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침투

Search Result 56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Establishing Measurement Management Criteria for Soil Slope Failure by Using Reduction-Scale and Full-Scale Slope Experiments: Based on Matric Suction (소형 및 실규모 급경사지 실험을 통한 계측관리기준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모관흡수력을 기준으로)

  • Hyo-Sung Song;Young-Hak Lee;Seung-Jae Lee;Jae-Jung Kim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4
    • /
    • pp.555-571
    • /
    • 2023
  • Due to South Korea's concentrated summer rainfall, constituting 70% of the annual total, landslides frequently occur during the rainy season, necessitating accurate prediction methods to mitigate associated damage. In this study, a reduced-scale and full-scale slope was configured using weathered granite soil to fin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measurement management criterias through landslide reproduction. The experiment focused on matric suction, analyzing changes in ground properties and failure patterns caused by rainfall infiltration. Subsequently, an unsaturated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the failure time when the safety factor falls below 1 for each experiment, landslide prediction was demonstrated to be possible, approximately 17 minutes prior for the reduction-scale experiment and 6.5 hours for the full-scale experiment.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Korean soil slope measurement management criteria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weathered granite soil.

The Experimental Study on Reinforced Slope with Geocomb (지오콤 비탈면 보호공법의 활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 Ahn, Won Sik;Kim, Chul Moon;Kim, Ug Ki;Kim, Young Sub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3 no.1
    • /
    • pp.37-43
    • /
    • 2012
  • Generally levee or revetment becomes weak by erosion (scour) due to saturation of ground with infiltration, flowing water. So when levee or revetment is constructed, slope reinforcement must be installed to prevent failure. In this study experimental test was performed for verifying shear resistance, horizontal permeability and rooting ability of Geocomb designed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3-dimension Geocell. Geocomb is one of geosynthetics and the advanced system of geogri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hear test, internal friction angle of reinforced ground with Geocomb was increasing compared with existing material and horizontal permeability of ground with Geocomb was bigger than geocell, porous geocell reinforcing ground. Lastly rooting ability of geocomb is most excellent. These results determined for the inner surface of the cell is net structure.

Case Study on Global Slope Failure Case of Segmental Retaining Wall (블록식보강토옹벽의 전면 사면붕괴 사례연구)

  • Han, Jung-Geun;Cho, Sam-Deok;Jeong, Sang-Seom;Lee, Kwang-Wo;Hong, Ki-K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4 no.2
    • /
    • pp.47-56
    • /
    • 2005
  • Recently, geosynthetic reinforced earth walls are gradually replacing conventional concrete retaining walls for reasons of economy, expediency of construction, and aesthetics. A number of reinforced soil walls having more than 10m heights have been constructed to make more effective development in the country. However, mistakes in design and construction of reinforced earth walls have resulted in many troubles such as failure of reinforced earth walls, horizontal deformationor breakdown of facings, and so forth during or after construction. In this paper, a case study on global sliding failure of a geogrid-reinforced tiered wall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 failure and suggest the proper countermeasures. From the subsurface investigation and field instrumentation, It is found that the cause of the global sliding failure was occurred by decreasing of bearing capacity of foundation ground induced by infiltration of rainwater.

  • PD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oils and Groundwater in the Vicinity of the Sindae-dong Waste Disposal Site, Taejon (대전시 신대동 폐기물매립지 주변지역에서의 지하수 및 토양의 중금속오염)

  • 김경웅;손호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 no.2
    • /
    • pp.85-89
    • /
    • 1994
  • Groundwater and soil contamination by the leak of leachates from the waste disposal site (WDS) is one of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leachates are generally produced by the biogeochmical decomposition and/or precipitation in the WDS. At the Sindae-dong waste disposal site in Taejon, the average Cu, Pb and Zn concentrations in the surrounding soils a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Korean soils but these are not high enough to cause any harmful effect to man through the crop plants. Copper, Pb and Zn are not detected in the groundwater samples but the pH of the sample is 5.6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drinking water. In contaminated soil samples,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are higher in subsurface soil than in surface soil and it may be influenced by the leachates in groundwater. With the electric resistivity method, the water contains layers are found in contaminated soils and the resistivity values are considerably low because of the dispersion of plume by the leak of leachate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leak point of leachate, resistivity values increased and heavy metal concentraions in soils decreased due to the reduction of plume.

  • PDF

An operation of experimental catchment to assess the hydrological effect by urbanization (도시화에 따른 수문학적 영향평가를 위한 시험유역의 운영)

  • Kim, Hyeon-Jun;Chang, Cheol-Hi;Kim, Chul-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9-154
    • /
    • 2005
  • 최근에 이르러 농촌 인구의 도시유입으로 도시의 주거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지고 있으며, 이는 대도시의 아파트 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등 부수적인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신도시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도시 개발은 도시화로 인하여 환경적, 수문학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도시화는 수문학적으로 산림이나 농경지와 같은 투수지역을 건물, 도로 등의 불투수지역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며 (Im 등, 2003), 이로 인하여 홍수파의 도달시간이 줄어들고 첨두유량이 증가하는 등의 수문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도로나 건물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는 지표면이나 식생으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증발산량이 농촌이나 산림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며, 강우시 토양중의 침투량과 지표면의 저류량도 도시지역에서는 매우 적게 나타난다. 신도시 개발 전후의 수문순환을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개발예정지에 대한 장$\cdot$단기의 수문/수질 관측을 통하여 개발 전과 개발 후의 유출특성과 수질부하를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로 인하여 대규모의 토지이용 변화가 예상되는 신도시 개발예정지구를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여 장기적인 수문/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고자 한다. 또한, 시험유역에서 계측된 자료와 유역수문모형을 활용하여 개발전후의 홍수 및 유출특성을 분석하고 도시화가 하천의 수문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저감 대책의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cdot$외의 시험유역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신도시 개발 등으로 인하여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구를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여 유역의 물순환 체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신도시 개발지구와 도시정비사업지구를 대상후보지로 선정하여 개발계획 및 유역의 특성 등을 조사하고, 시험유역의 선정기준을 수립하여 연구의 목적과 부합되는 지구를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시험유역에 대하여 수문$\cdot$수질 조사 계획을 수립하고, 계측시설을 설치하여 시험운영을 실시하고, 향후 시험유역의 수문계측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 PDF

Establishment of the Detention Model for the Prevention of Unban Innundation (도시침수방지를 위한 저류지 모형 확립)

  • Park, Jae-Hong;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56-1660
    • /
    • 2006
  • 도시 주변의 급격한 택지개발, 도시 인구의 집중, 대규모 계획단지의 개발은 유역의 유출특성에 큰 영향을 주게 되고,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 표면이 증가되고 침투율이 감소됨으로써 유출계수의 증가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역의 자연 저류지 기능이 저하되고, 우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첨두홍수량 뿐만 아니라 유출총량의 증대를 초래하여 도시 주변의 중소하천 유역에서는 막대한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화로 인해 증가된 유출량을 저감시키는 구조적 방안으로 대부분 강우 유출수를 일시 저류하여 유출량을 조절하는 우수유출 억제시설이 권장되고 있으나, 이들 시설에 대한 수리학적 침수방어능력이 명확히 규명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지역 침수방지 대책 수립에 필요한 On/Off-Line 저류지의 평가 및 설계에 기존 부정류 모형들의 모의가능성을 평가 비교하고, 가상하도와 실제하도에 적용하여 모형을 검보정 함으로서 저류지 해석의 실용화 모형을 확립함에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도시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도시홍수방어시스템의 일환으로 구축함으로써, 도시지역에서 저류지 홍수저감효과를 평가하는 등 침수재해와 연계된 구조적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된 저류지 모형을 이용하여 On-Line 및 Off-Line 저류지에 적용한 결과 두 종류의 저류지 모두 홍수방어를 위해 이용될 수 있었다. On/Off-Line 저류지 모두 첨두유량이 발생할 경우 어느정도의 첨두값의 감쇠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저류지 상류단의 수위감소는 저류지로 유출로 인해 저류지 상류 하도부에서 유속의 증가를 발생시켰고 이로 인해 수위는 저류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On-Line 저류지의 경우 Off-Line 의 경우에 비해 수위, 유량이 저류지의 상류단에서 크게 나타났다. On-Line 저류지의 경우 Off-Line 의 경우에 비해 같은 값의 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

  • PDF

Formation Processes of Hwaeomneup Wetland, Cheonseong Mountain (천성산 화엄늪의 형성과정)

  • Son, Myoung-Won;Chang, M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2
    • /
    • pp.204-21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formation processes of Hwaeumneup in Cheonseong Mountain which was designated as Wetland Conservation Area in 2002, and to offer data essential to sustainable management of wetland. According to wetland core samples and carbon dating of humus, grassland of Hwaeumneup Wetland Reservation resulted from slash-and-burn agriculture in no reference with climatic changes of last glacial period. And Hwaeumneup is a alpine wetland that is formed as rain water over Cheonseong Mountain crest area infiltrates into bedrock, springs out along joint line below main ridge, and dampens gentle grassland. It needs to support dense vegetation of southwestern ridge of Wetland Reservation in order to sustain water volumn of Hwaeumneup wetland, and to keep from breakdown of block dam at downstream fringe of wetland. And it needs to measure and analyse micro-topography and hydrology changes in Hwaeumneup Wetland Reservation through periodic monitoring.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Slope Failure of Embankment (성토사면의 붕괴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강우묵;이달원;지인택;조재홍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5 no.3
    • /
    • pp.47-62
    • /
    • 1993
  • The laboratorv model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pore water pressure, the critical amount of rainfall for slope failure, the pattern of failure, and the variation of seepage line at the slope with the uniform material of embankment by changing the slope angles and rainfall intensities. The results were was summarised as follows : 1.At the beginning stage of rainfall, the negative pore pressure appeared at the surface of slope and the positive pore pressure at the deep parts. But, the negative one turned into the positive one as the rainfall continued and this rapidly increased about 50 to 100 minutes before the slope failure. 2.The heavier the rainfall intensity, the shorter the time, and the milder the slope, the longer the time took to reach the failure of slope. 3.As the angle of the slope became milder, the critical amount of rainfall for slope failure became greater. 4.Maximum pore water pressure was 10 to 40g/cm$^2$ at the toe of slope and 50 to 90g/cm$^2$at the deep parts. 5.In the respect of the pattern of slope failure, surface failure of slope occurred locally at the toe of slope at the A-soil and failure of slope by surface flow occurred gradually at the top part of slope at the B-soil. 6.As the rainfall continued and the saturation zone in the embankment was formed, the seepage line went rapidly up and also the time to reach the total collapse of slope took longer at the B-soil. 7.As the position of the seepage line went up and the strength parameter accordingly down, the safety factor was 2.108 at the A-soil and 2.150 at the B-soil when the slope occured toe failure. Minimum safety factor was rapidly down to 0.831 at the A-soil and to 0.936 at the B-soil when the slope collapsed totally at the top part of slope.

  • PDF

Application of the Water Cycle Analysis Model for The Urban Chtahment Using WEP ( : Foucus in Multifuntional Administrative City of Before Developed) (WEP 모형을 이용한 도시 물순환 해석 (개발 전 행정중심 복합도시를 대상으로))

  • Lee, Yong-Jun;Jang, Cheol-Hee;Noh, Seon-Gjin;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64-1269
    • /
    • 2008
  • 최근에 이르러 농촌 인구의 도시유입으로 도시의 주거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지고 있으며, 이는 대도시의 아파트 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등 부수적인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신도시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도시 개발은 도시화로 인하여 환경적, 수문학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도시물순환계는 강우가 지표에 도달 한 후 바로 하천으로 유출되는 것과 침투하여 서서히 유출하는 자연경로 그리고 상수도 및 하수도를 통해 하천으로 배수되는 인공적 경로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신도시 개발 전후의 수문순환을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개발예정지에 대한 장단기의 수문 관측을 통하여 개발 전과 개발 후의 유출특성과 수질부하를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 복합도시 물순환 해석을 하기 위해 대상유역을 100m 크기의 정방형 격자로 구분하고 기상조건, 지표면 조건, 하천, 토양, 지하 대수층, 농업용수 등의 광범위한 입력 자료를 구축한 후 이를 물리적인 기반의 공간분포모형인 WEP 모형에 적용하여 개발 전 홍수 및 유출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상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수문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1996년에서 2007년 까지 모의 하여 실측자료가 있는 $2006{\sim}2007$년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일부 갈수기 자료를 제외 하고, 전반적인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일부 홍수위에서 금강으로 부터의 배수위 영향으로 인한 차이가 발생해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향후 도시유역에서의 수자원 분배와 물자원 관리 등의 적응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 PDF

Simulation of runoff of rivers in Jeju Island using SWAT model (제주도 하천의 SWAT모형의 적용)

  • Han, Woong-Ku;Yang, Sung-Kee;Jung, Woo-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40-1243
    • /
    • 2008
  • 제주도는 연평균 강우량이 1,975mm에 달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다우지역이며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 화산암류 및 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있어 총 강우량의 48.5%에 이르는 빗물이 지하로 침투하여 대부분의 하천들은 건천을 이루고 있다. 제주도의 143개 하천 중 6개의 하천을 제외한 전 하천들은 건천의 형태를 이루고 있어 지표수의 발달이 매우 빈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강우-유출 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적용하여 제주도 주요하천의 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143개 하천 중 제주도 동부유역의 천미천과 북부유역의 외도천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SWAT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입력자료인 수문 기상자료(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Wind Speed, Climate, Humidity)와 지형자료(DEM(Digital Elevation Model), Land Use, Soil Type)를 구축하였으며, 동시에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위하여 천미천 외도천 유역의 실측 유출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모델의 입력자료를 구축하고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천미천 외도천 유역의 유출 모의를 하였고, 유출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수문관련 매개변수들의 민감도 분석을 하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보정을 수행하였다. 보정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천미천 외도천의 유출모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제주도에 필요한 연구결과 활용방안에 대하여 검토한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제주도 하천에 대하여 SWAT모형을 적용한 결과 장기 일 유출량 모의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향후 많은 보다 많은 유출량 자료를 확보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 검정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한다면 제주도 하천의 장기 일 유출량 모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