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영향

Search Result 2,44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omparasion of Flow Analysis from Mean Areal and Distributed Precipitation by Using GRM (GRM 모형을 이용한 면적평균 강우와 분포형 강우의 유출해석 비교)

  • Kim, Kyung-Tak;Choi, Yun-Seok;Lee, Hy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06-12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와 면적평균강우의 적용에 따른 유출해석 결과의 분석을 위해서 물리적 분포형 모형인 HyGIS-GRM을 이용하여 유역 대부분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 낙동강 위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강우자료는 지상 강우관측소의 지점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생성한 면적평균강우와 면봉산 레이더 관측소 강우 자료를 조전부합성법으로 보정한 분포형 강우자료를 이용하였다. 위천 유역의 무성수위관측소와 미성 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해서 유출모의를 수행하고 관측 수문곡선과 비교하였으며, 면적평균강우과 분포형 강우가 GRM을 이용한 유출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분포형 강우를 이용한 경우가 면적평균강우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서 첨두유량, 첨두시간, 총유출량에서 상대오차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물리적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유출모의시 분포형 강우는 면적평균강우에 비해서 실제의 강우현상을 좀 더 잘 유출해석에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Flood and Inundation Prediction using Forecasted Rainfall of the WRF Model (WRF 예측강우를 활용한 홍수 및 침수예측에 관한 연구)

  • Yoon, Seong-Sim;Phuong, Tran Anh;Bae, Deq-Hy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63-267
    • /
    • 2010
  • 최근 지구온난화, 엘니뇨 및 라니냐 등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지구상의 많은 지역에서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 없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 홍수조절용 다목적 댐 건설과 같은 구조적 대책과 홍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홍수예경보 시스템은 강우 관측치를 강우-유출 모형 및 수리해석 모형의 입력 자료로 하여 홍수량 및 홍수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운영된다. 그러나 집중호우와 같은 악기상 조건에서는 관측강우자료를 이용한 유출해석 결과로 홍수예경보 시스템을 운영 할 경우 예방 대응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방재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미래에 발생할 강우를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유출 모형과 연계하여 홍수발생 이전에 홍수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홍수 모의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규모 수치예보모형인 WRF 모형(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으로 모의된 2007년 태풍 '나리' 사상의 예측강우를 이용하여 유역평균강우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예측강우를 도시유역유출모형인 SWMM과 2차원 침수모의가 가능하도록 개선한 CASC2D 모형에 활용하여 침수현상을 모의하였다. 실제 침수흔적과 모의된 결과의 비교를 통해 예측강우를 이용한 침수예측 및 홍수예보의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과소추정된 예측강우의 영향으로 인해 모의된 침수심이 실제보다 작게 발생하였으나 침수발생 위치는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research on the generation of future rainfall scenarios using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추계 강우 생성 모형을 통한 미래 강우 시나리오 생성 방법 연구)

  • Park, Jeong Ha;Park, Hyun Jin;Kim, Dong 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6-336
    • /
    • 2019
  • 기후변화는 미래 수문 순환 및 수자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잠재력이 큰 요인이다. 특히 강우량의 변동은 가뭄 홍수를 더욱 양극화 할 수 있으며, 지역별 수문 순환에 막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자원 관리 계획 수립 시 기후변화 요소를 필히 고려해야 한다. 추계 강우 생성 모형은 상대적으로 적은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긴 강우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바탕으로 기후 변화와 결합하여 기후 변화 영향 평가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eneral Circulation Model(GCM)으로 모의한 미래 월강우 자료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를 변동 인자(Change factor)로 정량화하고, 강우생성모형인 THM(The hybrid model)에 적용하여 미래 강우 시나리오를 모의하고자 한다. 먼저 기상청 28개 종관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강우생성모형의 성능을 평가 하였고, 그 결과 집성기간 1시간-1일에 해당하는 강우의 통계치를 성공적으로 재현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미래 강우 시나리오는 1) 기후변화를 고려하였으며, 2) 시 단위의 고해상도 강우자료이며, 3) 수문 모의에 필요한 만큼 충분히 길게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 수자원 관리 계획 및 수문 분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 PDF

Provincial Road in National Highway Traffic Volume Variation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강우 강도에 따른 일반국도 지방부 도로의 교통량 변동 특성)

  • Kim, Tae-Woon;Oh, Ju-Sa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3
    • /
    • pp.406-414
    • /
    • 2015
  • Existing relative researches for traffic were studied under favorable weather or excluding impact of weather. This study present traffic volume variation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in national highway provincial road and rainfall-factor. Continuous traffic count section match AWS after selecting to analyze provincial road 256 section. Weekdays ADT(Average Daily Traffic) and rainfall-factor are influenced by rainfall a little because of business travel. But non-weekdays ADT and rainfall-factor are influenced much more than weekdays because of leisure travel. Estimated AADT(Annual Average Daily Traffic) by adjusting rainfall-factor is lower MAPE than non-adjusting rainfall factor. So, rainfall have to be considered when estimating AADT. ADT decrease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continuous studies considered rainfall intensity are needed when road design and operation.

Runoff Analysis due to Moving Storms based on the Basin Shapes (I) - for the Symmetric Basin Shape - (유역형상에 따르는 이동강우의 유출영향분석(I) - 대칭유역형상 -)

  • Han, Kun Yeun;Jeon, Min Woo;Kim, Ji S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B
    • /
    • pp.15-25
    • /
    • 2006
  • Using kinematic wave equation, the influence of moving storms to runoff was analysised with a focus on watersheds. Watershed shapes used are the oblong, square and elongated shape, and the distribution types of moving storms used are uniform, advanced and intermediate type. The runoff hydrographs according to the rainfall distribution types were simulat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for the storms moving down, up and cross the watershed with various velocity. The shape, peak time and peak runoff of a runoff hydrograph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rainfall and watershed shapes. A rain storm moving in the cross direction of channel flow produces a higher peak runoff than in the downstream direction and upstream direction. A peak runoff from a storm moving downstream exceeds that from a storm moving upstream. For storms moving downstream peak time was more delayed than for other storm direction in the case of elongated watershed. The runoff volume and time base of the hydrograph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storm speed.

Assessment of a Slope Stability of Unsaturated Soils (불포화 자연사면의 안정성 평가)

  • Ryu, Chi-Hyob;Kim, Sa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03a
    • /
    • pp.773-778
    • /
    • 2002
  • 강우시 불포화 자연사면의 파괴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면내 모관흡수력의 변화를 고려한 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사면에는 강우계, Tensiometer, Pizometer, Water mock, 경사계 등이 설치되었으며 강우시 사면내 부간극수압과 임시지하수위의 거동을 관찰하였다. 실내실험으로부터 불포화 사면의 안정해석을 위하여 입력 값으로 사용되는 불포화투수계수, 불포화강도정수를 시료의 No.200체 통과량과 건조밀도를 기준으로 경험계수를 이용하여 추정 사용하였다. 강우의 침투로 인한 사면내 부간극수압의 분포는 계측값과 수치해석결과가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불포화 흐름시 흙속의 공기의 영향, 강우의 나무와 수풀에 의한 중간차단효과 및 증발의 영향을 해석에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사면안정해석결과 강우초기 모관흡수력을 고려하는 경우 약 10%의 안전율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침투가 진행되면서 그 차이는 좁아져 임시지하수위가 표층까지 도달했을 때 흡수력을 고려하지 않는 해석과 안전율은 일치하였다.

  • PDF

Evaluation of spatio-temporal rainfall variation on runoff focusing on masan areas (폭함수 단위도법을 이용한 시공간 강우변동의 유출영향 평가)

  • Gwon, Yu-Jeong;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3-313
    • /
    • 2020
  • 여름철 발생하는 집중호우는 해안지역 및 하천유역의 저지대에 상습적인 침수를 유발하며, 도시지역은 높은 불투수율로 인해 추가적인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폭함수를 통해 하천망의 공간적인 특성을 함수형태로 나타내어 유역의 수문분석에 이용하는 폭함수 단위도법(WFIUH, Width Function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을 소개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유역 및 강우 사상에 적용해보았다. WFIUH는 기존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다르게 매개변수를 물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유역특성과 시공간적 변동성을 수문곡선 산정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FIUH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3년 한반도에 심각한 침수피해를 입힌 태풍 매미로 인해 발생한 강우사상과 그로인해 큰 피해가 있었던 마산 지역의 남천, 삼호천 일부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범용 수문모형인 HEC-HMS와 비교 시 유사한 결과를 보이며, 실제 관측치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우의 이동을 반영하여 강우의 이동이 수문곡선과 첨두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 하였다.

  • PDF

Intervention Analysis of Urbanization Effect on Rainfall Data at the Seoul Rain Gauge Station (서울지점 강우자료에 나타난 도시화의 간섭 분석)

  • Yoo, Chul-Sang;Kim, Dae-Ha;Park, Sang-Hyoung;Kim, Byung-Su;Park, Chang-Y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8
    • /
    • pp.629-641
    • /
    • 2007
  • This study estimated the urbanization effect of Seoul, the largest city in Korea, on its rainfall. For a comparative analysis, two different data sets are used: One is the precipitation data at the Jeonju rain gauge station, which has a relatively long record length but least urbanization effect, and the other at the Ichon rain gauge station, which has a short record length but located very near to Seoul with least urbanization effect. Also, the difference of the rainfall between Seoul and Jeonju rain gauge stations, as an indicator of urbanization effect, is quantified by use of the intervention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the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s shows the increasing trend, its duration the decreasing trend, and the mean intensity the decreasing trend especially after 1960. Also, the quantification of urbanization effect using the intervention model shows that the increasing trend of rainfall intensity and total volume is still on going.

Simulated Acid Rain Effect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Soybean and Sesame (인공 산성강우가 벼, 콩, 참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강영길;김성배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7 no.3
    • /
    • pp.237-243
    • /
    • 1992
  • To determine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soybean and sesame, and on the soil acidity, two cultivars of rice, soybean and sesame were exposed twice a week to one of four simulated rain acidities[pH 2. 6, 3. 6, 4. 6 and 5. 6(control)]. The plants were protected from ambient rain by a polyethylene film cover. No visible damage due to the simulated acid rain was observed at any stage of growth for either of the crops. In rice, heading date, plant height and yield components except ripening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H ofsimulated rain, but the ripening ratio and rough rice yield linearly decreased as the pH of simulated rain was decreased. In soybean, maturing date and yield components except 100 seed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H of simulated rain, but the 100 seed weight and yield linearly decreased as the pH of simulated rain was decreased. Seed yield and the othe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esam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H of simulated rain. Soil pH after cropping rice, soybean and sesame decreased as pH of simulated rain was decreased.

  • PDF

Analysis and Estimation of Loss-Rainfall due to Change in evapotranspiration (Target Seomjin Upper bassin) (증발산량 변화에 따른 손실량 추정 및 원인분석 (섬진강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 Lee, Dae Wung;Lee, Chung Dae;Kim, Ch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7-257
    • /
    • 2020
  • 오늘날 지구촌은 1880년 이후 지구온난화로 인해 빈번해진 이상기후로 평균기온이 약 0.85℃ 상승하였으며, 강우특성의 변화로 초과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단기간의 집중호우 증가 및 강우일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홍수기(7월~9월)에 집중되었던 태풍 및 강우사상이 가을까지(2019년 11월 태풍 횟수 : 6회) 지속되고 있으며, 용수수요가 집중되는 관개기간에 기후변화 영향으로 무강우기간 동안 증발산량이 증가하여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 감소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유역의 갈수예보 활용지점인 곡성군(금곡교) 관측소의 실측된 수문자료를 바탕으로 유출검토를 실시하였고 취수시설물의 영향을 고려한 순유출률을 산정하였다. 5개년 유출특성을 분석한 결과 강수량 대비 년도별 유사한 순유출을 나타내는 반면에 손실량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18년의 경우 6월 말~7월 초에 발생한 약 300mm의 강우사상 이후 32일간의 무강우기간(평년 기준 : 18일)의 증발산량 영향으로 많은 손실량이 발생하였다.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일조시간, 평균기온, 무강우기간의 증가를 예견하고 있으며 강수량 뿐 아니라 기상조건이 유역 내 유출특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증발산량 산정공식 수정 Blaney-criddle Method는 평균기온, 일조시간을 활용한 잠재 증발산량 산정방법으로 정확한 유역 특성을 고려하지는 못하지만 연구결과에서 보여주듯이 한정된 기상자료를 통한 증발산량 산정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증발산량 산정방법과 비교 및 증발산량 관측장비의 활용방안 검토를 통해 분석된 증발산량자료의 품질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