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제주입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Behavior of Hydrogen Embrittlement of Subsurface Zone in DP Steel (DP강 표면하 subsurface zone의 수소취화거동)

  • Gang, Gye-Myeong;Park, Jae-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3-195
    • /
    • 2011
  • 강판재 사용에 있어 수소취성현상은 강판재가 고강도화됨에 따라 그 감수성이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노출강판재의 경우, 표면으로부터 침투해 들어가는 수소에 의한 수소취화 거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DP강을 시험편으로 하여, 음극전기분해법에 의해 수소를 강제주입시킨 후, DP강 표면하 subsurface zone의 수소취화 거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미소경도분포 측정결과, 수소주입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하 subsurface zone의 경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수소에 의해 표면하 subsurface zone의 경화가 일어나 DP강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판단된다. 미소경도분포의 측정결과와 미세조직 관찰결과로부터 수소임계침투깊이를 평가하였고, 이를 통해 DP강내 수소확산에 의한 수소임계침투깊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mall Punch Test of TRIP Steel Charged with Hydrogen under Different Electrolyte Condition (다른 전해질분위기에서 수소주입시킨 TRIP강의 SP시험)

  • Kim, Kwang-Sig;Yoo, Kwang-Hyun;Park, Jae-Woo;Kang, Kae-M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9 no.1
    • /
    • pp.64-70
    • /
    • 2015
  •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ee of hydrogen embrittlement of TRIP steels charged with hydrogen according to varying the current density and the charging time under acid and alkaline electrolyte conditions were tested by small punch test. The results of SP test showed that the degree of hydrogen embrittlement at acid electrolyte condition was more effective factor compared to that of alkaline electrolyte condition. Therefore, all of the charging time and the charging current density were at the condition of acid electrolyte appeared as the main factor of the degree of hydrogen embrittlement in the condition of acid electrolyte. But, it was considered that the charging time compared to the charging current density at the condition of alkaline electrolyte was more effective factor to raise the degree of hydrogen embrittlement.

Time Course of $CO_2$ Exchange of Sweetpotato Cultures In Vitro with Different $CO_2$ Concentration under Forced Ventilation (고구마 조직배양묘의 $CO_2$교환량 연속 측정)

  • 오양숙;고재풍수;정순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17-2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고구마 조직배양묘의 $CO_2$ 교환량을 측정하기위해 개방형 광합성측정장치의 원리를 이용해 자체제작한 $CO_2$ 교환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공기 주입구와 배출구의 $CO_2$ 농도를 연속측정하고, 명기와 암기에 있어서의 $CO_2$ 교환량의 일변화를 분석했다. 내용적 1.48$\ell$의 배양기에 32개의 식물체를 이식했을 때 식물체당 일일 $CO_2$ 교환량은 19일째에 포화에 달했다. 식물체 생장에 있어서는 자연환기구보다 강제환기구의 생장이 촉진되었고, 강제환기구에서는 $CO_2$ 시용구가 무시용구보다 생장이 촉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구마 조직배양묘를 강제환기와 $CO_2$ 시용등 배양환경의 개선함으로써 순환과정을 거치지 않고 포장정식이 가능한 배양묘나 삽수의 생산이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 PDF

The Change of Microstructures According to the Charging Amounts of Hydrogen in High Strength DP Steels and TRIP Steel (고강도 DP강과 TRIP강의 표면 수소 주입량에 따른 수소취성평가)

  • Park, Jae-U;Lee, Cheol-Chi;Gang, Gye-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5a
    • /
    • pp.252-253
    • /
    • 2012
  • 음극전기분해법을 이용하여 고강도 DP강과 TRIP강에 수소를 강제 주입시켜, 시험편 내 수소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표면하 미소경도분포 측정과 소형펀치시험 및 파단면 관찰을 통하여 수소주입량에 따른 고강도 박강판재의 수소침투 및 수소취화거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DP강은 강도가 클수록 높은 수소량으로 조사되었고, TRIP강은 DP강에 비해 주입된 수소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미소경도분포 및 소형펀치시험에서도 DP강은 TRIP강에 비해 수소취성에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The Physical Properties Variation of Grout Materials and Improvement of Grouting Effects on Application of High Performance Injection Equipment (고성능 주입장비의 적용에 따른 주입재의 물성변화 및 주입효과 증진에 관한 연구)

  • 천병식;김진춘;김백영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4
    • /
    • pp.179-190
    • /
    • 2003
  • The grout based on solution type makes it difficult to get the improvement of ground strength and the effefct of water curtain because it has lower strength and durability than suspension type. Nowadays, the technology of particle acceleration, that enhance the material permeability, such as grout based on solution type, and inexpensive grout, is being required. For these reasons, in this study, using wet milling system, we evaluated physical properties of manufactured factors such as water-cement ratio of particles before being milled, optimum milling capacity by controlling milling time and rpm, viscosity of materials, permeation coefficient,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lso, using micro wet milling apparatus which could manufacture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high speed shear mix which could forcefully separate conglomerate particles in situ, we performed electrical resistivity investigation and falling head permeability tests to analyze differences of grouting effects.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e permeability of the applied equipment was much superior, and in the case of using high speed shear mixer, particles of grout material were well separated.

The Hydrogen Behavior of Surface Layers of High Strength DP Thin Sheet Steels for Automobile (자동차 박강판용 고강도 DP강 표면층의 수소거동)

  • Park, Jae-Woo;Kang, Kae-M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4 no.6
    • /
    • pp.38-43
    • /
    • 2010
  • According to the lack of resources and the stringency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a study of the high strength thin plate sheet steels for automobile have been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automobile industry. However, the problem of hydrogen embrittlement of high strength sheet steels was concerned with the degrad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we studied the hydrogen behavior of surface layers of 590MPa DP sheet steels on development using by relationship the microstructure of subsurface and the distribution of micro hardnesses. Hydrogen was charged into the specimens using by the cathodic electrolytic method. The behavors of under surface layers were investigated by the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s and the micro vickers hardness test with the amount of hydrogen charging with hydrogen charging conditions.

피동형 원자로의 Hydraulic Valve에 관한 연구

  • 김융석;김상녕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430-436
    • /
    • 1997
  • 피동형 원자로에서 냉각수 펌프의 작동불능시나 계통 내의 강제 순환이 충분치 못할 경우, 냉각수와 분리된 비상 저온 고농축의 붕산수를 노심에 피동으로 주입시키고 자연 대류에 의한 잔열 제거가 이루어져야 한다. PIUS형 원자로나 SPWR형 원자로에서는 Honeycomb구조의 Density Lock을 사용하여 Shutdown 및 잔열 제거 기능을 수행하며 정상운전시에는Primary Coolant(고온, 저농축 붕산수)와 Pool Water(저온, 고농축 붕산수)를 분리하고 있다. Density Lock을 사용할 경우, 기동 운전이나 출력 변경과 같은 비정상 운전시 Density Lock을 통하여 노심으로 Pool Water가 유입될 수가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Pool Water의 유입을 방지하고 피동형 원자로의 설계 개념을 만족시키며, 피동적으로 강제 순환으로부터 자연 순환으로의 경로를 열어 줄 수 있는 Hydraulic Valve에 대한 이론적 해석을 수행하여 실제 밸브를 제작하여 실험을 통해 이론과 비교하고 Valve의 특성곡선을 개발한다.

  • PDF

피동형 원자로의 Hydraulic Valve에 관한 연구

  • 강신철;김상녕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469-474
    • /
    • 1995
  • 피동형 원자로에서 냉각수 펌프의 작동불능시나 계통내의 강제순환이 충분치 못할 경우, 냉각수와 분리된 비상저온 고농축의 붕산수를 노심에 피동으로 주입시키고 자연대류에 의한 잔열제거가 이루어져야 한다. PIUS형 원자로나 SPWR형 원자로에서는 Honeycomb구조의 Density Lock을 사용하여 Shutdown 및 잔열제거기능을 수행하며 정상운전시에는 Primary Coolant(고온, 저농축 붕산수)와 Pool Water(저온, 고농축 붕산수)를 분리하고 있다. Density Lock을 사용할 경우 기동운전이나 출력변경과 같은 비정상 운전시 Density Lock의 경계가 불안정하고 제어가 용이치 않으므로 Pool의 저온, 고농축 보론수가 Density Lock을 통하여 노심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Pool Water의 유입을 방지하고 피동형 원자로의 설계개념을 만족시키며, 피동적으로 강제순환으로부터 자연순환으로의 경로를 열어줄 수 있는 Hydraulic Valve에 대한 이론적 해석을 수행하여 모델밸브의 주요변수와 제원을 결정하였다.

  • PDF

피동형 원자로의 Hydraulic Valve에 관한 연구

  • 김상녕;김융석;강신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179-185
    • /
    • 1996
  • 피동형 원자로에서 냉각수 펌프의 작동불능시나 계통 내의 강제 순환이 충분치 못할 경우, 냉각수와 분리된 비상저온 고농축의 붕산수를 노심에 피동으로 주입시키고 자연 대류에 의한 잔열 제거가 이루어져야 한다. PIUS형 원자로나 SPWR형 원자로에서는 Honeycomb구조의 Density Lock을 사용하여 Shutdown 및 잔열 제거 기능을 수행하며 정상운전시에는 Primary Coolant(고온, 저농축 붕산수)와 Pool Water(저온, 고농축 붕산수)를 분리하고 있다. Density Lock을 사용할 경우, 기동 운전이나 출력 변경과 같은 비정상 운전시 Density Lock을 통하여 노심으로 Pool Water가 유입될 수가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Pool Water의 유입을 방지하고 피동형 원자로의 설계 개념을 만족시키며, 피동적으로 강제 순환으로부터 자연 순환으로의 경로를 열어 줄 수 있는 Hydrauric Valve에 대한 이론적 해석을 수행하여 실제 밸브를 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