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크기

Search Result 40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Runoff loading of nitrogen and phosphorus with rainfall intensity from a paddy field (논에서 강우크기에 따른 질소와 인산의 유출)

  • Cho, Jae-Young;Han, Kang-Wan;Choi, Chang-H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8 no.2
    • /
    • pp.140-147
    • /
    • 1999
  • Since the national land area is small and the fanning land occupies only 24% of total land area in Korea, the promotion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s urgent. In this process, the application rate of chemical fertilizer, which is the major pollution factor at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has been increasing in every year. The present study examined difference of runoff loading of nitrogen and phosphorus by rainfall intensity(above 100mm, 80-100mm, 50-80mm and 30-50mm). Runoff loading of nitrogen and phosphorus by rainfall intensity has differences under similar rainfall intensity. We are considering that these results were affected by rainfall intensity as well as hydrological condition, soil management, whether or not fertilizer application, cropping, rice straw and plowing.

  • PDF

The Study of Rainfall-Runoff Analysis according to DEM Gird-Size by using Distributed Rainfall Runoff Model (격자 크기에 따른 분포형 유출 모형의 강우-유출해석에 관한 연구)

  • Moon, Young-Il;Choi, Byoung-Hwa;Ahn, Jae-Hyun;Oh, Tae-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87-1791
    • /
    • 2006
  • 수공 구조물 설계를 위한 설계홍수량의 산정은 실측홍수량의 빈도해석을 통해 빈도별 설계 홍수량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관측 홍수량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대상 유역의 강우량을 강우-유출 모형에 입력하여 설계 홍수량을 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용되는 강우-유출 모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적절한 모형 매개변수의 결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주로 이용되는 GIS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적절한 격자 크기의 결정이 매개 변수 및 홍수량의 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TOP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격자 크기의 변화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실측 홍수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괴산댐 유역 의 경우 격자 크기 $100{\times}100m$일 때 추출된 지형학적 매개변수를 이용해서 모의한 유출량이 실측 유량과 가장 근접한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격자 크기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추후 대상 유역을 확대한 연구를 통해 유역특성에 따른 격자 크기 결정 기준이 수립된 다면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unoff Analysis using Spatial distributed Rainfall (공간 분포된 강우를 이용한 유출 해석)

  • Ahn, Sang-Jin;Yoon, Seok-Hwan;Hahm, Chang-Hah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0-8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지점강우를 이용하여 크리깅 기법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자료를 생성하였으며, HEC-GeoHMS 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지형자료, 수문매개변수를 격자크기에 따라 공간적으로 분포시켰다. 유출해석은 공간 분포된 강우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준 분포형 접근방법인 Modified Clark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공간 평균된 강우는 Clark 모형을 적용하여 유출 모형을 수행하였다. 정규크리깅과 일반크리깅 기법에 의해 산정된 강우를 이용하여 격자크기에 따른 유출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지점강우량을 공간분포 시킬 경우의 격자크기에 따른 유출 수문곡선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공간 분포된 강우와 공간 평균된 강우를 이용한 유출 모의 결과를 토대로 공간 분포 강우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 PDF

An Analysis of probable precipitation amount in Nakdong River Area for Predicting Flood Risk by Administrative Region (행정구역별 홍수위험전망을 위한 낙동강권역 확률강우량 분석)

  • Seong, Yeon-Jeong;Bastola, Shiksha;Lee, Sanghyup;Kim, Byoungwoo;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3-21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 패턴이 변화하고 있으며 강도가 큰 강우의 발생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강우발생의 공간적 이질성이 더욱 증가하는 실정이며, 지역적 강우특성은 각 유역의 지형적 특성과 맞물려 홍수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은 보다 상세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홍수를 대처하는 방어 체계가 요구되며, 행정구역간 강우의 특성을 분석하여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권역에 강우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행정구역별 강우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거 기상청의 홍수 예 경보 기준을 분석하였으며, 낙동강권역에 해당되는 70개 행정구역(시,군,구)에 해당되는 기상청 및 국토교통부의 강우관측소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같은 빈도에서 행정구역별로 강우의 크기가 상당히 달랐으며 특정시기에 발효된 호우특보와 해당 행정구역에 100년 빈도의 강우크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구역별 홍수위험전망 매트릭스를 구축하는데 있어 행정구역별 홍수 위험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본 연구 결과가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국가 홍수 재해 연구를 진행할 때 유역단위 및 행정구역별 홍수 방어방안을 활용함으로써 관련 연구들의 연구방안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Factors about Sediment Delivery Ratio in the Small Mountain Watershed (산지소유역의 토사유출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Shin, Seung-Sook;Park, Sang-Deog;Lee, Kyu-Song;Kim, Young-Min;Sh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08-612
    • /
    • 2006
  • 산지사면에서의 토양침식량은 실제 유역을 빠져나가는 토사유출량과 같지 않다. 이는 토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형적인 요인 등에 의해 퇴적되거나, 가중되는 유수에 의해 더 많은 토양이 침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토사유출률(SDR)은 유역의 크기뿐만 아니라 지형, 기후, 토양, 식생피복, 토지이용도 등에 관계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 특성인 강우크기에 따른 토사유출률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산불 이후 5년 동안 산지 소유역의 시험유역을 운영하여 유출 및 토사유출량을 실측하여 자료를 구축하였고, 이 유역에 산지지역의 토양침식 모형인 SEMMA을 적용하여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고 유역출구로 이송한 실제 토사유출량과 비교하였다. 5년 동안 SDR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에너지와 같은 강우사상의 크기에 따라 증가한다. SDR은 2001년에서 2002년까지 대부분 1.0 이상이고, 2005년에는 1.0을 초과하지 않으며, 강우특성 뿐만 아니라 식생피복, 산불시간경과 등의 인자에 의존한다.

  • PDF

A Study on the Underestimation of the Rainfall Data due to Wind (바람에 의한 우량자료의 변동성 연구)

  • Park, Moo-Jong;Kim, Eung-Seok;Kim, Joon-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237-249
    • /
    • 2003
  • Wind effects on a rain gauge can cause a significant underestimation of rainfall depths and contribute to the inconsistency in rainfall data. To revise the rainfall data requires the study about calculation of deficiency percentages of rain catch. There are few studies which reflect the variation of wind speed. in this study, the raindrop terminal velocity is quantifi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rainfall. The model for calculating deficiency percentages of rain catch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rainfall is examined by experimentation. Experimentation shows that deficiency percentages of rain catch have no relationship with rainfall intensity and affected by raindrop diameter. In conclusion, the estimated deficiency percentages of rain catch coincid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can be used as recommended adjustment factors.

Estimation of Rain-Attenuation for Millimeter-Wave Propagation in Domestic Environments (국내환경에 적합한 밀리미터파대역에서의 강우감쇄 추정)

  • 조삼모;김양수;백정기;이성수;김혁제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3 no.7
    • /
    • pp.1755-1763
    • /
    • 1998
  • The rain attenuatio of a radio channel above 10 GHz can have impact on the availability of the radio channel. The severity of the rain impairments increases with frequency and varies with regional location. This paper presents an estimation method for rain attenuation for millimeter-wave propagation in domestic environments. the dropsize distribution is assumed to be exponential, and the measurement data in the various countries which are simlar to the domestic environments a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one by varying the dropsize distribution. A rain-rate conversion model which can convert .tau.-minutes rain-rate data to 1-minute rain-rate data for domestic environments is also discussed. Using the converted domestic rain-rate data, probabilty distributions of rain attenuation are computed.

  • PDF

Estimation of optimal CAPPI grid size using rainfall-runoff model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한 CAPPI의 적정 격자크기 추정)

  • Lee, Won-Geun;Kim, Soo-Young;Jung, Yo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3-46
    • /
    • 2010
  • 본 연구는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레이더 반사도(CAPPI)의 격자 크기에 따른 유출량 오차를 추정하여 적절한 레이더 격자망 크기를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레이더 격자 크기의 선정 기준은 명확하게 결정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격자크기를 4km ${\times}$ 4km를 선정하고 있다. 이런 격자 크기의 결정방법은 바람의 영향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수문학적 적용에 있어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강우-유출모형인 SWAT을 이용하여 레이더 격자의 크기를 변화에 따른 유출량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Spatial Characteristics for Statistical Downscaling of Rainfall Data (강우의 통계학적 다운스케일링을 위한 공간특성 분석)

  • Lee, Jeong Eun;Lee, Jeongwoo;Kim, Chul Gyum;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6-166
    • /
    • 2018
  • 수자원 분야의 기후변화 연구에서 유출분석을 위한 장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 일단위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이러한 일자료의 생성을 위해 통계학적 다운스케일링 기법 중 추계학적 기상모의모형이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유역단위의 합리적 유출분석을 위해서는 기상모의모형을 이용한 일자료 발생시 기상관측지점 간의 공간상관성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지점 추계학적 기상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앞서 기존모형의 강우 발생과 크기와 관련된 주요요소들의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청 지점의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모형의 강우발생과 관련된 강우/무강우 발생확률, 강우크기와 관련된 월강우량의 평균값, 월평균 강우량의 표준편차, 왜곡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전국에 걸친 공간특성 분석을 통하여 다지점 추계학적 기상모의모형의 개발 및 적용시 고려해야 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Lumped Model and Semi Distributed Model for Flash Flood Index Estimation (돌발홍수지수 산정을 위한 집중형 및 준분포형모형의 유출해석)

  • Kwon, Young-Soo;Lee, Keon-Haeng;Kim, Soo-J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58-2263
    • /
    • 200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국지성 집중호우의 형태를 띠는 강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강우는 돌발 홍수가 발생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지수산정을 위한 강우-유출모형 적용시, 집중형모형과 분포형모형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양천 유역을 대상으로 HEC-HMS모형의 Clark 및 ModClack방법을 이용하여 돌발홍수지수를 산정하여 보았다. 2003년, 2004년, 2005년 각 연도별로 하나씩의 호우를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집중형 모형에 대해서는 유역면적평균강우량을, 준분포형 모형에 대해서는 Kriging 기법을 통하여 공간분포된 강우량을 이용하였다. 돌발홍수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유역에 많이 발생하므로 소유역 분할시 결정한 소유역의 크기가 돌발홍수 지수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돌발홍수지수의 산정은 유역의 크기에 따라 집중형 모형, 준분포형 모형 모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강우-유출관계를 유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돌발홍수지수의 산정이 돌발홍수예보를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을 감안할 때 준분포 모형이 강우레이더에 의한 강우예측자료를 활용하는 데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