    • 2012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와 산청지역 성숙한 밤나무 재배지를 대상으로 토양 개량제 처리[유기질비료 처리구: 20 kg/본; 복합비료 및 목탄 처리구: 복합비료 4 kg/본+목탄 2 kg/본; 석회비료 처리구: 3 kg/본; 혼합비료 처리구: 복합비료 1 kg/본+유기질비료 10 kg/본+목탄 1 kg/본; 대조구(무시비구)]가 밤나무 개화 및 종실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양 개량제 처리는 결과지 직경 생장을 촉진하였으나 잎, 숫꽃, 암꽃 수 등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밤나무 종실 무게는 진주지역의 혼합비료 처리구나 석회비료 처리구가 높았으나 복합비료 처리구는 가장 낮은 값을 보여 토양 개량제 종류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산청지역의 종실 무게는 토양 개량제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개량제 처리 후 토양 특성은 진주지역의 경우 토양 pH와 치환성 칼슘 함량 종실 무게와 양의 상관(r=0.91과 0.99), 유기 탄소 함량은 당도와 양의 상관(r=0.97), 마그네슘 함량은 당도와 음의 상관(r=-0.92)이 있었다. 그러나 산청지역의 경우 토양 특성과 종실 무게 및 당도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토양 개량제 처리에 따른 밤나무의 개화 및 종실 형질은 지역별 차이가 뚜렷하여 토양 특성이 열악한 진주지역은 효과가 크게 나타난 반면 산청지역은 토양 개량제 효과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전의 개량형 경보처리를 위한 실시간 능동 데이터베이스 기술 도입 분석 (The Analysis of Introduction of Real-Time Active Database Technologies for Advanced Alarm Processing of Nuclear Power Plant)

  • 장귀숙;박희윤;금종룡;김영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C)
    • /
    • pp.38-42
    • /
    • 2007
  • 최근 원전 경보시스템은 운전원이 상황을 판단하는 데 불필요한 일시적인 경보나 결과 경보를 감축 및 억제하여 운전원의 주의가 특별히 필요한 경보에 집중하도록 하는 개량형 경보처리를 필요로 한다.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원전 개량형 경보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 공정을 검사해 조건이 맞는 경우 어떤 행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경보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능동규칙의 사용으로 데이터베이스 상태 변화에 자동으로 대응하는 유용성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시간제한 개념을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이를 바탕으로 한 능동 처리 기능을 가진 실시간 시스템을 구축하여 경보감축 및 억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원전의 개량형 경보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고려 사항들을 분석하여 실시간 능동 데이터베이스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능동 규칙을 이용한 개량형 경보처리 예와 구현 고려사항을 파악한 후 개발 계획을 정립한다.

  • PDF

개량형 경보처리기술 평가

  • 이철권;허섭;장귀숙;구인수;박종균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321-326
    • /
    • 1996
  • 원자력발전소의 경보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 경보기술 및 개량형 경보기술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적용기술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경보계통의 경우 경보생성논리의 한계성으로 인해 새로운 경보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량형 경보계통에서는 새로운 경보처리 알고리즘이 수용가능하나 제어실 설계에 따른 경보표시 기기의 배치 및 운용은 특정 알고리즘의 수용이 불가하거나 수정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평가분석은 개량형 경보처리기술 선정시 고려사항과 각 기술들의 적용 한계성을 보여주므로써 후속 원전 경보계통의 개발 및 구현시 활용될 수 있다.

  • PDF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의 혼합에 따른 토양의 물리화학성 및 한지형 잔디의 생육 개선 (Improve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urfgrass Growth by Root Zone Mixture of Soil Amendment 'Profile')

  • 김영선;임혜정;함선규;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262-271
    • /
    • 2017
  •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의 처리에 의한 토양의 물리화학성 및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하였다. 토양개량제 비율별 처리구는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0%), 3% 처리구(3%), 5% 처리구(5%), 7% 처리구(7%), 그리고 10% 처리구(10%)로 설정하였다.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의 혼합비율 증가에 따라 전기전도도, 양이온치환용량, 모세관공극 및 공극은 증가하였고, 용적밀도와 수리전도도는 감소하였다. 잔디의 엽색 지수와 잔디 예지물이 7%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프로파일'의 처리량과 엽색 지수는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잔디 생육 지수별 상관관계 조사에서 양이온치환용량은 엽색 지수, 엽록소 지수 및 잔디 예지물에 대해 정의 상관성, 토양공극은 엽색 지수에 대해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은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과 토양공극을 개선하여 잔디의 품질과 생육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배밭 근접 뽕밭 뽕잎이 잠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 연구(1. 개량멀칭 재배 담배밭 부근 뽕잎이 춘잠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 (완결))

  • 이상풍;김정배;김계명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8.3-68
    • /
    • 1973
  • 개량멀칭에 의한 연초 재배로 과거 추잠기에만 피해를 주었던 것이 춘잠 까지도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개량멀칭 재배 담밭으로 부터 뽕밭을 10m, 25m, 50m, 80m, 100m(대로) 별로 처리를 설정하여 춘잠작에 미치는 영향여부를 시험한 결과 유충기간에 중독 또는 폐사잠은 발견할 수 없었으나 담배밭에 가까운 10m, 25m 처리구는 수견량이 적었고 고치층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각처리별 뽕의 발육정도가 대조보다 연초밭에 가까울수록 양호하였던 것을 감안한다면 그 피해정도는 실질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사료됨.

  • PDF

개량된 초임계수산화법에 의한 염소계유기물(PCB, 4-CDBz, PVC)의 완전분해반응

  • 이상환;박기철;박윤열;양종규;김정성;박부안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5년도 봄 학술발표회지 제14권(제1호)
    • /
    • pp.272-275
    • /
    • 2005
  • 본 실험은 염소계유해유기화합물을 처리하는 목적으로 종래의 초임계수산화법의 결점을 완전히 해결하기 위해서 도달한 것이 질산나트륨을 산화제로서 사용하는 개량된 초임계수 산화법(다단계산화법)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팀이 개발한 개량된산화법(다단계산화법)은 매우 간단하며 저렴한 염소계유기물 분해처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