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관연구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6초

문헌정보학분야의 논문평가에 관한 고찰 (Review on Library Science Research Evaluation in Korea)

  • 이승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99-2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논문들에 대한 평가내용들을 제시하고 과학적 연구와 질적 연구, 비실증적 연구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현재의 논문생산시스템을 제도적으로 보완하기 위해서는 개관적 연구분야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향후 이 분야의 활성화를 위하여 학회차원이나 학술진흥재단 차원에서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와 유사한 학술지를 연간으로 발행할 수도 있고 기존학회지에 개관논문들을 게재하도록 장려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분야의 권위자들이 한국의 도서관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내용을 정리하고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그 파급효과는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공공도서관 개관장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ounding Collection in Public Libraries)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3-320
    • /
    • 2017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고 개관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구축되는 개관장서 구성의 방법론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최근 지역자치단체 등이 공공도서관을 지속적으로 설립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반면, 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장서구성에 대한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일선에서는 혼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최근 개관한 10개 공공도서관의 개관장서 구축 사례를 검토하여 장서개발정책 수립, 장서구성기본계획 수립, 개관장서 규모 도출, 그리고 향토자료 구축 방안 등의 측면에서 표준적인 공공도서관 개관장서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기준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s for Public Library Opening Hours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9-71
    • /
    • 2013
  • 도서관은 지역주민이 장서 및 서비스를 가장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에 개관해야 한다. 달리 말해서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에게 적절한 개관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기구(IFLA/UNESCO)와 주요 국가(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호주, 중국과 대만, 일본, 한국)의 공공도서관기준을 대상으로 최소 개관시간을 분석하고 봉사대상인구에 기초하여 국내 공공도서관 자료실의 바람직한 주당 최소 개관시간 기준(1만명 미만은 45시간, 1만명~2만명 미만은 50시간, 2만명~5만명 미만은 55시간, 5만명~10만명 미만은 60시간, 10만명~30만명 미만은 65시간, 30만명 이상은 70시간)을 제안하였다.

鋼林 의 水冷却 에 있어서 傳熱現象 (II)

  • 최국광
    • 기계저널
    • /
    • 제21권1호
    • /
    • pp.56-60
    • /
    • 1981
  • 고온강재의 수냉각시에 대한 열 및 물질이동(증발) 현상에 대하여 최근의 연구를 개관하여 전 열연구자 입장에서 종합하여 보았다. 개관하여 전열연구자 입장에서 종합하여 보았다. 야금연구 자의 안목에서 보게 되면 극히 불만족하여 소논일지 모르지만 근본이 명확치 않은 현상에서는 우리들의 전열연구자 자신도 미흡한 감을 벗어나지 못한다. 어쨌든 가장 정량화하기 어려운 영 역을 실용범위로 하고 있는 것이 이해된다면 필자의 목적은 달성된 느낌이다.

  • PDF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개관시간 운영 방안 연구 - 김해시립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ning Hours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52-hour Working Week: Focused on Gimhae Municipal Library)

  • 김수경;이태안;이운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85-213
    • /
    • 2019
  • 연구의 목적은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인한 공공기관의 주52시간 근무에 따라 공공도서관 개관시간의 합리적 운영방안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6개 김해시립도서관이며, 연구내용은 김해시립도서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도서관 이용자와 직원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김해시립도서관의 개관시간 및 휴관일의 합리적 운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사례조사, 설문조사, FGI 조사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김해시립도서관의 휴관일과 개관시간의 운영안을 2가지로 제시하였다. 향후 일과 삶의 균형과 효율적인 도서관 운영을 위해 시민의 문화복지와 직원의 근로복지 간의 균형을 잡아가야 할 것이다.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 운영 개선에 대한 담당자 인식조사 연구 (An Investigative Study of the Awareness of Person in Charge on the Improvement of Extended Support Project Operation for the Public Libraries' Opening Hours)

  • 노영희;김동석;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5-14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이 가진 정보 접근성 향상, 생활복지 구현 등의 목적에 맞는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 현황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별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은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맞는 전략이 필요한 사업으로써 지역 중심의 운영계획을 마련을 통해 향후 국가지원에 의존하기 보다는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직원과 이용자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유연한 개관시간 연장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기존 정규직에 준하는 권리와 함께 의무와 책임을 함께 요구하는 조직 운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우리나라 전국 공공도서관이 특정 정책 및 사업에 대해 일관된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기 위해서는 향후 분리되어 있는 공공도서관 운영체계를 일원화 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사업의 지속성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 및 지침 마련이 필요하고, 이용자의 쾌적한 이용을 위한 공간 개선 지원 등 인건비 외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대구시 중장기 공공도서관 확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id- to Long-term Public Library Expansion Plan in Daegu City)

  • 윤희윤;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97-117
    • /
    • 2023
  • 본 연구는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중장기 확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관계 법령 및 통계데이터 분석, 사례조사, 의견·방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비스 권역은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총 14개 권역(중구·서구·남구·달성군은 각각 1개, 동구와 북구는 각각 2개, 수성구와 달서구는 각각 3개)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 확충 시나리오는 과거 13년간(2008-2020) 전국 도서관의 증가 추이 및 향후 10년간(2023-2032) 증가 예측을 바탕으로 최종 목표연도(2032년)까지 26개관을 추가하도록 제시하였다. 셋째, 건립 중에 있는 대구대표도서관을 제외한 기초자치단체별 건립 시나리오는 중구·서구·남구에 각각 1개관, 수성구에 2개관, 달성군에 3개관, 동구에 4개관, 북구와 달서구에 각각 7개관을 제시하였고, 연면적 규모별로는 법적 최저 기준인 330-2,499㎡(분관)을 17개관, 2,500-4,999㎡(거점관)와 5,000-9,999㎡(중앙관)를 각각 4개관 추가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조건정비를 전제로 대구시와 공공도서관은 포용·개방형 커뮤니티 공간화, 디지털 플랫폼 조성, 대구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운영·협력체계 강화, 지역거점관의 장서개발 및 서비스 특성화, 다양한 지식정보·프로그램서비스 충실화, 도서관 핵심지표 관리 및 기여도 제고 등에 주력해야 지역 지식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한국어의 이해와 산출의 심리적 과정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Processes of Korean: A Review on Psychological Research)

  • 이정모;이재호;김영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4년도 제6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22
    • /
    • 1994
  • 한국어의 이해와 산출의 심리적 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한국어의 통사적 구분분석처리 과정, 대용어 참조 해결 과정, 덩이글 이해와 지식구조의 활용 과정, 말실수와 글쓰기의 언어 산출 과정 등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를 개관하여 주요 실험적 결과와 이론적 의의를 논하고, 이들이 앞으로의 한국어 이해와 산출 과정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