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 자료

Search Result 2,86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and Estimation of Loss-Rainfall due to Change in evapotranspiration (Target Seomjin Upper bassin) (증발산량 변화에 따른 손실량 추정 및 원인분석 (섬진강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 Lee, Dae Wung;Lee, Chung Dae;Kim, Ch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7-257
    • /
    • 2020
  • 오늘날 지구촌은 1880년 이후 지구온난화로 인해 빈번해진 이상기후로 평균기온이 약 0.85℃ 상승하였으며, 강우특성의 변화로 초과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단기간의 집중호우 증가 및 강우일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홍수기(7월~9월)에 집중되었던 태풍 및 강우사상이 가을까지(2019년 11월 태풍 횟수 : 6회) 지속되고 있으며, 용수수요가 집중되는 관개기간에 기후변화 영향으로 무강우기간 동안 증발산량이 증가하여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 감소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유역의 갈수예보 활용지점인 곡성군(금곡교) 관측소의 실측된 수문자료를 바탕으로 유출검토를 실시하였고 취수시설물의 영향을 고려한 순유출률을 산정하였다. 5개년 유출특성을 분석한 결과 강수량 대비 년도별 유사한 순유출을 나타내는 반면에 손실량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18년의 경우 6월 말~7월 초에 발생한 약 300mm의 강우사상 이후 32일간의 무강우기간(평년 기준 : 18일)의 증발산량 영향으로 많은 손실량이 발생하였다.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일조시간, 평균기온, 무강우기간의 증가를 예견하고 있으며 강수량 뿐 아니라 기상조건이 유역 내 유출특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증발산량 산정공식 수정 Blaney-criddle Method는 평균기온, 일조시간을 활용한 잠재 증발산량 산정방법으로 정확한 유역 특성을 고려하지는 못하지만 연구결과에서 보여주듯이 한정된 기상자료를 통한 증발산량 산정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증발산량 산정방법과 비교 및 증발산량 관측장비의 활용방안 검토를 통해 분석된 증발산량자료의 품질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Rainfall-Pattern Analysis for determination of Design flow in small watershed (소유역의 설계유량 산정을 위한 강우현상 분석에 관한 연구)

  • 박찬영;서병우
    • Water for future
    • /
    • v.14 no.4
    • /
    • pp.13-18
    • /
    • 1981
  • The rainfall pattern analysis on tim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ainfall rates in important in determination of design flow for hydraulic structures, particularly in urban area drainage network system design. The historical data from about 400 storm samples during 31 years in Seoul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time distribution of 5-minute rainfall in the warm season. Time distribution relations have been deveolped for heavy stroms over 20mm in total rainfall and represented by relation percentage of total storm rainfall to percentage of total storm time and group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quartile in which rainfall was heaviest. And also time distribution presented in probability terms to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inter-strom variability. The resulted time distribution relations are applicable to construction of rainfall hyetograph of design storm for determination of design flow hydrograph and identification of rainfall pattern at given watershed area. They can be used in conjuction with informations on spatstorm models for hydrologic applications. It was found that second-quartile storms occurred most frequently and fourth-quartile storms most infrequently. The tim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resulted in this study have been presented in graphic forms such as time distribution curves with probability in cumulative percent of storm-time and precipitation, and selected histograms for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quartile stroms.

  • PDF

A Method to Evaluate the Radar Rainfall Accuracy for Hydrological Application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레이더 강우의 정확도 평가 방법)

  • Bae, Deg-Hyo;Phuong, Tran Ahn;Yoon, Seong-Si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12
    • /
    • pp.1039-1052
    • /
    • 2009
  • Radar measurement with high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s can be a valuable source of data, especially in the areas where rain gauge installment is not practical. However, this kind of data brings with it many error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ethod to evaluate statisticall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ccuracy at different radar ranges, temporal intervals and raingage densities and use a bias adjustment technique to improve the quality of radar rainfall for the purpose of hydrological application. The method is tested with the data of 2 storm events collected at Jindo (S band) and Kwanak (C band) radar stations. The obtained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of radar rainfall estimation increases when time interval rises. Radar data at the shorter range seems to be more accurate than the further one, especially for C-band radar. Using the Monte Carlo simulation experiment, we find out that the sampling error of the bias between radar and gauge rainfall reduces nonlinearly with increasing raingage density. The accuracy can be improved considerably if the real-time bias adjustment is applied, making adjusted radar rainfall to be adequately good to apply for hydrological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Washed-off from Highways with Storm Runoff Duration (아스팔트 포장 고속도로의 강우 지속시간별 오염물질 유출 경향)

  • Kim Lee-Hyun;Lee Eun-Ju;Ko Seok-Oh;Kang Hee-Ma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8 no.1 s.27
    • /
    • pp.99-106
    • /
    • 2006
  • During the dry periods, many types of pollutant are accumulating on the paved surface by vehicle activities. Particularly, the highways are stormwater intensive landuses because of high imperviousness and high pollutant mass emissions from vehicles. The accumulated pollutants in highways are washed-off during a rainfall event and are highly contributing on water quality of receiving water bodies. The stormwater runoff from the highways are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such as metals, oil & grease and toxic chemicals originated from vehicles. Therefore, this research is performed to find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the magnitude of statistical pollutant concentrations during storm periods. During the monitoring periods, the first-flush phenomenon is visibly occurred on most storm events, which is confirmed from hydro- and pollute-graphs. The 95% confidence intervals of washed-off pollutant concentration are ranged to 154.7-257.1 mg/L for 755,138.9-197.6 mg/L for COD, 3.5-6.4 mg/L for oil & grease, 6.3-9.2 mg/L for TN and 2.3-3.31 mg/L for TP. The first flush effect is mostly occurred within initial 30 min of storm duration.

  • PDF

Development of Radar Polygon Method : Areal Rainfall Estimation Technique Based on the Probability of Similar Rainfall Occurrence (Radar Polygon 기법의 개발 : 유사강우발생 확률에 근거한 면적강우량 산정기법)

  • Cho, Woonki;Lee, Dongryul;Lee, Jaehyeon;Kim, Dongk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11
    • /
    • pp.937-944
    • /
    • 2015
  • This study proposed a novel technique, namely the Radar Polygon Method (RPM), for areal rainfall estimation based on radar precipitation data. The RPM algorithm has the following steps: 1. Determine a map of the similar rainfall occurrence of which each grid cell contains the binary information on whether the grid cell rainfall is similar to that of the observation gage; 2. Determine the similar rainfall probability map for each gage of which each grid cell contains the probability of having the rainfall similar to that of the observation gage; 3. Determine the governing territory of each gage by comparing the probability maps of the gages. RPM method was applied to the Anseong stream basin. Radar Polygons and Thiessen Polygons of the study area were similar to each other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eing greater for the rain gage highly influenced by the orography. However, the weight factor between the two were similar with each oth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ioneer a new application field of radar rainfall data that has been limited due to short observation period and low accuracy.

Chaotic Disaggregation of Daily Rainfall Time Series (카오스를 이용한 일 강우자료의 시간적 분해)

  • Kyoung, Min-Soo;Sivakumar, Bellie;Kim, Hung-Soo;Kim, Byu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9
    • /
    • pp.959-967
    • /
    • 2008
  • Disaggregation techniques are widely used to transform observed daily rainfall values into hourly ones, which serve as important inputs for flood forecasting purposes. However, an important limitation with most of the existing disaggregation techniques is that they treat the rainfall process as a realization of a stochastic process, thus raising questions on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models on one hand and the underlying physics of the rainfall process on the other. The present study introduces a nonlinear deterministic (and specifically chaotic) framework to stud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rainfall distributions across different temporal scales (i.e. weights between scales), and thus the possibility of rainfall disaggregation. Rainfall data from the Seoul station (recor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re considered for the present investigation, and weights between only successively doubled resolutions (i.e., 24-hr to 12-hr, 12-hr to 6-hr, 6-hr to 3-hr) are analyzed. The correlation dimension method i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chaotic behavior in the time series of weights, and a local approximation technique is employed for rainfall disaggregation. The results indicate the presence of chaotic behavior in the dynamics of weights between the successively doubled scales studied. The modeled (disaggregated) rainfall values a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ones in their overall matching (e.g.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ow mean square error). While the general trend (rainfall amount and time of occurrence) is clearly captured, an underestimation of the maximum values are found.

Study on Runoff Variation by Spatial Resolution of Input GIS Data by using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입력자료 해상도에 따른 유출변동 연구)

  • Jung, Chung Gil;Moon, Jang Won;Lee, Dong Ry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9
    • /
    • pp.767-776
    • /
    • 2014
  • Changes in climate have largely increased concentrated heavy rainfall, which in turn is causing enormous damages to humans and properties. Floods are one of the most deadly and damaging natural disasters known to mankind. The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concentrates on reducing injuries, deaths,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floods. Therefore, the exact relationship and the spatial variability analysis of hydrometeorologic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 factors is critical elements to reduce the uncertainty in rainfall-runoff model. In this study, grid resolution depending on the topographic factor in rainfall-runoff models presents how to respond. semi-distribution of rainfall-runoff model using the model GRM simulated and calibrated rainfall-runoff in the Gamcheon and Naeseongcheon watershed. To run the GRM model, input grid data used rainfall (two event), DEM, landuse and soil. This study selected cell size of 500 m(basic), 1 km, 2 km, 5 km, 10 km and 12 km.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each grid, in order to compare simulation results, the runoff hydrograph has been made and the runoff has also been simulated. As a result, runoff volume and peak discharge which simulated cell size of DEM 500 m~12 km were continuously reduced. that results showed decrease tendency. However, input grid data except for DEM have not contributed increase or decrease runoff tendenc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increased cell size of DEM make the more decreased slope value because of the increased horizontal distance.

Analysis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tancheon Catchment 2017 (2017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41-345
    • /
    • 2018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하천경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홍수 관리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기간의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심한 홍수, 가뭄 등 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재해 방재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 대하천의 경우에는 비교적 수재해 방재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하천(일부 중하천 포함)의 경우에는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홍수기간(7월~9월)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주로 소하천 위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전 사후의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수재해 방재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수문자료의 획득에 있으며, 그 이후 해당 유역에 적합한 수재해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과 방재시스템 개발 운영이 수반되어야 안전한 방재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재해 방재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 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 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유역면적 $190.64km^2$,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7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특성, 유출특성, 증발산량 등 수문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과거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우특성 분석으로는 호우사상 분리, 주요 호우사상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시간분포 등이 있다. 2017년은 2016년보다 최대 강우지속기간과 평균 강우지속기간은 크게, 최대 강우강도는 작게, 평균 강우강도는 크게 나타나는 호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7년의 하천유출률은 강우량 대비 53.1%(장진교, 유역출구)와 60.4%(보막교, 중간소유역)로 과거 5년간의 평균 유출률인 장진교(52.4%)와 4년간의 평균유출률인 보막교(58.8%)와 비슷한 값을 보인다. 강우유출특성 분석결과 연간 강우량은 다소 적었지만, 평균 강우강도의 증가에 기인하여 2017년의 연간 하천유출량은 2016년보다 장진교는 약 39.5%의 증가와 보막교는 약 2.9% 감소가 하였다. 수문학적 동질성 갖는 유역에서 하천유출량의 차이는 강우량 발생 시기(2016년의 경우는 10월에 215.7mm의 강우량 발생)와 토지이용(중 하류부 농경지 발달)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17년의 증발산량은 강우량 대비 장진교는 38.4%, 보막교 35.1%로 2016년 장진교의 50.1%보다는 감소하고, 보막교의 35.4%와는 비슷한 값을 보인다. 온도, 습도, 풍속, 일조시간에 영향을 받는 증발산량은 2016년 대비 기온(일최고/일최저)의 감소(90.6%) 습도(일최대/일평균/일최저)의 감소(98.5%), 일평균 풍속의 감소(54.7%)에 기인하여 적은 증발산량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수문자료는 수재해 방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므로 지속적인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필요하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Methods for Outlier Test of Rainfall in Korea (국내 강우의 이상치검정 방법의 비교 연구)

  • Lee, Jung Sik;Shin, Chang 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59-359
    • /
    • 2018
  • 이상치는 표본자료에서 크게 어긋나 다른 자료들로부터 떨어져 표시되는 자료로써, 실제로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은 자료로 정의되고 있다.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적용하고 있는 극치계열의 연최대치 강우자료에는 기계오작동 및 엔지니어의 표독오류가 발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거대태풍 및 국지적인 집중호우 발생 등으로 인한 극치값 등에서 이상치가 관측되고 있다. 통상 이상치들은 통계분석시 자료 본연의 특성을 왜곡시켜 편향된 결과를 산정할 수 있으므로 빈도해석시 이상치해석 절차를 수행하여 자료의 적정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현재 실무에서는 설계홍수량 산정요령과 하천설계기준 해설 등에서 관련 내용을 기술하고 있지만, 국내 강우자료의 기록연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빈도해석시 이상치 해석이 미수행되고 있어 이상치에 따른 자료편의가 발생하면 결과물인 확률강우량이 왜곡되게 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도시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이상치검정을 수행하였다. 대상지점으로는 서울, 부산, 대전, 대구, 인천, 광주, 울산 등의 비교적 긴 관측년수를 보유하고 있는 광역시를 선정하였으며, 지속기간은 10분, 1~24시간의 25개 강우자료를 적용하였다. 이상치검정 방법으로는 타 방법에 비하여 이상치 검정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2가지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표본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준화된 z값을 이용하여 상 하 한계선를 초과하는 값을 확인하는 z-Score 방법중 향상된 중위수 절대편차(MAD)에 의한 수정 z-Score 방법(Hoaglin, 1993)과 Box-Plot 방법(Tukey, 1969)을 적용하였다. Box-Plot 방법(Tukey, 1969)은 전체 자료를 25%씩 사분위로 구분하는 방법으로 정렬된 자료계열을 중앙값, 박스, 수염(whiskers), 이상치로 구분한다. 정렬된 25~75% 값들을 박스로 포함하여 외곽의 수염값들을 이상치로 분류하며, 특히 사분위수의 도식화로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하기 좋으며, 이상치들의 위치와 자료의 비대칭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수정 z-Score 방법의 경우에는 서울과 대구지점에는 이상치가 없으며, 부산지점에는 13개, 대전지점 7개, 인천지점 5개, 광주지점 32개, 울산지점 26개가 나타났다. Box-Plot 방법으로는 서울지점 35개, 부산지점 39개, 대전지점 32개, 대구지점 38개, 인천지점 51개, 광주지점 61개, 울산지점 65개의 이상치가 분석되었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수정 z-Score 방법에 비하여 Box-Plot 방법에 의한 이상치가 더 많이 발생하였으며, 각각의 방법으로 지속기간 및 연도별 이상치 발생자료를 확인하였다. 방법별 이상치 발생현황 등을 분석하여 지점별 발생횟수를 분석하였으며, 추후 지점 및 자료의 보완이 수행되면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the ENSO Impact on Frequenc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in South Korea (ENSO가 우리나라 강우의 확률빈도와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

  • Kim, Soo Jun;Kim, Byung Sik;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2
    • /
    • pp.143-15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impacts of ENSO on frequenc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First, rainfall data in 60 climate stations were categorized into Warm(El Nino), Cold(La Nina), Normal episodes based on the Cold & Warm Episodes by Season, then 100 years of daily rainfall data were generated for each episodic events(El Nino, La Nina, Normal) using Markov Chain model. Finally, Estimating frequency based flood and comparison for each episodes were conducted. From the results, i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rainfall frequency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among Warm(EL Nino), Cold(La Nina) and Normal episo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