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두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3초

뇌수막종으로 개두술을 받은 중년여성의 질병체험 (Illness Experiences in Middle-Aged Women who Underwent Craniotomy for Meningioma)

  • 홍희정;이영휘;장종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52-6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수막종으로 개두술을 받은 중년여성의 질병체험에 관한 의미와 구조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7명의 개두술을 받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구두진술문에 대해 참여자의 질병겸험의 숨은 뜻을 분석하기 위해 Giorgi의 기술 현상학적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뇌수막종으로 개두술을 받은 중년여성의 체험으로 흔들리는 중년에 엄습한 공포, 치유에 대한 자기 확신 강화, 죽음의 공포로 부터 탈출, 자기 몸에 대한 배려, 가족 화합과 질병 두 개의 무게, 치유의 동반자 간호사, 인생 2막 열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다 전인적인 간호 중재를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참여자들이 느끼는 가장 큰 공포의 원인은 개두술에 대한 정보 부족이었다. 따라서 개두술에 대한 정보와 지식 제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참두릅과 개두릅을 첨가한 국수의 제조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Containing Shoots and Leaves of Aralia elata and Kalopanax pictus)

  • 김은주;이원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71-575
    • /
    • 2012
  • 참두릅과 개두릅가루의 단백질과 지방함량은 개두릅가루가 참두릅가루보다 많았으며, 회분과 식이섬유 함량은 참두릅가루보다 적었다. 참두릅과 개두릅가루는 높은 식이섬유 함량을 나타냈다. 두릅가루를 혼합하여 제조한 색도는 L값은 낮았으며, a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감소하였다. 조리면의 cutting force는 두릅가루를 첨가한 조리면이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두릅가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두릅가루를 첨가한 조리면이 개두릅가루를 첨가한 조리면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수의 기능성을 높이고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참두릅가루와 개두릅가루를 3, 5, 7% 첨가한 조리면의 관능검사를 실험한 결과 5% 첨가한 국수가 가장 높은 관능적 평가를 받았다.

의료품질의 향상을 위한 두피절개 및 드레싱 방법의 개선 효과 분석;CT 영상안내에 의한 직선형 또는 S자형 두피절개와 액상 드레싱효과

  • 조준;김미영;엄기수;박근상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대회
    • /
    • pp.51-56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의료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하여 제안된 뇌 전위적 영상안내에 의한 개두술 방법과 옥틸 시안화 아크렬산염 (2-octylcyanoacrylate: 2-0CA)을 드레싱 재료로 사용한 조사군과, 전통적 개두술 방법과 봉합사 및 아이오다인을 사용했던 대조군과 비교를 실시하여 의료품질 향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특정 의료기관에서 26 례 조사군과, 38례 대조군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 감염균, 두피접착의 열개(裂開)성 및 기타 위험 인자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새롭게 제안된 의료용 재료인 2옥틸시안화 아크릴산염은 피부조직 속으로 외부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였으며, 외피 접착기능으로 창상보호 특히, 평균감염률과 감염빈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대조군보다 우수하였다. 한편 뇌 전위적 영상 안내에 의한 개두술 방법으로 수술시간의 단축과 수술 복잡성의 경감 및 위험성이 감소되었으며, 상처 부위 흔적이 적게 남는 등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개두릅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Leaf)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34-1639
    • /
    • 2010
  • 개두릅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지방산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개두릅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41.42%, 조단백질 45.23%, 조지방 3.29% 및 조회분 10.07%이었고 개두릅 100 g의 함유 열량은 401.52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 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30.37%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9.16%, 21.21%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0.51 g, 17.69 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1.56 g, 단일불포화지방산 0.11 g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1.84 g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두릅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 는 $RC_{50}$값이 247.3, 120.7, 107.3, 105.7, 110.1, $491.9\;{\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가시없는" 음나무 생산 성공

  • 한국산림경영인협회
    • 산림경영
    • /
    • 통권150호
    • /
    • pp.34-34
    • /
    • 2001
  • 산림청 남부지방산림관리청 울진국유림관리소에서 가시가 전혀 없는 음나무(일명 개두릅)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대량증식을 통하여 2002년 재배농가에 보급하여 농가소득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 PDF

추출 방법이 개두릅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Shoot Extracted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강경명;노홍균;박창수;윤광섭;홍주헌;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86-1692
    • /
    • 2012
  • 개두릅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추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상온교반, 초음파, 감압, 환류냉각, 환류냉각과 초음파 병행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개두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환류냉각과 초음파 병행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환류냉각과 초음파 병행추출물이 각각 153.43 mg GAE/g, 62.53 mg RE/g으로 높았으며, 모든 추출물은 항산화 실험에서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였다. 환류냉각과 초음파 병행 추출물은 추출농도 1,000 ${\mu}g/mL$에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90.85%, 99.83%), 환원력(OD 0.95, 700 nm), 아질산염 소거능(55.46%), ferrous ion chelating 효과(45.12%)가 우수하거나 유사하였다.

저염 개두릅 장아찌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Salt Kalopanax pictus Shoot Jangajji Using Soybean Sauce)

  • 이신호;강경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4-110
    • /
    • 2015
  • 전통발효식품의 저염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설탕 및 식초를 첨가한 간장 농도를 달리한 침지액를 이용하여 제조한 개두릅 장아찌의 숙성 중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pH 변화는 숙성 초기 pH 3.82를 나타내었으며, 간장 농도가 증가할수록 처리군 간의 pH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숙성기간에 따른 pH의 변화는 숙성 20일까지 증가하여 pH 4.02~4.41을 나타내었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정산도의 변화는 pH의 변화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염도는 간장 농도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개두릅 자체의 염도는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후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50일째 각각 0.95%(대조군), 1.30%(KJ-10), 2.30%(KJ-20), 2.87%(KJ-30), 3.33%(KJ-40), 3.67%(KJ-50)를 나타내었다. 총균수는 숙성 과정 중 2.85~4.74 Log CFU/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대장균군수는 숙성 20일 이후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KJ-20이 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았다. 개두릅 장아찌 추출물의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간장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각각 대조군이 27.22%, 38.37%, KJ-10이 40.74%, 43.65%, KJ-20이 41.79%, 50.37%, KJ-30이 43.09%, 52.60%, KJ-40이 48.62%, 53.45%, KJ-50이 50.85%, 60.79%를 나타내었다.

경, 경의에 관한 연구(2) (A Study on the Wedding Veil (Kyung)(2))

  • 임명미
    • 복식
    • /
    • 제52권5호
    • /
    • pp.129-144
    • /
    • 2002
  • Kyung(경, 경의), Which is Wedding ceremonial head dress, Veil. Ancient China, When dynasty is changing, wedding head dress form is different. Old china, Kyung(경) was sleeves attached dress form. But, after Dang(당) and Song(송) Dynasty changed square formed clothes, which is put on from head to the shoulder, and another is sleeves attached dress form. Ancient Korea have been face covered clothes. Myunuei(면의). from Buyo(부여) to the south Silla(남국신라) Dynasty. Koryo(고려) dynasty. likeness of the Song Dynasty square formed head wear, Mongsu(몽수), and Kedu(개두). When Chosun(조선) Dynasty, Kyunguei(경의), which was square formed 12 chuk size head wear of the blue colored veil. When King and Queen finished wedding ceremony in the another palace, Queen following the King, so to the palace. who put on the wedding veil, Kyungui(경의) , in the papanquin. and take out of the veil by another mother. before the hapkun(합근) ceremony. also Chosun dynasty has been another Queen's wedding ceremonial veil 'myunui (면의)'. It has been put on the head dress with ceremonial dress Juckui(적의) . And, take out of the veil by another mother, before the hapkun(합근) ceremony. also. common people has been put on the head dress with ceremonial dress Youmui(염의). And. take out of the veil by another mother. before the hapkun(합근) ceremony. also common people has been put on the Mongsuui(몽수의,장의). head dress with ceremonial dress round neck dress. And, take out of the veil by another mother, before the hapkun(합근) ceremony.

측두근 운동이 개두술 후 저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mporal Muscle Exercise on Mastication after Craniotomy)

  • 김현정;김복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0-13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gum chewing temporalis muscle exercise on masticatory discomforts after craniotomy. Method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ly 10 to October 24, 2008. Forty participants who were treated with elective craniotom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wenty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were given a gum chewing exercise protocol for five days and twenty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usual postoperative care only. All the participants were examined on the first, third and fifth postoperative day regarding the masticatory pain score, mouth opening range, and satisfaction with masti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x^2$-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 Masticatory pain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p$ <.001). Mouth opening range and satisfaction with mastication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001). Conclusion: The gum chewing temporalis muscle exercise after craniotomy is a useful intervention to reduce masticatory pain and to improve mouth opening range, recovery rate of mouth opening range and satisfaction with mastication.

경비중격 경접형동 뇌하수체 수술에 관한 임상적 고찰 -수술적인 접근 방법에 관하여- (CLINICAL STUDY ON TRANSSEPTAL TRANSSPHENOIDAL APPROACH TO PITUITARY GLAND)

  • 민양기;정하원;오승하;정종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39-39
    • /
    • 1991
  • 뇌하수체 종양에 대한 경비중격 경접형동 수술은 1907년 Schloffer가 비절개수술에 의한 방법을 보고한 이래 1914년 Cushing이 sublabial approach를 정립하였으나, 이후 약 반세기 동안 경비중격 경접형동 수술이 개두술에 비해 종양의 재발율이 높다는 이유로 기피되어왔다. 1968년에 이르러 Cottle의 maxilla-premaxilla approach로 비중격에 대한 수기가 축적되고 수술현미경의 발달로 미세수술이 도입되면서 경비중격 경접형동수술이 다시 각광을 받게 되었다. 이후 sublabial approach, alotomy approach, columellar approach, external rhinoplasty approach 등이 개발되어 보고되었으며 접형동의 함기화가 불완전한conchal 형이나 터어키안 상측부로의 종양의 확장이 심한 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 방법으로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문헌고찰에 의하면 개두술시의 술후 사망율이 17%인데 비해 경비중격 경접형동술의 경우 1.8%라고 보고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서는 sublabial approach로 터어키안까지 종양을 노출시킨 후 신경외과의와 공동으로 뇌하수체 종양을 치료한 예를1977년부터 1988년까지 135례를 보고한 바 있다. 최근에는 sublabial approach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외비의 해부학적인 구조에 익숙해질 수 있는external rhinoplasty approach를 이용하여 경비중격 경접형동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1977년부터의 치험례를 임상분석하여 특히 external rhinoplasty approach의 수술성적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