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 성장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Variability of Hydrologic Partitioning revisiting Horton Index (Horton 지수의 재논의를 통한 수문분할의 변동성)

  • Choi, Dae-Gyu;Choi, Min-Ha;Ahn, Jae-Hyeon;Park, Moo-Jong;Kim, Sang-D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1
    • /
    • pp.35-44
    • /
    • 2011
  • In order to explore vegetation adaptation to climate variability and the impacts on water balance dynamics, the inter-regional and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both water availability and vegetation productivity are investigated. The Horton index, which is the ratio between actual evapotranspiration and catchment wetting as a measure of vegetation water use at catchment-scale, is revisited to quantify the effects of growing-season water availability on hydrologic partitioning at catchment scale. It is shown that the estimated Horton index is relatively constant irrespective of inter-annual climate variability. In addition, the Horton index is compared with catchment-scale vegetation rain use efficienc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n interesting pattern in the response of vegetation water use to water availability. When water becomes the limiting factor for vegetation productivity, the catchment-scale vegetation rain use efficiency converges to a common maximum value in agreement with earlier findings at the ecosystem level.

Numerical Simulation the Effect of Stormwater Treatment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a Small Reservoir (초기우수처리에 따른 소규모 저수지 수질개선 효과 수치모의)

  • Ye, Lyeong;Liu, Huan;Lee, Heung-Soo;Kim, Yu-Kyung;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64-2068
    • /
    • 2007
  • 합류식 하수도는 오수와 우수를 동시에 배제하는 하수관거 시스템으로 시공이 쉽고 건설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강우시 차집되지 않고 월류되는 유출량으로 인해 수체에 악영향을 초래한다. 관거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는 강우 초기에 유역에서 집중적으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과 하수 및 관거내 오염물질 등을 동반하여 수질 개선을 어렵게 하고 수질 악화를 가중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역에 설치된 합류식 하수관거를 분류식으로 개선하고 강우시 초기 세척에 의해 유입하는 비점오염원을 삭감하기 위한 초기우수 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M 저수지 수질개선 효과를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모의하였다. 저수지의 수질예측은 횡방향 평균 2차원 저수지 수리 및 수질모델인 CE-QUAL-W2를 사용하였다. 저수지 유입량은 군산기상대에서 관측한 일별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유출량을 산정하였고, 댐 방류량 자료는 M저수지의 2006년 일별 관측수위를 이용하여 유입량과 수위-체적 곡선으로부터 산정하였다. 모델의 보정은 2005년 5월과 8월에 측정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저수지의 관측값과 모의결과는 저수지 중앙부 대표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모델은 관측값을 잘 반영하였다. 모의 결과 M 저수지의 연평균 BOD농도는 합류식(1.25 mg/L)에 비해 분류식 하수 관거(0.91 mg/L)를 도입할 경우 27.2% 개선되었으며, 초기우수 처리시설(0.84 mg/L)을 추가 할 경우 32.8%까지 개선효과가 상승하였다. 기존 합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연간 유출부하량은 7,713 kg/yr이었으며, 분류식으로 전환할 경우 2,256 kg/yr, 초기우수처리시설을 추가할 경우 902 kg/yr로 삭감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분류식하수관거와 초기우수처리를 모두 이행할 경우, BOD와 COD 기준이 호수 수질 기준 II등급 이내로 유지되며, T-P 농도는 0.02mg/L 이하로 유지되어 6월 이후 여름철에 저수지내 조류성장 억제에 효과가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통해 M 저수지는 기존의 농업용 저수지의 목표수질뿐만 아니라, 친수공간으로써 적합한 II등급 수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The Annual Runoff Estimation of Namchun Using SWMM (SWMM을 이용한 남천의 연유출량 추정)

  • Kim, Nam-Uk;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09-1113
    • /
    • 2010
  • 창원시는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경작지나 녹지와 같은 투수지표면이 대단위 주택단지나 도로, 상업지구, 공장시설과 같은 불투수지표면으로 변화되어 전형적인 도시 유역특성을 띠고 있어 SWMM 모형의 적용에 적합하다. 적용대상인 남천은 창원시를 관류하는 유로연장 14.7 km의 하천으로 지류인 창원천을 포함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환경부 지원 시범사업으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계획되어 실시설계 완료 후 공사가 진행 중이나, 복원 후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 등의 타당성과 관련한 문제가 지역사회에서의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천 유역의 특성을 적절히 고려한 유지유량 산정을 통해 향후 복원된 남천의 하천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실측된 남천과 창원천의 유량자료와 SWMM 유출량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남천의 유량자료는 2008년 5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측하였으며, 남천의 지류인 창원천은 유량자료 취득구간이었던 창원천교 지점에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유량자료를 취득할 수 없었으므로 남천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비유량법으로 추정하였다. 유출량 산정을 위한 강우자료는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마산과 창원의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강우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마산기상대의 자료 대신, 창원시에서 제공한 5년간 (2005년~2009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SWAT을 이용하여 남천 유역을 39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Arc View를 이용하여 지형인자들을 추출하여 SWMM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입력자료 중 유출량 추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매개변수들은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고 연유출량 추정을 위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남천의 연유출량을 추정함으로써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Community Structure of Plankton in Eutrophic Water Systems with Different Residence Time (체류시간이 서로 다른 부영양 수계에서 플랑크톤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Lee, Uk-Se;Han, Myeong-Su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3 s.108
    • /
    • pp.263-271
    • /
    • 2004
  • To collect the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microbial food webs in eutrophic water system with different residence time, the monthly variation of bacterioplankon (bacteria and small-sized cyanobacteria) and nanoplankton (phytoplankton and protists) were examined from December 2000 to September 2001. Kyungan stream is shorter in resident time (ca.5.4 d) than Seokchon reservoir (ca.72 d), even though they showed the same pattern in precipitation. With the basic environments, we examined the biomass (standing crops and its carbon content) of each plankton collected from the surface water. Large-sized planktons flourished in the time of low temperature, while small planktons were in the time of the high temperature period. Especially, in the Kyungan stream with much disturbance by rainfall and outflow, high diversity showed in term of species and cell morphology, compared to that of Seokchon lake. The time-lag relationship remarkably showed between phytoplankton and bacteria in Seokchon reservoir, and between protists and bacteria in Kyungan stream, respectively.

Study on the Performances and Microbial Community in the Biofilm Proces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생물막 공정의 운전 및 미생물 군집의 특성)

  • Choi, Gi-Choong;Park, Jeung-Jin;Kang, Du-Kee;Yu, Jae-Cheul;Byun, Im-Gyu;Shin, Hyun-Suk;Lee, Tae-Ho;Park, Tae-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10
    • /
    • pp.1021-1027
    • /
    • 2008
  • In this study, biofilm process was introduced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The ceramic media were provided for biofilm growth in the reactors. The packing ratio of ceramic media was 5% and 15(v/v)%, respectively. Thereafter, the reactors were operated intermittently with the different interevent periods such as 0, 5, 10 and 15 days,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OD and NH$_4{^+}$-N were investigated at the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media packing ratio, temperature, and interevent period. Additionall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denaturing gel gradient electrophoresis(DGGE) and INT-dehydrogenase activity(DHA) test were conducted to observe the microbial community and activity in the biofilm. Consequently, the interevent period seeme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D removal efficiency. COD was removed within 6$\sim$8 hours at 25$^{\circ}C$ and about 15 hours at 10$^{\circ}C$. DGGE profiles showed that the initial species of microorganisms were changed from seeded activated sludge into the microorganisms detected in sediments. INT-DHA test also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microorgnaisms were not decreased even in the 15 days of interevent period.

브라디키닌 수용체 발현 및 길항제개발에 관한 연구

  • 정성현;이은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46-146
    • /
    • 1993
  • 신장에서 브라디키닌(Bradikinin, BK)의 생리적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첫 단계로 토끼신장 근위세뇨관의 일차배양세포를 이용, BK 수용체를 ($^3$H) BK를 이용하여 수용체결합실험을 함과 아울러 세포배양과정에서 여러 성장인자들의 BK 수용체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첫째, 토끼 신장의 피질, 수질 및 근 위세뇨관 둥 각 부위에 대한 BK 수용체결합 실험결과 신수질 부분에 가장 많은 BK 수용체가 발견되었으며 이때 해리항수는 0.52 nM, 그리고 최대결합부위는 mg 단배질당 112.5 fmol이었다. 둘째, serum free 배지에서 insulin, transferrin 그리고 hydrocortisone이 성장인자로 사용될 때 BK 수용체발현이 가장 높았으며 이 중 인슐린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한편 인슐린의 최적농도를 결정하는 실험의 결과 5 $\mu\textrm{g}$/ml매서 가장 높은 수용체발현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세째, 위의 세 성장인자에 prostaglandin E$_1$이나 triiodothyronine을 첨가시 BK 수용체발현은 오히려 저하되었다. 네째, fetal bovine serum (FBS)과 위의 세 성장인자간의 수용체발현능을 비교한 실험에서 세포배양 후 첫 일주일에는 FBS가 세 성장인자보다 약간 나은 수용체발현능을 나타내었으나 그후 이주째에는 세 성장인자가 BK 수용체발현에 더 적절한 요소임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토끼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에서의 BK 수용체발현은 세포성장인자로 insulin, transferrin, hydrocortisone 중 insulin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것으로 보이며, 이들 세가지 성장인자는 serum free 배지에서 세포성장 및 기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prolidine이 $K_{M}$ /K$_{H}$ 비가 가장 높았고 diphenidol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항 histamine제의 muscarinic receptor 차단작용은 이들 약물의 항 alleragy 효과에 필요한 작용이 아니며 본 실험에서 추정된 항 histamine제의 H$_1$-receptor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상대적 역가는 이들 약물의 선택과 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ing ischemic insults. The nature of the receptor is being explored by molecular genetic techniques, and we have recently cloned two of the major subunits; some of the data will be presented.LIFO, 우선 순위 방식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SIMPLE는 자료구조 및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SMPLE에서 새로이 추가된 자료구조와 함수 및 설비제어 방식등을 활용하여 실제 중형급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구현과 시스템 분석의 예를 보인다.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rriers from the shallow trap with 0.4[eV], in he amorphous regions.의 증발산율은 우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0.05 - 0.10 mm/hr 의 범위로서 이로 인한 강우손실량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았다.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 PD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nonstationary index flood models (비정상성 홍수지수모형의 성능 평가)

  • Nam, Woosung;Kim, Sooyoung;Kim, Taeree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26
    • /
    • 2015
  • 기후변화나 인위적인 요인 등에 의해 수문 자료에 비정상성(nonstationarity)이 나타나면서 정상성 가정 하에서 수행되는 빈도해석으로는 정확한 확률수문량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이를 보완하기 위한 비정상성 빈도해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비정상성 지역빈도 해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은 대개 홍수지수법(index flood method)을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홍수지수와 성장곡선(growth curve)에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홍수지수모형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홍수지수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여 비정상성 자료에 적합한 형태를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위치 매개변수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정상성 GEV 분포(GEV100)를 모분포로 하는 지점들로 지역들을 구성하고, Monte Carlo 모의를 통해 발생시킨 자료에 여러 형태의 홍수지수모형을 적용하여 각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홍수 지수는 시간에 따른 변화가 없고, 성장곡선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형태인 홍수지수모형이 다른 형태의 모형에 비해 대체로 더 정확한 확률수문량을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기상청 관할 강우 관측 지점들 중 GEV100 분포가 적합한 것으로 선정된 지점들을 하나의 지역으로 구성하여 모의실험에서 적용한 것과 동일한, 여러 형태의 홍수지수모형을 적용한 결과 모의실험 결과와 일치하게 성장곡선에만 비정상성 고려된 홍수지수모형이 상대적으로 정확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EV100 모형 기반의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성장곡선만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홍수지수모형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Annual Precipitation and Vegetation (우리나라의 식생과 연강수량과의 관계)

  • Choi, Dae-Gyu;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2-402
    • /
    • 2011
  • 식생의 성장은 수문순환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강수량은 식생의 연간변동성의 주된 요인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러한 식생과 강수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정량적인 접근은 시도되지 않은 실정이다. 순일차생산량(NPP)은 광합성으로부터 생성된 유기물질에서 성장에 필요한 호흡량을 뺀 것이며, 이는 식생량을 산정할 때 주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의 50 지역의 5년간의 NPP와 연강수량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비록 자료기간이 관계를 정립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며 NPP자료 자체의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지만 각 지점별 NPP와 강수량과의 상관성이 매우 높은 지역들이 있는 것으로( ��0.6)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지역의 자료를 동시에 고려하였을 경우에는 결정계수가 크게 감소하였다($R^2$=0.310). 추가적으로 강우이용효율과 연강수량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나 결정계수가 0.022로 기존의 문헌과는 달리 이들 사이에 뚜렷한 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사실은 우리나라의 식생과 강수량 관계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을 전반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일반적인 선형 관계를 찾기는 힘들다는 것이며, 다만 지역별로 살펴볼 경우 식생-강수량 관계가 비교적 잘 맞는 지역들이 다수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한 생태적요소가 고려된 수문모형을 개발할 경우 지역적 특성들이 모형 구조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of Cyanobacterial Bloom in Lake Daecheong (대청호의 남조세균 수화 발달 특성)

  • Park Jong-G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3 no.3 s.59
    • /
    • pp.304-314
    • /
    • 2005
  •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l bloom in Korean lakes of the summer is generalized. The characteristic of cyanobacterial community was explored. And the developmental stage of cyanobacterial bloom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preparatory phase', 'bloom phase' and 'extinction phase' Cyanobacterial bloom started during the end of June at site 1, transition Bone of Lake Daecheong. The period of water bloom in normal year was about 60~70 days at site 4, lacustrine Bone, but it was unusually 11 days from July 19 in 1999. M. aerugilnosa first occurred in June, had a peak of standing crop curve from the end of August to the beginning of September in 1998 and 2002 and the end of July in 1999 and 2001. The standing crop of M. aeruginosa occupied $68.1\%$ of phytoplankton, $74.2\%$ of cyanobacteria and $88.8\%$ of genus Microcystis, Anabaena spp. first occurred in April, was above 10,000 cells $mL^{-1}$ from the end of August to about the middle of September in 1998. The effect of rainfalls on cyanobacterial bloom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hases. The rainfalls of preparatory phase assist the growth of cyanobacteria, but accelerate the decrease of cyanobacteria in extinction phase. In bloom phase, the heavy rainfalls reduce the development of the bloom, while the slight ones display only a little effects.

Impa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en Harmful Algal Bloom-forming Microalgae Isolated in Korean Coastal Waters (한국연안에서 분리한 적조형성 미세조류 10종의 성장에 미치는 온도, 염분, 광도의 영향)

  • Lee, Chang-Kyu;Lee, Ok-Hee;Lee, Sam-Geu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0 no.1
    • /
    • pp.79-91
    • /
    • 2005
  • In order to underst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en major species of microalgae responsible for frequent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the growth rates of the isolates were examined in relation with the impa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In addition, their bloom events since 1990 as well as monthly abundance of vegetative cells were analyzed. Heterocapsa triquetra, Eutreptiella gymnastica and Alexandrium tamarense were considered as relatively mid temperature adapted species in that growth rates were comparatively high at low water temperatures of $10{\sim}16^{\circ}C$ and drastically decreased at above $22^{\circ}C$. Prorocentrum micans and Pyramimonas sp. were categorized as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dapted species by showing comparatively better growths at high water temperatures above $25^{\circ}C$. Akashiwo sanguinea, Heterosigma akashiwo, Prorocentrum minimum and Scrippsiella trochoidea were eurythermal species with relative high growth rates in a broad ranges of water temperature, $16{\sim}25^{\circ}C$ were slightly halophobic, showing better growths at low salinities of $10{\sim}30$ psu than at above 35 psu. H. akashiwo, P. minimum and H. triquetra were euryhaline species with remarkable growths in a broad ranges of salinity, 15-40 psu. Frequent algal blooms by these three species at extremely low salinities below 25 psu after rainfall were attributed to their euryhaline and slightly halophobic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Growth rates of H. akashiwo, P. minimum and Pyraminonas sp.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irradiance within the experimental ranges of $2{\sim}150\;{\mu}E{\cdot}m^{-2}{\cdot}s^{-1}$. However, A. sanguinea, A. tamarense and H. triquetra showed better growths at comparatively low irradiance of $50{\sim}100\;{\mu}E{\cdot}m^{-2}{\cdot}s^{-1}$ and drastic decreases in growth rates above $150\;{\mu}E{\cdot}m^{-2}{\cdot}s^{-1}$ of irradiance. Overall,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dapted species make blooms frequently in high water temperature season with strong natural irradiance, and relatively low temperature adapted species grow better at low water temperature with relatively weak natural irrad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