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 자료

Search Result 2,86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Impact of ENSO on Time-Spatial Characteristics of Probable Rainfall Frequency Analysis (ENSO가 한반도의 확률강우량의 시공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Byung-Sik;Kim, Soo-J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09-313
    • /
    • 2008
  • 본 논문의 목적은 ENSO의 영향에 의한 우리나라 강우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관측소의 강우량 자료를 Warm(El Nino), Cold(La Nina), Normal 에피소드에 따라 기간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렇게 분류한 자료는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하여 100년의 자료로 모의 발생하였고 에피소드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에피소드에 따라 각 기상관측소별로 강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각 에피소드의 공간적인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Warm(El Nino), Cold(La Nina) and Normal 에피소드로 대표되는 ENSO는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Rainfall-Runoff Analysis by Calculation of the Time Distribution Models for Storms (降雨의 時間 分布模型 算定에 의한 降雨-流出 解析)

  • 민경형;이영대
    • Water for future
    • /
    • v.29 no.6
    • /
    • pp.189-201
    • /
    • 1996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time distribution models of rainfall in Korea for estimating design floods and to suggest new runoff model(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IUH) in order to be easily use the rainfall-runoff model put rainfall models practice to be suitable fo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hydrologic situation by practicing engineers. As a result, the reappearance of triangular hyetograph and GIUH runoff model showed promising. The historical data from about 13,000 event-rainfalls and 73 rainfall-runoff measuring data during 12 years in International Hydrological Program (IHP) basins have been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factors of the time distribution for rainfalls by the Yen-Chow, Huff, Pilgrim-Cordery and Mononobe models. The Rational, Kajiyama, Nakayasu and Clark model and GIUH model that this study runoff model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limit for basin area against design concept by the estimation of flood runoff and the derivation of empirical equations to estimate the parameters for ungaged basins.

  • PD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Korea (한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간의 상관관계)

  • Yang, Jeong-Seok;Kim, Nam-K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3B
    • /
    • pp.265-276
    • /
    • 2011
  • Precipitation data and groundwater level data were collected for Korean peninsular and Jeju isl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oundwater level were analyzed. Critical infiltration, which is the spatially averaged maximum daily infiltration depth over interested region, is considered when the precipitation data was modified for moving average proces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modified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High correlation regions, which have greater than 0.6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elected after the analysis with ciritical infiltration. Twenty-six regions were selected for high correlation regions. If we divide the regions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 are nine regions for Gyungsang-Do, five regions for Chunchung-Do, four regions for Gyunggi-Do and Gangwon-Do, three regions for Jolla-Do, and one region for Jeju island. The groundwater level data for high correlation regions shows obvious response after precipitation event and there are few cases with abrupt change in groundwater level without precipitation-related event.

강우-유출 사상에 대한 합류부에서 배수영향에 따른 유출특성 검토

  • Lee, Tae-Hui;Park, Hyeon-Geun;Lee, Yeon-Gil;Jeong, S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5-315
    • /
    • 2011
  • 본류와 지류가 합류되는 합류부에서는 배수영향으로 수위가 증가하더라도 수면경사가 완만해져 감속흐름이 발생하고 배수영향을 받지 않는 동수위보다 유량이 감소하는 수리특성이 나타난다. 또한 지류의 유역면적이 본 류의 유역면적과 비슷한 경우 홍수사상에 따라 역류현상이 발생하여 본류 유역에서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본류의 수위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수위-유량관계에 있어서도 복잡한 현상이 발생하여 단일 수위-유량관계곡선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과 평창강이 합류되는 각 하천 하류에 위치한 국토해양부 팔괴 수위관측소와 영월 수위관측소에서의 강우-유출 사상에 따라 변이하는 유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강우 사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평창강 유역의 대표 강우관측소인 유천 및 방림 강우관측소와 한강 상류유역의 대표 강우관측소인 대기 및 정선 강우관측소의 2010년 3월과 7월의 강우 사상을 비교하였다. 또한 유출 사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평창강 유역 하류의 팔괴 수위관측소와 한강 상류유역 하류의 영월 수위관측소의 2010년 3월 15일부터 17일과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두 사상에 대한 관측자료, 2010년 3월 16일과 7월 17일에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확보한 측정자료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홍수사상에 따른 한강과 평창강 합류부에서의 배수영향 및 역류현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8년 7월 및 2010년 9월의 유량측정을 통하여 확보한 측정자료를 바탕으로 수리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림 1에는 한강 및 평창강 유역의 대표 강우관측소의 위치와 각 유역 출구점인 수위관측소의 위치를 도시하였다.

  • PDF

Rainfall and Flood Forecasts using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from Korea and Japan (수치예보자료를 이용한 강우 및 홍수 예측 평가 : 한국-일본 비교)

  • Yu, Wansik;Hwang, Euiho;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5-305
    • /
    • 2019
  • 태풍에 의한 재해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최근 들어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치수증대사업으로 하천 범람의 재해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도시지역의 경우 도시개발에 따른 내수 범람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산지에서는 토석류 등의 토사 재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치수사업 등과 같은 구조적인 대책도 필요하지만, 정확한 홍수 예 경보를 통한 대비시간의 확보 등과 같은 비구조적인 대책도 중요하며, 홍수 예 경보를 통한 선행시간(Lead time)확보를 위해 강우 및 홍수예측 시스템 구축이 하나의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강우예측 기법으로는 레이더(Radar)를 통해 관측된 자료를 외삽하는 초단기 강우예측기법이 최근까지 많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컴퓨터 계산 능력이 향상되면서 수치예보(Numerical Weather Prediction; NWP) 모델을 이용한 강우예측 및 수문학적 적용에 관한 연구들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예보모델을 이용하여 기상 및 수자원 간의 연계를 통한 강우 및 홍수 예측에 활용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한국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국지예보모델(LDAPS)과 예측 도메인에 한국을 포함하는 일본 기상청의 중규모 모델(MSM)을 이용하여 남강댐 유역 내 산청 유역에 대해 강우 및 홍수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고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LDAPS와 MSM은 사용하는 수치모델, 물리과정 매개변수, 자료동화 기법 및 지배 방정식 등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를 하는데 무리가 있지만 국내의 강우 및 홍수 예측 분야에서의 각 수치예보모델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Validation of spatial rainfall measurement of an electromagnetic wave rain gauge (전파강수계의 강우 공간분포 측정 성능 검증)

  • Lee, Jung Duk;Kim, Won;Lee, Chanjoo;Lim, Sanghun;Kim,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2-232
    • /
    • 2021
  • 수재해 저감과 예방을 위해서는 공간적 변동성을 반영한 정확한 면적 강우량의 측정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4 GHz 이중편파 전자파를 기반으로 소규모 공간 범위에 대해 저고도의 지상 강우를 30 m의 거리해상도로 관측할 수 있는 전파강수계가 개발되었다. 전파강수계는 시제품이 개발된 이래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천센터와 국내 여러 현장과 인도네시아 등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임상훈 등(2020)은 전파강수계의 반사도와 비차등위상차를 이용한 강우 추정식을 개발하여 연천 및 거제 관측 자료에 적용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천센터에 분산 배치한 우량계 자료를 이용하여 전파강수계의 강우 공간분포 측정 성능을 평가하였다. 공간우량계는 15대 중 음영구역 바깥에서 정상 작동한 7개의 0.5mm급 우량계 자료와 핏게이지에 있는 0.2mm급 우량계 2대가 비교에 사용되었다. 전파강수계 강우강도는 비교 위치에 해당하는 점 주변의 레이 방향 5개(37.5 m에 해당) 및 방위각 방향 5개 게이트 등 총 25개의 복셀에서 산출된 강우 정보를 평균하여 비교하였다. 정확도는 지상우량계를 참값으로 보고 MAE(Mean absolute error)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평균 4.2%의 오차를 보였으며, 우량계의 오차를 ±5%로 가정할 경우 3.3~7.9%로 나타났다. 전파강수계의 누적 강우량 값은 강우계에 비해 작은데, 이는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강우 산정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PDF

Flow Estimation Using Rainfalls Derived from Multiple Satellite Images in North Korea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

  • KIM, Joo-Hun;CHOI, Yun-Seok;KIM, Kyung-T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4
    • /
    • pp.31-4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lood flow of inaccessible regions using satellite-derived rainfall and global geographic data. This study focuses on Dongsingun, an area located upstream of the Cheongcheon River in North Korea. The IFAS model was used to estimate flood flow. The model was calibrated in the Gap Stream watershed in South Korea and verified for the Byeongsung Stream watersh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Satellite-derived rainfalls for North Korea was revised using ground gauge data. Analysis results using CMORPH and GSMaP_NRT showed $4,886m^3/s$ and $5,718m^3/s$ respectively. In future studies, hydrological analysis in unmeasured and inaccessible regions will be carried out by applying more rainfall events.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using Satellite-derived Rainfall in Abroad Watershed (위성강우를 이용한 해외 유역 홍수량 추정)

  • Kim, Joo Hun;Choi, Yun Seok;Kim, Kyeo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0-250
    • /
    • 2017
  • 글로벌 위성 기반의 강수량 관측에 대한 역사는 1979년에 Arkin의 의해 제안된 IR방법에 의해 위성으로부터 강우자료를 유도하는 개념이 도입된 이후 1987년 해양에서의 비교적 정확한 강수량 추정이 가능한 다중 채널의 마이크로파(MW) 복사계를 이용한 방법으로 위성강수 추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후 두 IR과 MW를 혼합한 방법에서, 또다시 1997년 TRMM위성의 PR(Precpipitation Radar)의 레이더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2014년 GPM 핵심 위성(GPM Core Observatory)에 탑재된 Dual PR에 의한 방법으로 위성강수의 정확도를 매우 높여가고 있다. 본 연구는 KOICA 사업으로 진행중인 모로코 세부강 유역 홍수방지 마스터플랜 사업에서 모로코 세부강 유역의 2010년 홍수사상에 대한 위성강우 및 지상계측 일일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유출량을 추정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모로코 세부강(Oued Sebou) 유역은 모로코의 서북부에 위치하며 유역면적은 한강유역과 유사한 $38,380km^2$이고 하천연장은 450km로 모로코 국토면적의 약 7% 정도를 차지하며 모로코 농업생산의 중심지역이고 유역의 기후 및 기상 특성은 겨울철 온난다습하고 여름에 고온 건조한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내며, 연강수량은 400mm이상으로 보고하고 있다(이산 등, 2015). 유역내 49개 관측소의 일일 강우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유역 산술평균 강수량은 607.1mm/yr로 분석되었고, 2010년 가장 많은 강수를 기록한 지역은 Jbel oudka로 1874.1mm/yr였고, 가장 적은 강수량을 기록한 지역은 Allal Al Fassi - Barrage로 289.9mm/yr로 나타났다. 2010년 홍수가 발생한 시기인 2009년 12월 19일부터 2010년 1월 18일까지의 1시간 간격의 위성강우자료와 1일 관측 지상계측자료를 합성하여 위성보정강우량을 추정하였다. 보정 방법은 순위상관방법을 적용하였다. 사용한 모형은 일본 ICHARM에서 개발한 IFAS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MapWindow 기반 GRM 모형(mwGRM)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용 결과 세부강 유역 본류의 첨두유출량은 $6,010m^3/s$(mwGRM)과 $5,878m^3/s$(IFAS)로 분석되었다. 향후 위성강우 및 지상계측 강우의 시계열적 정확도와 총강우량 등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

  • PDF

Prospect of Design Rainfall in Urban A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도시지역의 확률강우량 전망)

  • Son, Ah Long;Bae, Sung Hwan;Han, Kun Yeun;Cho, Wan 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6
    • /
    • pp.683-696
    • /
    • 2013
  • Recent inundation damage has frequently occurred due to heavy rainfall in urban area, because rainfall has locally occurred exceeding the capability of a flood control plan by the exiting design rainfall from the data of Seoul weather station.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new design rainfall in order to make a future flood control plan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for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urban area, data of AWS was used and for retaining insufficient rainfall data, WGR model was estimated the application of target area.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ation data and consequently show reasonable results. In addition, to prepare for climate change, design rainfall was calculated by applying for various climate scenarios and the result would be used in order to establish future flood control plan.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in Summer over the Korean Peninsula from Precipitation Radar of TRMM Satellite : Case Study (TRMM/PR 관측에 의한 한반도에서의 여름철 호우의 특성 : 사례연구)

  • 박혜숙;정효상;노유정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6 no.1
    • /
    • pp.55-64
    • /
    • 2000
  • The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TRMM) Satellite was launched in November 1997, carving into orbit the first space-borne Precipitation Radar(PR). The main objective of the TRMM is to obtain and study multi-year science data sets of tropical and subtropical rainfall measurements.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cases over Korea in 1998 and 1999 are analyzed using the TRMM/PR dat3. We compare the rainrate measured from TRMM/PR with the accumulated rainfall data for 10 minutes tv Automatic Weather System(AWS). Especially, horizontal cross-section of rainrate with height and longitude in the precipitating clouds a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ith GMS-5 IR1, the TRMM/PR data delineate well the rain type( i.e. convective, stratiform cloud and others), height of storm top and instantaneous rainrate in the precipitating clouds. The vertical structure with height and horizontal cross-section of rainrate along the longitude show the orographic effect on the rainfall. TRMM/PR instrument measures the rainrate below 6 ㎜/hr more than AWS rainguages and inclined to underestimate the rainrate than rainguages for the whol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