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판형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6초

호안조성용 거치식 강판셀공법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laced Steel-Plate Cell Method for Construction of Seawall)

  • 박용명;오성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통권31호
    • /
    • pp.249-257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호안의 안벽 및 방파제의 조성에 있어 기존의 타공법에 비해 경제성, 공사기간 및 시공장비 측면에서 유리한 거치식 강판셀 공법의 설계 기법 및 구조적 건전성 확보를 위해 실시한 실험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강판셀 구조는 다수의 보강재와 셀-아크 연결부 등이 존재하는 얇은 쉘 구조로서 그 거동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계 기준에서 셀 및 아크 내부의 속채움 토압의 크기가 다소 모호하게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실규모의 원통형 단면벽 강판셀 구조$(D11.0^m{\times}H14.0^m{\times}12t)$를 설계 제작하여 해상에 거치하고 속채움을 한 후 현장 응력계측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세 구조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당 공법의 설계 기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PDF

리브로 보강한 전단 항복형 강판벽의 거동 (Behavior of Shear Yielding Thin Steel Plate Wall with Tib)

  • 윤명호;위지은;이명호;오상훈;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503-511
    • /
    • 2001
  • 건물의 내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전단벽과 가새 등의 내진요소가 사용된다. 대부분 철근콘크리트 건물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이 철골건물에서는 철골가새가 내진요소로 사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은 시공이 어렵고 원하는 소성 영역에서 연성(ductility)과 에너지 흡수능력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강도와 강성이 매우 높고 연성이 우수하며, 자중이 작아서 전단벽의 재료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안정적인 거동을 하도록 박강판의 양면에 리브판을 보강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실험은 강판벽의 폭높이비(D/H) 리브보강형태, 재하이력 등을 변수로 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 부터 강판벽의 제반 복원력특성을 분석 고찰하였다.

  • PDF

볼트 체결형 강판-콘크리트 합성보의 형상 제안 (The suggestion of Steel Plate-Concrete Composite Beam Shape with Bolts)

  • 조태구;최병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05-314
    • /
    • 2018
  • 강판 콘크리트 합성보는 강판, 콘크리트 및 2가지의 이질 재료를 결합시키는 전단 연결재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강판은 기존의 합성보에 용접하여 조립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 연결재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SPC(Steel Plate Concrete Composite Beam) 보라 불리는 새로운 강판 콘크리트 합성보를 개발했다. SPC 보는 전단 연결재 없이 절곡된 강판과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절곡된 강판은 용접 대신 고강도 볼트로 조립된다. 또한, 건설 현장에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슬래브와 접합부에 모자 모양의 Cap이 부착된다. 변위 제어 모드에서 2점 가력 실험을 수행하였고, 시편의 휨강도를 계산하기 위해 소성 응력 분포법과 변형률 적합법을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SPC 보의 휨 강도는 완전 합성보 강도의 76 %의 값이 나왔다. Cap은 스터드와 부속 철물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Cap의 간격 제어를 통해 합성율의 증가가 가능하고, SPC 합성보의 합성율을 고려할 경우 변형률 적합법을 통해 SPC 합성보의 휨 성능 평가가 가능하다.

유공형 판으로 전단보강된 넓은 보의 전단거동 평가 (Evaluation of Shear Capacity of Wide Beam Reinforced with Shear Plates with Openings)

  • 고명준;이영학;김민숙;박종일;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67-674
    • /
    • 2015
  • 본 논문은 유공형 판 형태로 전단보강한 넓은 보의 전단파괴 실험을 수행하여 넓은 보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무보강 시험체, 유공형 강판으로 전단보강된 시험체 5개와 유공형 GFRP로 보강된 시험체 5개 총 11개의 시험체를 전단파괴 실험을 통해 계측한 전단강도와 ACI-318 규준의 설계식을 통해 얻은 전단강도와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넓은 보의 전단보강재의 재료, 종방향 전단보강재의 간격과 횡방향 전단보강재의 간격을 변수로 하여 넓은 보의 거동과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종방향과 횡방향 전단보강재 간격이 줄어들수록 전단강도가 증가하고 사인장 균열이 적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단보강재의 재료인 강재와 GFRP에 상관없이 전단보강량이 동일하다면 넓은 보에서 비슷한 전단보강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중저감 철선일체형 중공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휨 및 전단내력에 대한 구조성능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n Flexural and Shear Capacity for Weight Reducing Steel Wire-Integrated Void Deck Plate Slab)

  • 김상섭;유덕수;부윤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11-42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에 오메가형 강판을 삽입한 중공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휨 및 전단내력의 구조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휨 및 전단내력에 대한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슬래브 두께를 주요 변수로 하여 150mm 실험체 5개와 200mm 실험체 3개를 제작하였다. 각 실험체는 기존의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1개씩과 콘크리트 토핑두께를 변수로 하는 2개씩의 실험체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결과 중공부에 형성에 의한 휨 및 전단내력에 대한 구조성능의 저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공 데크플레이트는 효과적으로 콘크리트 사용량을 저감하면서도 기존의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에 준하는 구조성능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지지부 조건에 따른 유공형 판으로 전단보강된 넓은 보의 전단성능 평가 (Evaluation of Shear Capacity of Wide Beams Reinforced with GFRP and Steel Plates with Openings by Various Supporting Areas)

  • 김희철;고명준;김민숙;이영학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269-275
    • /
    • 2016
  • 본 논문은 유공형 판 형태로 전단 보강한 넓은 보의 중심에 기둥을 삽입하여 연속한 두 경간으로 설계하여 전단파괴 실험을 통해 넓은 보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유공형 강판으로 전단 보강된 시험체 5개와 유공형 GFRP판으로 보강된 시험체 3개 총 8개의 시험체를 전단파괴 실험을 통해 계측한 전단강도와 ACI-318 규준의 설계식을 통해 얻은 전단강도와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넓은 보의 지지부 폭, 지지부의 형상과 전단보강재의 재료를 변수로 하여 넓은 보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지부 폭이 증가할수록 전단강도가 증가하고 하중의 집중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단보강재의 재료인 강재와 GFRP에 상관없이 전단보강량이 동일하다면 넓은 보에서 비슷한 전단보강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정형 조건에서의 스테인레스 강판의 충격 특성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stainless sheet on the fixed boundary condition)

  • 안동규;문경제;정창균;한길영;양동열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A
    • /
    • pp.48-53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mpact conditions on the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stainless sheet for the case of the fixed boundary conditions. In order to examine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sheet,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es and impact tests have been performed. High speed tensile tests have been carried out to obtain strain-stress relationships including the effects of the strain rate. In order to improve an accuracy of the FE analysis, the hyper-elastic model and the damping factor have been introduced. The results of the FE analyses and the impact tests have been shown that the diameter of the impact head does not affect the absorption energy of the stainless sheet.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absorption rate of energy maintains almost $82.5\;\sim\;83.5\;%$ irrespective of the impact energy level and the diameter of the impact head. From the results of FE analyses, the variation of stress and strain energy in the stainless sheet has been quantitatively examined.

  • PDF

점탄성 제진재를 이용한 비구속형 제진강판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Design of an Unconstrained Damping Steel Plate by Using Viscoelastic Damping Material)

  • 유영훈;양보석
    • 소음진동
    • /
    • 제5권4호
    • /
    • pp.493-501
    • /
    • 1995
  • Optimum design of a viscoelastic damping layer which is unconstrainedly cohered on a steel plate is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modal loss factor. Themodal loss factor is analyzed by using the energy method to the base steel plate and cohered damping layer. Optimum distributions of the viscoelastic damping layer for modes are obtained by sequentially changing the position of a piece of damping layer to another position which contributes to maximizing the modal loss factors. Analytical procedure performed by using this method simulated for 3 fundamental modes of an edge-fixed plate. Simulated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al loss factor ratios can be increase by as much as 210%, or more, by optimizing the thickness distribution of the damping layer to two times of the initial condition which is entirely covered. Optimum configurations for the modes are revealed by positions where added damping treatments become most effective. The calculated results by this method are validated by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calculated results obtained by the Ross-Ungar-Kerwin's model in the case of the layer is uniformly treated over the steel pl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