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구분출화염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건축물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연소 확대 모델 개발 및 적용사례(I) - 개구분출에 기인한 연소 확대 모델 -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Fire Propagation Model for Fire Simulation in Building(I) - The Fire Propagation Model Ejectde from Opening Fire Plume)

  • 강승구;홍해리;김동은;권영진;신이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67-72
    • /
    • 2011
  • 본 연구는 건축물 화재성상 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 건축물 화재시 높은 비중의 가연물과 좁은 이격거리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급격히 연소확대될 위험성이 높고, 개구분출화염이 건물 화재확산의 중요한 요인이나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또한 화재성상 예측시 기존 시뮬레이션에서 화재확산의 중요한 인자인 바람의 요소가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개구분출 실물화재실험을 통하여 유풍시 개구분출화염에 기인한 수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기존의 바람 인자를 고려하지 않은 화재성상 예측 시뮬레이션에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화재 성상 시뮬레이션 개발 구축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한다.

  • PDF

축소모형을 이용한 개구부 분출화염성상 연구 (Characterization of Fire Plume Ejected from an Opening)

  • 남동군;소수현;임우섭;이장원;김남혁;신이철;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319-323
    • /
    • 2010
  • 건축물의 창문 등에서 분출하는 화염 특성은 건축물의 화재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출화염의 특성을 파악하여 건축물의 화재안전설계에 활용하기 위해 축소모형을 이용하여 화재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소규모 모형을 제작하고 가스버너를 화원으로 하여 개구부와 화원의 크기에 따른 분출열기류의 온도분포성상을 파악하였다.

  • PDF

건축물 화재시 개구분출화염으로 인한 상층부로의 화재확대 위험성평가 방법 구축 (Establishment of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Fire Spread to the Upper Floors due to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in the Building Fires)

  • 신이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6-217
    • /
    • 2020
  • As the fire inside the building grows rapidly,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occurs due to flashover. As a result,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flame spreads to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and rapidly expands to the upper floor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ire in the Daebong Green Apartment, Uijeongbu in 2015, it was a case where the flame spread to adjacent buildings due to the opening eruption flame from the first ignited building, causing great damage to three apartments.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 international standard under development that estimates the shape and properties of the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and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radiant heat flux received by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by assuming the occurrence of the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 PDF

국내 공동주택의 개구부형태 및 발코니 유·무에 따른 분출화염 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Fire Plume Ejected from an Opening according to the Opening Form and the Balcony of Apartment in Korea)

  • 이규민;구태윤;황의청;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7-38
    • /
    • 2017
  •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flame on the upper by fire plume ejected. we implemented model experiment according to investigation of housing area effect, window aspect ratio and balcony availability. we confirmed that opening ratio was increased according to housing area larger. the square window confirmed that is progressing fire plume ejected of free space. According to the value of an opening aspect ratio 'n' getting higher, the horizontal widow is getting that increased the risk as the fire spread an external to the top of opening. it is determined to the fundamental solution about fire safety in the extended balcony of apartment.

  • PDF

측벽효과를 고려한 개구부 분출화염 거동 연구 (Study on the Ejected Plume from Opening Regarding Side-wall Effect in Fire)

  • 정재군;신이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9-220
    • /
    • 2016
  • The behavior of fire plumes has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for cases where sidewalls are installed near an opening in an unconfined space. In this research, we aim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 effects on fire spread when sidewalls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an opening.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effects on the fire plume of the 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of sidewalls and the opening, and carry out a scale-model experiment to devise a flame height model and to evaluat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flame.

  • PDF

건물의 인동거리 및 처마조건에 따른 화재확대 위험성 평가 실험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Spread Risk Asessment according to the Eaves Conditions and Building Arrangement)

  • 신이철;구인혁;임 길언;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536-541
    • /
    • 2010
  • 최근 도시화, 산업화 등으로 인하여 인구 및 도시시설이 밀집되어 자연적 재해 및 인위적 재난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오래된 시가지와 고지대주거지를 중심으로 재난에 무방비한 장소들이 존재한다. 이는 급속한 도시화 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도시기반시설이 정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질서한 도시팽창이 이루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도시화재 발생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시화재의 물리적 연소성상 예측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건물간격에 따른 유풍시에 개구분출화염의 성상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그렌펠 타워 화재를 고려한 주거시설 화재안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Safety of Residential Facility Considering Grenpel Tower Fire)

  • 이규민;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9-70
    • /
    • 2017
  • Recently, The Building has became high rising and large scaling according to development of economy in domestic and other country, also the building has increased a variety of functions of insulation for warmth. and it has a symbol of economic growth, but it has risk factor for disasters such as fire. this hazards include not only general building but also residential building. Recently, Grenfell Fire that occurred in England has increased in combustion to the 24th floor of the 1st floor for 1 hour. it resulted in 80 deaths and 79 missing persons. In this study we suggest basic data of residential building for fire safety design related to domestic environment to analyze the problem of Grenfell Tow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