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구조도

Search Result 4,376, Processing Time 0.05 seconds

Conceptual Descrip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in Discourse (담화 내 계층적 구조의 개념 구조적 기술)

  • 구유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164-170
    • /
    • 2000
  • 본 논문은 과거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주구조와 부구조, 하위구조 등의 담화 내 계층적 구조에 대한 증거로 일탈을 중심으로 부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주제 일탈의 구조와 정의에 관해 분석하고 중단과 화제 전환 등과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지식 표현 언어인 Sowa의 개념구조론의 체계 내에서 담화의 계층적 구조와 그 구조를 나타내는 언어적 표시인 담화 표지의 예를 기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개념 관계로 일탈, 화제 전환, 틀의 관계를 설정하여 담화 내 계층구조와 담화 부분과의 화용적인 관계를 규명하였다. 기존의 개념구조론은 선택적 제약, 조응 등의 의미론적인 개념들을 간결하고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었는데 화용론적인 측면의 기술도 가능함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al Conception Formation of the Center of Mass Concept (질량중심 개념의 구조적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 Choi, Byung Chul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6 no.1
    • /
    • pp.23-45
    • /
    • 2016
  • We are able to analyze a social or a natural phenomenon by using the conception. if we understand a concept of an object. However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a concept of an object. The process of comprehending the concept is a long rigorous mental journey. Hence, understanding concepts has been emphasized in studies in education. Previous studies demonstrate that conception has a dual nature, which has both an operational and a structural nature. We are able to acknowledge that structural conception develops from an operating conception. Nevertheless, discovering a dual nature of conception and knowing whether students acquired the dual nature, especially the structural nature are difficult to achieve. In this research, I examine the operational and the structural nature of a center of mass conception and analyze whether students acquire structural nature of the center of mass conception, and find implications which we would do to build the structural conception on a concept.

What should we do with pre-instructional conceptual frameworks? : A suggestion for instructional strategy (수업전 개념구조를 고려한 수업방법에 관한 연구)

  • Jung, He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9 no.2
    • /
    • pp.89-97
    • /
    • 1989
  • 어떤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전 개념구조가 과학자들의 그것과 다를때 이 수업전개념을 간단한 정성적인 퀴즈를 통하여 학생 스스로 인식하게 하고 실험 또는 관찰을 통하여 학생 자신의 수업전개념 보다는 과학자들의 개념이 실험결과를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전 개념구조를 변화시키려는 교수모델을 고안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115 명(실험집단 58명, 비교집단 57명)과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120명(실험집단 59명, 비교집단 61명)을 대상으로 뉴우턴 제2법칙에 대한 학습에 적용하고 2주후에 뉴우턴 제2법칙에 관한 시험(13문항)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퀴즈에 사용한 것과 유사한 상황을 다룬 문제에서는 실험집단의 성적이 비교집단의 성적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같은 개념을 다루나 새로운 상황의 문제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가지 개념이 여러가지 새로운 상황속에 나타날때 학생들에게 이미 친숙한 상황과 새로운 상황사이의 유사점을 강조하며 위의 교수법을 계속하여 사용한다면 학생들의 뿌리깊이 밝힌 수업전 개념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위의 교수법은 학생들이 자신의 수업전 개념구조를 명확히 인식하고 그 불합리함을 깨달아야 하므로 자신의 수업전 개념구조에 근거하여 어떤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논리(Expectation or biconditional Reasoning)가 형성된 이후의 학생들에게만 효과가 있으리라 가정하였으나 교수방법과 예측논리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offect)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여학생의 경우에서만 학생들에게 새로운 상황의 문제에서도 예측논리를 이미 형성한 실험집단의 평균이 이에 상응하는 비교집단의 평균보다 높았다. 이것은 남학생과 여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교수경력과 학생들의 수업전 개념구조에 대한 교사의 인식정도에 큰 차이가 있었음을 고려할 때, 위의 수업방법을 사용하는 데 있어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전 개념구조가 학생들의 개념획득에 얼마나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 PDF

Development of a Formal Concept Analysis Tool for Scaling of Many-valued Context (Many-valued Context의 Scaling을 위한 형식개념분석 도구의 개발)

  • Kang, Yu-Kyung;Hwang, Suk-Hyung;Choi, Hee-Chul;Kim, Dong-Soon;Kim, Hong-Gee;Kim, Mye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251-254
    • /
    • 2005
  • 계층적 개념구조는 대상 도메인으로부터 지식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개념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데이터의 구조화와 요약을 제공하며 필요한 정보의 수월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상도메인으로부터 계층적 개념구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계층적 개념구조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개념구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형식개념분석기법(FCA, Formal Concept Analysis)을 토대로, Many-valued context와 Scaling을 자동화하기 위한 도구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FCA Wizard를 소개한다.

  • PDF

Conceptual Descrip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in Discourse (담화 내 계층 구조의 개념 구조적 기술)

  • 구유선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3_4
    • /
    • pp.23-32
    • /
    • 2000
  • The distinction between main structure and side structure in discourse which was central to narrative studies has lacked an adequate. formal definition. This study supports the contention that there exists a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discourse units constituting main structures, substructures, and side structures. The aim of this study is twofold: (j) to present an adequate. formal definition that provides a general identification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main structure from substructure and side structure proposed by Kuppevelt, and (jj) to propose conceptual relations representing hierarchical structures in discourse based on Sowa's Conceptual Structure Theory. The proposed conceptual relations which represent hierarchy and pragmatic relations of discourse segments are: DIGR (digression). T-SHFT (topic shift), and FRAM (frame). This s study shows pragmatic functions can be incorporated within CST in a systematic way.

  • PDF

The Geographical Concepts Development and its ZPD through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 A Case Study on the Concept of GSMA in the Middle School - (협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지리개념 발달과 근접발달영역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수도권 개념을 사례로 -)

  • 강창숙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4
    • /
    • pp.425-441
    • /
    • 2002
  • This study focused on the geographical concepts development and it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through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the conclusions are: 1) Students who have higher cognitive structure represented the Creator Seoul Metropolitan Area(GSMA) as a geographical concepts, not as a spontaneous concepts. The concepts is developed from concrete facts, subordinate element concept to basic element concept hierarchically. The most difficult concept that the learner should internalize was represented as the basic element concept. 2) Although ZPD of GSMA is individualized, it could be divided into 9 types. The ZPD was develop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ifferences how much more and how systematically represented the geographical concepts.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is development procedure was that there was a quality change based on quantity extensive.

Development of Mobile Phone Menu Structure based on Visual Concept Map (Visual Concept Map 에 기초한 핸드폰 메뉴 구조 개발)

  • Lee, Suk-Won;Myung, Ro-Hae;Kim, In-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399-404
    • /
    • 2008
  • 사용자 중심의 메뉴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지식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지식 구조를 이해하게 되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달된 자극들이 만들어낸 개념들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정신 모형(mental model)을 형성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인간의 지식 구조는 MDS (Multidimensional Scaling)과 Trajectory Mapping을 이용하여 Visual Concept Map 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인간의 지식구조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MDS 는 인간의 머릿속에 자리잡고 있는 개념들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고, Trajectory Mapping 은 개념들 간의 연결 상태를 보여준다. 즉, Trajectory Mapping 을 통하여 개념들 간악 인지적 정보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DS 와 Trajectory Mapping 을 이용하여 핸드폰 메뉴로부터 전달 받은 시각적 자극들에 악해 형성된 개념들에 대한 인간의 지식 구조를 Visual Concept Map 으로 시각화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시각화된 지식 구조를 바탕으로 메뉴 구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 MDS 와 Trajectory Mapping 을 이용한 인간의 지식 구조의 시각화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Construction of Granular Concept Hierarchies based Granularity Level (입자화 정도를 기반으로 하는 개념계층구조의 구축)

  • Kang, Yu-Kyung;Hwang, Suk-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42-1545
    • /
    • 2011
  • 형식개념분석기법(FCA : Formal Concept Analysis)은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공통속성을 갖는 객체들을 클러스터링하여 정보의 최소단위로써 개념(Concept)들을 추출하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토대로 계층화하여 데이터에 내재된 개념들의 구조를 가시화 해주는 Granular Computing의 한 종류이다. 형식 개념분석기법에서는 공통속성을 갖는 객체들을 추출한다는 전제조건을 토대로 개념을 추출하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이나 조건에 적합한 새로운 개념들을 추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써, 본 논문에서는 입자화 정도(granularity level)를 기반으로 하는 형식 개념분석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형식개념분석기법에 입자화 정도를 도입하여 다양한 조건과 추상화 수준을 토대로 하여, 개념들을 추출하고 개념계층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New Discussion on Cognitive Conflict Using Conceptual Structure (개념구조를 이용한 인지갈등에 대한 새로운 논의)

  • Moon, Seong-Sook;Kwon, Jae-So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8 no.5
    • /
    • pp.359-382
    • /
    • 2008
  • There are so many research literatures on conceptual change theory and the nature of concepts such as p-prims, mental model, ontological belief, and cognitive structure. Conceptual change means learning (Vosniadou, 1999; Duit;1999).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elaborate existing conceptual change theories in order to explain the learning process and its implications. Therefore, we derived from reviewing literatures that learners construct new conceptual structure in response to given contexts at the same time activating their beliefs. We reviewed some mental theories that integrated cognitive and affective components and were based on framework/specific theory or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e suggest learners' framework of conceptual structure and conflict model of conceptual structure. We expect to obtain effective way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implications for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from using conceptual structure later.

Conceptual Structures of Anaphoric Expressions in English (영어 조응표현의 개념구조)

  • Jung, Mi-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300-309
    • /
    • 1995
  • 언어표현에 대한 해석은 그 구성요소들의 통사적-어휘적 구조에 덧붙여 대명사의 동일지시를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조응의 분석과 조응적 선행사를 찾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발견하는 것이 컴퓨터 언어학(computational linguistics), 특히 자연언어 이해체계(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system)에 관한 연구의 중심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영어 조응표현을 개념구조 이론(Conceptual Structure Theory)의 개념도식(conceptual graph)에 의하여 기술함으로써 단문에서뿐만 아니라 복문, 양화구문, 그리고 담화에 이르기까지 언어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동일지시성(coreferenciality)을 간단하고 일관성 있게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응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자는 개념도식상의 개념을 중심개념, 직접개념, 간접개념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문맥깊이 등과 더불어 동일지시성을 설명하는데 중심적 역할을 함을 보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