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념 계층구조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71초

담화 내 계층적 구조의 개념 구조적 기술 (Conceptual Descrip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in Discourse)

  • 구유선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164-170
    • /
    • 2000
  • 본 논문은 과거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주구조와 부구조, 하위구조 등의 담화 내 계층적 구조에 대한 증거로 일탈을 중심으로 부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주제 일탈의 구조와 정의에 관해 분석하고 중단과 화제 전환 등과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지식 표현 언어인 Sowa의 개념구조론의 체계 내에서 담화의 계층적 구조와 그 구조를 나타내는 언어적 표시인 담화 표지의 예를 기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개념 관계로 일탈, 화제 전환, 틀의 관계를 설정하여 담화 내 계층구조와 담화 부분과의 화용적인 관계를 규명하였다. 기존의 개념구조론은 선택적 제약, 조응 등의 의미론적인 개념들을 간결하고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었는데 화용론적인 측면의 기술도 가능함을 보여준다.

  • PDF

위키피디아 링크를 이용한 랭크 기반 개념 계층구조의 자동 구축 (Automated Development of Rank-Based Concept Hierarchical Structures using Wikipedia Links)

  • 이가희;김한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1-76
    • /
    • 2015
  • 흔히 대용량 텍스트 데이터의 분류를 위한 인덱싱 데이터 구조로서 계층 개념 트리가 활용된다. 본 논문은 개념 계층구조를 자동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위키피디아를 이용한 일반성 랭크 기반 기법을 제안한다. 이것의 목적은 위키피디아 문서를 하나의 개념으로 정의하여 이들 간의 계층적 위상관계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키피디아 문서들 간의 링크 개수를 주요 인자로 하여 개념 일반성을 가늠하는 랭킹함수를 고안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개념 간 확률적 포함관계를 산출함으로써 안정적인 개념 간 계층 구조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계층적 관계를 담은 개념쌍은 DAG 구조로 시각화 된다. Open Directory Project 계층구조를 사용한 성능 분석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준 기법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며 고품질 계층 관계를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담화 내 계층 구조의 개념 구조적 기술 (Conceptual Descrip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in Discourse)

  • 구유선
    • 인지과학
    • /
    • 제11권3_4호
    • /
    • pp.23-32
    • /
    • 2000
  • 과거 서술 연구 중심의 주구조와 부구조의 차이는 적절하고 형식적인 정의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주구조, 하위 구조, 부구조를 구성하는 담화 단위사이에 계층구조가 존재함을 주장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Kuppevelt가 제안한 주구조를 하위구조나 부구조와 구별하는 식별기준을 나타내는 형식적 정의를 제시한다. 둘째, 지식 표현 언어인 Sowa의 개념구조론의 체계 내에서 담화의 계층구조와 그 구조를 나타내는 언어적 표시인 담화표시의 예를 기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개념관계로 일탈, 화제 전환, 틀의 관계를 설정하여 담화 내 계층구조와 담화부분과의 화용적인 관계를 규명하였다. 기존의 개념구조론은 선택적 제약, 조응 등의 의미론적인 개념들을 간결하고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었는데 화용론적인 측면의 기술도 가능함을 보여준다.

  • PDF

Many-valued Context의 Scaling을 위한 형식개념분석 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a Formal Concept Analysis Tool for Scaling of Many-valued Context)

  • 강유경;황석형;최희철;김동순;김홍기;김명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51-254
    • /
    • 2005
  • 계층적 개념구조는 대상 도메인으로부터 지식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개념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데이터의 구조화와 요약을 제공하며 필요한 정보의 수월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상도메인으로부터 계층적 개념구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계층적 개념구조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개념구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형식개념분석기법(FCA, Formal Concept Analysis)을 토대로, Many-valued context와 Scaling을 자동화하기 위한 도구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FCA Wizard를 소개한다.

  • PDF

문서로부터 계층적 개념 트리 자동 구축 (Automatic Construction of Concept Hierarchy from Text)

  • 김희수;조용석;최익규;김민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103-105
    • /
    • 2004
  • 계층적 개념 트리는 개념의 전체적인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는다. 이러한 계층적 개념 트리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나 지식 공학자, 혹은 개인에 의해서 제공되어 왔다. 하지만 계층적 개념 트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않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계층적 개념 트리를 자동으로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 필요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 검색 틴 온톨로지 연구에 있어서 계층적 개념 트리를 자동으로 구축하기 위한 기존 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 개념적 클러스터링 방법인 FCA(Formal Concept Analysis)를 사용하여 문서로부터 계층적 개념 트리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개념 계층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큐브 (A Spatial Data Cubes with Concept Hierarchy on Spatial Data Warehouse)

  • 옥근형;이동욱;유병섭;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5-38
    • /
    • 2006
  •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연산을 제공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를 큐브의 형태로 관리한다. 특히, 공간 차원과 같이 데이터 큐브의 차원에 개념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계층에 대한 집계 결과를 요구한다. 기조의 데이터 큐브의 구조들은 차원의 개념 계층을 지원하지 못하거나 지원하더라도 시간이나 공간적 비용에 대해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개념 계층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계층별 영역 집계연산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큐브를 제안한다. 이는 개념 계층을 DAG(Directed Acyclic Graph) 형태로 표현하여 구성된 여러 개의 차원들을 공간차원의 지역성을 기준으로 연결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큐브를 이용하면, 데이터 검색 시 상위 계층부터 아래 방향으로 탐색하기 때문에 각 차원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특히, 공간 개념 계층에 대한 DAG를 이용하면, 공간적 지역성에 따른 영역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성능평가에서 개념 계층이 적용된 질의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들에 비해 저장 공간 효율성 및 질의 응답 성능이 우수함을 증명한다.

  • PDF

다단계 보안 응용에서의 일반화 계층구조의 스키마 변환 (Schema Transformation of Generalization Hierarchy with Multilevel Secure Application)

  • 박운재;송의철;송호영;김정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647-649
    • /
    • 2000
  • 개념-논리 스키나 설계의 목적은 개념 스키마를 사용 가능한 데이터의 구조화와 제약사항 모델화를 위한 기능들을 가능한 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스키마 변환은 이러한 표현을 구현 언어나 데이터베이스와는 독립적인 차원에서 고려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개념-논리 스키마로의 변환에 프리미티브 변환을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개념 스키마에 나타난 정보를 손실 없이 구현 모델에 반영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단계 보안 응용을 위한 일반화 계층구조의 스키마 변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리미티브 변환을 논의한다. 이러한 변환은 다단계 보안 응용의 개념 논리와 설계 단계에 대한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기본적인 도구의 토대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적용함으로써 설계 과정을 변환의 작은 단위로 생각할 수 있게 해 줌으로서 설계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 PDF

개념 계층 이용 흥미로운 부분 데이터의 탐색 (Discovery of Interesting Knowlege using Concept Hierarchy)

  • 홍정희;김성민;남도원;이동하;이전영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춘계정기학술대회 e-Business를 위한 지능형 정보기술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
    • pp.261-270
    • /
    • 2000
  • 개념 계층(Concept Hierarchy)은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배경 지식(Background Knowledge)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인 정보, 데이터의 분포, 영역전문가(Domain Expert)에 의해 주어지는 외부 지식 등이 반영되어 있다. 개념 계층의 특성상 부모(parent)-자식(child) 관계가 있는 두 노드가 있을 때, 한 노드의 값으로부터 다른 노드의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추정된 값을 기대치라고 하고, 한 노드의 값으로부터 추정된 기대치와 실제치가 상당히 상이한 값을 보이는 노드가 있을 때, 이를 흥미롭다(interesting)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개념계층상에서의 흥미로운 부분 탐색에 대한 연구가 없었으며, 흥미로움(interestingness)의 척도(measurement)에 대한 연구로서는 신뢰도(confidence), 리프트(lift), 컨빅션(conviction)등이 있다. 그러나 이런 흥미도의 척도에 관한 연구도 연관규칙에 한정되어 이루어졌으므로 개념계층상의 데이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수정 및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개념계층이 존재할 때, 이를 이용하여 기대치와 실제치가 상이한 흥미로운 부분을 발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개념계층이 존재할 때, 이를 이용하여 기대치와 실제치가 상이한 흥미로운 부분을 발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개념계층상에서의 흥미도의 척도를 제안하고 흥미로운 부분을 탐색하는 방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데이터마이닝의 결과인 연관규칙을 개념계층에 적용하여 연관규칙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기대치를,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리프트(lift), 컨빅션(conviction)등의 관계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모색해본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이러한 개념계층상의 흥미로운 부분의 탐색은, 전자 상거래에서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나 틈새시장(niche market) 마케팅 등에 적용가능하리라 여겨진다.

  • PDF

개념 계층 이용 흥미로운 부분 데이터의 탐색 (Discovery of Interesting Knowledge using Concept Hierarchy)

  • 홍정희;김성민;남도원;이동하;이전영
    • 지능정보연구
    • /
    • 제6권2호
    • /
    • pp.77-89
    • /
    • 2000
  • 개념 계층(Concept Hierarchy)은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배경 지식(Background Knowledge)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인 정보, 데이터의 분포, 영역전문가 (Domain Expert)에 의해 주어지는 외부 지식 등이 반영되어 있다. 개념계층의 특성상 부모(parent)-자 식(child) 관계가 있는 두 노드가 있을 때, 한 노드의 값으로부터 다른 노드의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추정된 값을 기대치라고 하고, 한 노드의 값으로부터 추정된 기대치와 실제치가 상당히 상이한 값을 보이는 노드가 있을 때, 이를 흥미롭다(interesting)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개념계층 상에서의 흥미로운 부분 탐색에 대한 연구가 없었으며, 흥미로움(interestingness)의 척도(measurement) 에 대한 연구로서는 신뢰도(confidence),리프트(lift),컨빅션(conviction)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런 흥미도 의 척도에 관한 연구도 연관규칙에 한정되어 이루어졌으므로 개념계층상의 데이터에 적용하기 위해 서는 약간의 수정 및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개념계층이 존재할 때, 이를 이용하여 기대치와 실제치가 상이한 흥미로운 부분을 발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개념계층상에서의 흥미도의 척도를 제안하고 흥미로운 부분을 탐색하는 방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데이터마이닝의 결과인 연관규칙을 개념 계층에 적용하여 연관규칙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기대치를,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리프트(lift), 컨빅션(conviction)등의 관계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모색해본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이러한 개념계층상의 흥미로운 부분의 탐색은, 전자 상거래에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나 틈새시장(niche market) 마케팅 등에 적용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 PDF

OPC(OLE for Process Control)와 분산형 보안 서비스 기반의 유연한 멀티 프로세스 컨트롤 모델 (A flexible and powerful model for multi process control based on OPC(OLE for Process Control) and Distributed Security Services)

  • 심민석;박성규;유대승;김종환;이명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739-741
    • /
    • 2004
  • 본 논문은 제어 구조의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는 OPC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분산형 보안 서비스 개념(하부구조 서비스, 응용프로그램 지원 서비스)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사용자에 대해서 차별화된 권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스 컨트롤&모니터링 모델을 제안한다. 멀티 프로세스 컨트롤&모니터링 모델은 3-계층 구조(리소스, 로직, 그리고 프레젠테이션 계층)와 컴포넌트 개념을 기반으로 디자인하였기 때문에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이 가지는 다양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리소스 계층은 다양한 OPC 기반 제어서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액세스 포인터 데이터) 및 저장 데이터들과 쉽고 유연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로직 계층은 리소스 계층에서 제공하는 리소스들(실시간 및 저장 데이터)에 대한 보안 설정을 제공하고 실제, 가공, 가상 데이터 제공 및 생성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XML 기술을 사용하여 컨텐츠와 뷰를 분리하고 접속 기기들의 타입에 맞는 뷰를 동적으로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타입의 모니터링 기기들과 유연하게 결합하고 통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