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량주거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대구시 주거환경개선사업 현지개량지구의 실태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On-site Improvement Area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n Daegu)

  • 김한수;김철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43-51
    • /
    • 201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n-site improvement area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on-site and questionnaire survey in case of Daegu.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complain about delay of project completion because a long time has been passed after on-site improvement area was designated. Experts and government officials agree that a new method of development is required. Second, future development should discriminate on-site improvement area according to its level of project completion. The area should be classified into project completion areas and on-going area, and new methods, such as redevelopment, apartment-housing construction method, should be allowed. Third, for better management of on-site improvement area, laws and regulations must be ready and government's will for improvement is crucial.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문화 계획 연구 -정세권의 개량한옥 계획을 대상으로- (A Study on Planning of Korean Convergence Housing Complex's Residential Culture. -Focused on Segwon Jeong's Improved Hanok Planning-)

  • 최호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3-130
    • /
    • 2019
  •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인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에 의한 미래 주거문화 계획에 관한 기초연구수행을 목표로 한다. 향후 주거문화는 핵가족화 현상과 1인 주거민의 증가로 오늘날 아파트로 대표되는 집합 주거형태가 아닌 여러 구성원을 가진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융합 집합주거문화'로 진전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집합주거문화의 기초연구로서 오늘날 집합주거문화가 서구사회에서 수입되어 온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나라 최초의 부동산개발업자 정세권에 의해 한국형 집합주거문화가 이미 존재했음을 도시적 그리고 건축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세기 초반에 정세권이 계획한 개량한옥은 기존의 한옥의 단점을 보완하며 한옥의 표준화와 같은 한옥의 물리적인 측면의 현대화의 가치도 있지만, 한옥 내부공간의 현대화는 한국형 집합주거문화의 시초라는 관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수행한 정세권의 개량한옥 주거단지는 향후 우리사회에 필요한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 문화 계획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도서성(Insularity)과 전통성에 바탕을 둔 이상적인 도서지역 주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odeling Development of Dwelling House of Islands in the Future Based on the Insularity and the Factor of Traditional Culture)

  • 김지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12
    • /
    • 2005
  • This paper is architectural paper which has been studied about residential culture of Southwestern Island from 18C to now. It's main object is suggest a new residential type. Contents of research is 1, to survey a history and a cultural environment of island. 2. to survey and rearrange residence(traditional, modem) which has been buil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establish a history of residence and a theory. 3. to search for architectural space, shape(form), and architectural community, etc. which can be continued. 4. to suggests ideal future residence type of islands. Effectiveness of Research is 1. This study suggests a new theory and a new method to the field of residential science, especially to the residence of island area. 2. In this study, traditional theory of residence be reflected in the modern architectural design.

경주도심 노후주거지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사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sit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Downtown Area of Gyeongju)

  • 이유영;정준현;이윤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3-166
    • /
    • 2008
  • With both Gatdui and Daean areas, under construction for upgrading the old housing in Gyeongju downtown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implications of upgrading methods in a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by using a physical survey in the areas and life survey among their residents, as well as by analysing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with and requirement for housing and their preferring housing type. The upgrading patterns of residents were analysed by examining cases constructed newly in the manner of upgrading. The findings showed that it is required for both existing authorities and private parties to assume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upgrading the old housing while recently there have been continuous conflicts between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within the city and even the city identity also has been neglected by resi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ake development conditions and resident's economic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and introduce a wide range of methods for rearrangement, by turning the importance of housing upgrading to social rearrangement for the purpose of positive alternation.

  • PDF

경주도심 노후주거지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On-sit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nd Suggestions for the Downtown Area of Gyeongju)

  • 이유영;정준현;이윤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7-46
    • /
    • 2009
  • With old housing being renovated in both the Gatdui and Daean areas, of the Gyeongju downtown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various renewal approaches in a city that is rich in both history and culture. The study included a physical survey of the areas under construction as well as a questionnaire given to residents to analys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and requirements for housing and their preferring housing types. The study also analysed renewal patterns among the residents were analysed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particular renovations had been performed.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governmental authorities and private parties need to be involved and work together if such renewals are to be successful.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regular conflicts between those in favor of development and those in favor of preserv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city. At times the city identity has been neglected by residen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both development conditions and the residents' economic situations into consideration when making decisions about renewal and to consider a wide range of methods for rearranging housing patterns, with the goal of transforming housing renovation into a broader program of social rearrangem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ocial patterns in the city.

현지개량형 주거지 재생의 탄소저감 효과 분석 (A Study on Carbon Reduction Effect in On-site Improvement Type Residential Regeneration)

  • 김영환;박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495-1501
    • /
    • 2013
  • 본 연구는 탄소저감과 관련하여 그 동안 진행되어온 도시 단위의 저탄소형 신도시 개발 혹은 기성 시가지에서의 전면철거형 정비방식에서 탈피하여 현지개량방식에 의한 주거지 재생의 탄소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조사 및 국내 외 사례연구를 통해 탄소저감을 위한 기술적 계획요소들을 도출한 후, 사례 대상지인 청주시 탑2정비구역을 대상으로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에너지 소비량 기반의 탄소배출량을 산출하였다. 이 후 탄소배출량 산출기준을 이용하여 기존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과 기 계획된 전면철거방식의 공동주택개발에 따른 탄소발생량을 산출하고, 새롭게 제안된 현지개량방식의 저탄소 지향형 개발에 따른 탄소발생량을 산출하여 상호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지개량방식의 저탄소 지향형 주거지 재생이 기존의 전면철거방식의 공동주택 재개발에 비해 탄소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 11곳 새로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2호통권19호
    • /
    • pp.66-71
    • /
    • 1991
  • [ $\circ$ ] 건설부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서울특별시 승인지구 등 11개 지구를 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새로이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이들 지구는 시장 등이 수립하는 개선계획에 따라 소방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와 아울러 기존의 주택을 개량하거나 새로이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 정부에서는 한국주택은행을 통하여 호당 1,200만원까지 장기저리의 자금을 융자지원하고 있다. $\circ$ 도시영세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밀집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이 사업은 ''91.11.8 현재 170개 지구가 사업지구(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었고 개선계획이 확정된 60개 지구에서는 이미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circ$ 정부는 ''99년까지 전국 502개 지구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하여 ''달동네''를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 PDF

주택환경개선지구 10곳 새로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7호통권24호
    • /
    • pp.24-29
    • /
    • 1992
  • [ $\circ$ ] 한국주택협회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광명시 철산지구 등 10개지구를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새로이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이들 지구는 시장 등이 수립하는 개선계획에 따라 소방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와 아울러 기존의 주택을 개량하거나 새로이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 정부에서는 한국주택은행을 통하여 호당 1,400만원까지 장기저리의 자금을 융자지원하게 된다. $\circ$ 도시영세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밀집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이 사업은 ''92. 4. 14 현재 199개 지구가 사업지구(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었고 개선계획이 확정된 73개 지구에서는 이미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circ$ 정부는 ''99년까지 전국 502개 지구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하여 ''달동네''를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 PDF

한옥마을과 개량한옥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Hanok Village and Modern Hanok Model Developement(focused on the Case study of Jeonnam))

  • 이향미;손승광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9-214
    • /
    • 2008
  • Jeonam aims to cultivate Hanok Village as a lodging resource for tourism industry in rural areas. For the purpose, it invited eight models of the Hanok Village publicly and selected our model as the best.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centering on the model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and awarded by the local government. We develop and suggest eleven types of improved-type Hanok model that is to be distributed to each city and county. We compose the space which reflects needs of residents for modern living. And we focus on preservation of decorative beauty to make it a resource of tourism by creating beautiful view of Hanok and reduction of financial burden to activate its distribution. The Hanok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improved Hanok that can be suggested as a new model of rural area housing proj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