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 설계

Search Result 4,984,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Types of Landscape Design Concepts through Analysis of Award-Winners for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을 통해 본 조경설계개념의 유형)

  • Kim, A-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2
    • /
    • pp.102-11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ypes of design concept based on the specificity of landscape design, and to deriv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landscape design concepts by analyzing the design concepts appearing in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five types of landscape design concepts were categorized into value and vis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orm and structure, program and element, and process and operation. Using this framework, the design concepts shown in 96 works submitted to 18 domestic and overseas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e to the complexity of contemporary urban parks, design concepts are presented as mixtures of main concepts and secondary concepts in multiple layers.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design concepts of 'form and structure' were used the most in urban park designs, followed by the 'program and element' concepts. The 'value and vision' and 'analysis and interpretive' concepts are introduced as third and fourth. Third, the reason that the 'form and structure' concept is widely used as main and secondary concepts is judged to be because the form of a space, which is the key result of the design,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identity of the design. Fourth, the reason that the 'program and element' concept type is widely introduced is that urban park design has a stronger planning aspect to produce programs during the design process, compared with other design fields where programs are usually given in advance. Lastly,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properties of the site solely affect the type of design concept, because a design concept is the result of a complex and creative process in which a designer subjectively interprets the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project, and given design guidelines can affect the type of design concept.

A Design Methodology of Relational Database Schema Without the Conceptual Design Step (개념적 설계를 배제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설계)

  • Um Yoon-Sup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2
    • /
    • pp.445-453
    • /
    • 2005
  • The design process of a relational database system consists of requirement analysis, conceptual design using ER diagram, logical design, and physical design. In logical design process, the conceptual schema is transformed to relational schema, and relational schema is normalized. This traditional design process is hard to applied in real database design process, since there is an ambiguity in conceptual design process.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design process, which provides more structural design steps by removing the conceptual design process. In new approach, we produce the data flow diagram by the structural methodology. From the attributes in the data store of data flow diagram, we construct relational table schema, and we normalize relational schema. Finally we produced table relationship diagram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ships between tables.

일체형 신형원자로의 기계구조 예비개념설계

  • 김지호;김용완;김긍구;김종인;문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741-746
    • /
    • 1995
  • 일체형원자로는 노심, 증기발생기, 가압기, 펌프 등 1차측 주기기들을 하나의 압력용기 안에 모두 포함하고 있고 또 1차측 냉각재가 원자로 안에서만 순환하므로 기존의 분리 형에 비해 구조특성상 상당히 다른 설계개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중에 있는 일체형 열병합원자로에서 채택한 설계개념은, 먼저 증기발생기는 많은 수의 전열관들이 나사선처럼 노심지지원통을 감고 올라가는 일체형 관류식 나선형을 사용하였으며, CEDM은 지진하중과 같은 동적하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자로용기 외부로의 돌출부분을 최소화하는 설계개념을 채택하였다. 또한 가압기는 별도의 부품없이 원자로용기 헤드의 빈공간을 활용한 자기가압방식으로 대체하였고 냉각재 펑프는 Canned Motor Pump를 원자로벽에 직접 부착하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개념설계된 일체형 신형원자로의 기계구조설계상의 특징들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간략히 소개한다.

  • PDF

표준원전 모의 열수력 종합실험장치의 개념설계 및 저온관 소형냉각재상실사고 예비해석

  • 배규환;문상기;박춘경;권태순;송철화;양선규;정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699-706
    • /
    • 1998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원자력중장기연구의 일환으로 한국형 표준원전을 모의하는 종합열수력실증실험을 계획하고 있으며, 현재 실험장치에 대한 척도해석(Scaling Analysis), 예비해석(Scoping Analysis) 및 개념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광 3/4호기를 대상으로 척도해석을 통하여 실험장치를 개념설계하고, 저온관 6인치 소형냉각재 상실사고에 대하여 예비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준다. 개념설계된 실험장치는 높이비가 참조원자로와 동일하고, 체적비가 1/200이다. 실험장치의 개념설계는 이상유동에 대한 3단계 척도법을 적용하였으며, 개념설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RELAP5/MOD3.1 코드를 사용하여 정상상태 및 저온관 6인치 소형냉각재 상실사고시 계통의 거동을 예비 계산하였다. 실험장치에 대한 예비해석결과 사고 거동이 참조원자로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평관 및 주냉각재펌프의 척도기준이 사고의 진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밝혀졌다

  • PDF

Translation of Star Schema into Entity-Relationship Diagrams for Data Warehouse Conceptual Design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개념적 설계를 위한 스타 스키마에서 ER 도형으로의 변환 기법)

  • 최은하;김진호;옥수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42-144
    • /
    • 2002
  •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기업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의 운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데이터의 집합으로써 OLAP 분석에 이용된다. OLAP은 이들 데이터를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다차원 데이터로 표현하고 이를 활용하여 복잡한 분석 질의 처리 및 다차원 데이터 분석에 활용한다. 이러한 OLAP의 다차원 데이터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표현하기 위해 스타 스키마가 널리 사용된다. 또한 다차원 데이터와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방대한 분량를 갖는 전체 기업의 데이터를 표현하고 있어 이를 설계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고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를 설계하기 위한 체계적인 설계 방법론이 필요하다.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원천 데이터가 되는 운영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ER 도형을 이용하여 개념적인 방법으로 널리 설계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ER 도형으로 설계된 운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설계하는 개념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OLAP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스타 스키마에 대해 ER 도형으로 표현/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다차원 데이터를 얻기 위해 유지해야 할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ER 도형을 이용하여 개념적으로 편리하게 설계하는 방법/지침을 제공하며, 나아가 해당 유형의 스타 스키마가 갖는 의미를 개념적으로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한국형 신형원자로 CT-1300의 개념 설계

  • 노희천
    • Nuclear industry
    • /
    • v.16 no.6 s.160
    • /
    • pp.4-14
    • /
    • 1996
  • 한국형 원자로를 개량, 2001년부터 건설될 제2세대 원자로의 뒤를 이을 제3세대 원자로인 한국형 신형 원자로 CT-1300의 개념 설계가 최근 마무리되었다. CT-1300은 혁신적인 피동 설계 개념을 이용하여 안전도를 대폭 향상시킨 원자로이다. 즉 무거운 것은 아래로 내려가고 가벼운 것은 위로 올라간다는 불변의 자연법칙을 이용하여 각종 안전 장치를 설계함으로써 , 설령 지진이나 폭격 등의 원인으로 발전소에 이상이 생길지라도 안전 장치가 운전원이나 전기 장치의 도움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피동 설계 개념은 발전소의 안전성 향상 뿐만 아니라 경제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oposed Engineering Packages for the Conceptual Design of IGCC Plant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 개념설계용 Engineering Packages 선정)

  • Lee, Chan;Yun, Yong-Seung;Lee, Jin-Wook;Kim, Hyung-Taek;Chung, Kun-M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1
    • /
    • pp.52-58
    • /
    • 1995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의 시스템설계를 위한 engineering package의 체계 및 방법론에 대해 소개하였다. Engineering package는 플랜트 전체 개념설계 과정과 주요 공정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설계/해석/시험 과정으로 나누어 진다. 개념설계과정은 설계목적과 제한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플랜트구성 설계, 정적/동적 시뮬레이숀, 요소별 설계사양 결정 및 Data Base Management System으로 이루어지며, 개념설계 과정의 한부분인 주요요소의 설계는 1차원 성능해석, 2/3차원 열유체해석 및 실험 그리고 구조, 진동 해석 등으로 구성되는 반복적 과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설계체계들의 개발전략을 설명하고, 현재 이루어진 추진결과에 대해 설명하였다.

  • PDF

진동기초의 설계

  • 심종성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6 no.1
    • /
    • pp.4-10
    • /
    • 1993
  • 본 기사는 지난 2월 한양대학교에서 개최되었던 제7회 기술강습회 교재의 내용을 발췌하여 요약정리한 내용으로서, 진동기초의 설계개념을 다른 일반적인 기초와의 차이점을 강조하면서 기술하였다. 본 기사에서는 전체적인 설계절차 및 개념을 소개하기 위하여 해석이론 부문의 언급을 회피하였는데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다른 주제에서 다루게 된다. 즉, 두번째 주제에서는 블럭형 기초의 설계에 대한 해석이론 및 설계절차를 예제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세번째 주제에서는 프레임형 기초, 그리고 네번째 주제에서는 깊은 기초에 대한 해석이론 및 설계절차를 역시 예재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섯번째 주제에서는 기계진동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진기초의 설계개념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PDF

차세대원전 Safety Console 개념 설계

  • 박현신;이광대;정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407-412
    • /
    • 1997
  • 현재 개발이 진행중인 차세대원전의 MMIS 설계는 기존 원자력발전소와 달리 Compact Workstation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차세대 원전 Compact Workstation의 설계 개념에 따르면, 안전 계통과 비안전 계통 모두를 동일한 제어기 (Soft Controller)로 제어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Compact Workstation 고장시에 발전소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Safety Console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원전의 MMIS 설계 개발의 일부로서 주제어실에 설치될 Safety Console을 설계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Safety Console의 기능을 정의하고 안전 기기 제어 능력 그리고 디지탈 기기를 사용하는 데에 따른 공통모드고장 대처 방안을 평가하였다. 그 평가 결과로서 Safety Console에 대한 설계 기준 및 초기 설계 방향을 제안한다.

  • PDF

Conceptual Design Study of Two-Stage Hypersonic Scramjet Vehicle (2단 초음속 스크램제트 비행체의 개념설계 연구)

  • Lee, Kyung-Jae;Kang, Sang-Hun;Yang, Soo-Seok;Park, 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6 no.1
    • /
    • pp.16-24
    • /
    • 2012
  • In this study, two-stage hypersonic scramjet vehicle was designed for the flight condition of Mach number 6. In order to launch at sea level, two stage concept was applied. The first stage of the vehicle is solid rocket-powered and is mounted under the second stage. The second stage is powered by scramjet propulsion system and gas wings. The suggested mission scenario is to deliver 0.2 ton payload to the range of 2,000 km. For the first step of conceptual design, trajectory of air vehicle was calculated by 3-DOF trajectory code. Based on the result of trajectory code, scramjet engine design and mass estimation were performed by non-equilibrium nozzle flow code and NASA's HASA model, respectively. In order to find best solution, all steps of designing process was iterated until they was reac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