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사상

Search Result 97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hanges of Drainage Paths Length and Characteristic velocities in accordance with Spatial Resolutions (공간해상도에 따른 배수경로길이 및 특성유속의 변화)

  • Choi, Yong-Joon;Kim, Joo-Cheol;Park, Doo-Ho;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71-271
    • /
    • 2011
  • 최근의 유출해석은 지리정보체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및 지형자료(DEM, Digital Elevation Model 등) 구축의 발달로 대부분 격자 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Rodriguez-Iturbe and Valdes (1979)에 의해 소개된 통계물리학적 접근방법인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UH)모형 역시 DEM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온 실정이다(Maidment, 1993; D'odorico and Rigon, 2003; Di Lazzaro, 2010). 이러한 격자 기반 모형들은 대부분 8방향 최급경사에 기초한 흐름방향도를 기반으로 물의 유동을 표현한다. 8방향법에 의해 결정된 흐름방향도를 이용할 경우 각 격자 중심에서 유역출구 까지의 배수로경로길이를 비교적 쉽고,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공간해상도(격자 규모)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EM의 공간해상도에 따른 배수경로길이의 통계적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실제 수문사상의 통계적 특성과 Di Lazzaro(2010)의 특성유속산정 공식을 이용해 지표면과 하천의 특성유속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특성유속들을 D'odorico and Rigon(2003)이 제시한 값과 비교함으로써 격자 기반의 GIUH 모형의 적용에 있어서 적정 공간해상도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국제수문개발계획(IHP, International Hydrological Project)의 금강수계 보청천 유역 중 이평수위국을 출구로하는 소유역을 선정하였으며, DEM의 공간해상도는 수치지형도의 축척을 고려하여 1: 5,000의 경우 5, 10, 15, 20m를, 1: 25,000의 경우 20, 30, 50, 100, 150, 200m로 결정하였다. 분석 결과 격자 형태 GIUH의 특성유속을 산정을 위한 적정 공간해상도는 1:5,000의 경우 5m를, 1:25,000의 경우에는 20~50m의 범위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Han River Estuary Affected by Flood and Tide in the Ganghwa Strait (강화해협이 홍수 및 조석에 대하여 한강하류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Park, Hyo-Seon;Choi, Gye-Woon;Byeon,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62-62
    • /
    • 2011
  • 한강하구지역의 강화해협은 한강, 임진강과 예성강의 강물이 흘러들어오는 하구형 수로로서 폭이 좁고, 유속이 매우 빠른 특성을 갖는다. 또한 조류(潮流)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상당량의 유량을 경기만으로 내보내고, 한강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상당량의 물질이 하구로 운반되어 침전하여 쌓이거나 하류의 외해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류부에 위치한 강화해협의 유 무에 따른 한강과 임진강의 흐름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치모의를 위해 복잡한 하구지역의 물의 흐름해석이 가능한 일차원적인 모델링 도구인 MIKE 11 모형을 이용하여 정류 및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였다. 상류경계조건은 홍수 시 방류량이 크게 증가하는 홍수기 유량과 조위의 영향을 많이 받는 평수기 시 유량으로 설정하였고, 하류경계조건은 평수기를 비롯하여 홍수기에도 임진강과 한강의 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서해 조위로 설정하였다. 강화해협의 폐쇄에 따른 수위 변화의 영향은 홍수기 시 실제 강우 사상을 모의 하였을 때 최대 8.21% 수위가 상승하였으며, 200년 빈도 계획홍수량을 모의한 결과로는 정류 해석의 경우 최대 8.25%의 변화율을 보였고, 부정류 해석의 경우 최대 13.08%의 변화율을 보였다. 평수기는 창조기에 수위 변화가 적었던 반면 낙조기에는 창조기에 비해 수위 변동이 심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강화해협 뿐만 아니라 해양생태계의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한강하구의 다른 수로에 의한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수로의 중요성을 평가하고, 2차원 수치해석 등을 통한 다양한 분석을 실행하여, 홍수 및 해양환경 훼손으로부터 하구 환경을 보호하는 보다 정량적인 대응체계가 정립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 Analysis of ManKyung River Basin in 2006 (2006년 만경강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Shim, Eun-Jeung;Lee, Jae-Hyug;Oh, Chang-Ryeo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39-1843
    • /
    • 2007
  • 현재 우리나라는 100년이 넘는 수문관측에도 불구하고 수문자료의 양과 질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IHP유역, 하천 시험유역 운영 등 각종 수문조사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의 확보는 각종 수공구조물 설계, 하천의 이 치수 계획의 수립,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의 분석을 위한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에 위치하고 있는 목천, 하리, 봉동, 소양, 효자지점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2006년 저 평수기 및 홍수기에 걸쳐 유량을 측정하여 자료를 확보하였다. 측정된 성과의 적절성 검토를 위해 최대구간유량비와 불확실도를 산정하여 신뢰하였고 이들의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수자원 분야에서 유출을 검토하기 위해 수위자료가 아닌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분석을 시행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의 측정 성과를 바탕으로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을 개발하고 수위 수문곡선을 유량 수문곡선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유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연 유출률 분석, 상 하류 유량검토, 호우사상별 직접유출률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경강 유역의 지점별 연 유출률은 하리 69.4%, 봉동 66.1%, 소양 54.1%, 효자 58.1%를 보여 주었다. 상 하류 유량검토를 통해서는 하리지점의 보 가물막이 공사 기간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적절한 상 하류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대상유역의 유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강우자료의 산정은 전주지역의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평균강우량은 산술평균법에 의하였다.

  • PDF

Resilience Assessment of Dams' Flood-Control Service (댐 홍수조절기능의 회복탄력성 산정)

  • Kim, Byungil;Shin, Sha Chul;Kim, Du Y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6
    • /
    • pp.1919-1924
    • /
    • 2014
  • Recently, due to the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 rainfall event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regions of South Korea. As a consequence, safety issues have been raised especially in the hydrologic safety of old dams designed and constructed by the old standards. In general, for improving hydrologic safety of existing dams, two options are considered: 1) raising dam crest; and 2) constructing or expanding an emergency spillway. In this process, the main criteria of alternative selection are overtopping possibility and cost efficiency of each alternative. This approach is easy to implement but it is subject to major limitation for the proper evaluation of alternatives, overlooking downstream flood damages by any controlled flow of water that is intentionally released from dams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overtopp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dam safety strengthening alternatives in terms of a comprehensive flood control by applying the concept of resilience.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resilience-based evaluation framework which considering downstream flood damages is effective in the selection of dam safety strengthening alternatives.

A Study on TOPMODEL Simulation for Soil Moisture Variation (TOPMODEL의 토양수분 변동성 모의에 관한 연구)

  • Kim, Jin-Hun;Bae, Deok-Hyo;Jang, Gi-Hyo;Jo, Cheon-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1
    • /
    • pp.65-75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model-based soil moisture variations depending on model parameters m and $T_0$ and to evaluate the model performance for the simulation of soil moisture variations by the comparison of observed groundwater levels and model-driven soil moisture amounts and observed and simulated river discharges at the basin outlet. The selected study area is the Pyungchang IHP river basin with outlet at Sanganmi station and the summer flooding events during '94-'98 a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soil moisture holding capacity i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the parameter m that represents effective groundwater depth. This phenomenon is especially dominant when higher m and $T_0$ values are used. The qualitative comparison of computed base flow and observed groundwater level shows that the base flow peaks are reasonably simulated and the decreasing limbs of hydrograph are mainly caused by base flows. It is concluded that TOPMODEL can be used effectively for simulating basin-averaged soil moisture variations in addition to river flow generations.

Revised AMC for the Application of SCS Method: 2- Revised AMC (SCS 방법 적용을 위한 선행토양함수조건의 재설정: 2. 선행토양함수조건의 재설정)

  • Yoo, Chul-Sang;Park, Cheong-Hoon;Kim, Joo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11
    • /
    • pp.963-972
    • /
    • 2005
  • This study searched the criterion of AMC with respect to the rainfall amount for the periods of antecedent 5 to 2 days. This criterion was decided as the rainfall amount with which the frequency of the observed CN(I) and CN(III) events being categorized as the true CN(I) and CW(III) become highest. Among four cases considered, the cases with antecedent 4 and 5 days provided a reasonable results, but the others not due to limited rainfall events available. For both cases with antecedent 4 and 5 days, the frequency of AMC-II increases, but that of AMC-III decreases significantly to become a more reasonable distribution. Among the cases with antecedent 4 and S days, the latter seems to be better as the occurrence of AMC-II and the relative frequency of CN(I) are higher. If adopting the rainfall amount of antecedent 5 days for the AMC, the criteria for AMC-I and AMC-III for the Jangpyung subbasin becomes 22 mm and 117 mm, respectively.

Water Supply and Reliability Increment by Dams Connection (댐간 연결을 통한 공급량 증대 및 신뢰도 향상)

  • Lee, Gwang-Man;Lee, Seung-Yoon;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17-321
    • /
    • 2010
  • 대부분의 유역에는 다수의 댐이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들 댐 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연계최적운영 기법의 적용이 일반화 되고 있다. 2000년 수립된 국가장기수 자원계획에서도 이미 4대강 수계의 댐 군의 연계운영 효과로 2011년까지 6억 $m^3$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순수한 시스템적인 개선으로 30억 $m^3$의 용수를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방안이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론의 핵심은 수문기상의 예측정도를 높이고 장단기 강우-유출을 사전 혹은 실시간으로 예측하여 수자원시설물의 기능을 최대화시키는 전략으로 현재와 같이 댐과 같은 수리구조물을 신규로 건설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경우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리구조물의 운영에 필요한 많은 변수 중에서 가장 예측이 어려우며 또한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수문사상에 대한 정보의 신뢰도에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하면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수자원시설물의 시스템적인 개선을 통한 편익의 신뢰도가 구조물적인 효과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결국 주어진 여건에서 수자원이용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구조적 대안과 시스템적인 기법을 같이 적용할 수밖에 없으며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구조적인 댐간 연결은 일정범위까지는 확실한 효과를 담보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시스템적으로도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개념을 안동댐과 임하댐이 도수터널로 연결될 경우로 가정하여 예상되는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일간연계모의모형과 일간도수연결모의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무효방류량의 감소정도와 용수공급 증가량과 공급의 신뢰도, 부족량의 크기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 PDF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ing of Temporal Trends in Return Levels for Extreme Precipitations (한국지역 집중호우에 대한 반환주기의 베이지안 모형 분석)

  • Kim, Yongku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8 no.2
    • /
    • pp.137-149
    • /
    • 2015
  • Flood planning needs to recognize trends for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Especially, the r-year return level is a common measure for extreme event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nstationary temporal model for precipitation return levels using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ing. For intensity, we model annual maximum daily precipitation measured in Korea with a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The temporal dependence among the return levels is incorporated to the model for GEV model parameters and a linear model with autoregressive error terms. We apply the proposed model to precipitation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tations in Korea from 1973 to 2011.

Derivation of an Infiltration Model at the Non-Zero Initial Moisture Condition (초기 함수량을 고려한 침투 모형의 유도)

  • Park, Haen-Nim;Jo, Won-Ch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3
    • /
    • pp.285-294
    • /
    • 2002
  • Infiltr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processes of the hydrologic cycle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water and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Various theories and models proposed for this process are usually applicable only when the rainfall intensity is higher than the infiltration capacity. The study by Diskin and Nazimov (1995, 1996) suggested a conceptual infiltration model that comprises two elements. The model can make an reasonable approach to the infiltration process, instead of representing the infiltration as a function of time. The study presented herein improved the existing conceptual infiltration model by an additional consideration of the initial moisture contents.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variation of the infiltration capacity curries for various initial moisture contents demonstrate that the model is more reasonable for the approach to the infiltr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of stormwater events-ponding time are compared with the literature values of that for a number of soil types. The agreement is rather good,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improved model is vapid for describing the infiltration process.

Analysis of peak discharge about heavy rains in the Seomjin river basin (섬진강 유역의 호우에 대한 첨두유량 분석)

  • Shim, Eun-Jeung;Choi, Hong-Yun;Kim, Chi-Young;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8-258
    • /
    • 2011
  •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예측하기 힘든 패턴으로 특정지역의 강우빈도와 강수량을 증가시키고, 과거 관측되지 않았던 홍수 수위를 기록하는 등의 이상기후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의 눈으로 봤을 때 2010년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홍수, 지진,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를 야기 시켰고, 이는 수자원의 활용과 관리 측면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영향 및 자연재해로 확장되어 인류의 생활에 큰 영향으로 다가왔다. 이처럼 예기치 못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자원 정책이나, 장기발전계획 뿐만 아니라 발생된 기후 상황을 검토하고, 그 지역에서 발생된 강수량, 수위, 유량 등에 대한 기초 자료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에 섬진강 유역의 최상류에서 하류에 이르는 덕치 외 12개 수위관측소를 대상 지점으로 선정하여 각 지점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수위모니터링을 비롯한 강수량, 방류량 등의 기본 자료를 수집하여 과거 자료와 비교검토 하였다. 그리고 저 평수기와 홍수기에 하천의 수위 및 유량을 현장에서 직접 실측하여 섬진강 상류에서 하류에 이르는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0년 섬진강 유역에서는 지점에 따라 관측 개시일이 다르지만 1990년부터 관측이 개시된 구례와 송정 지점을 비롯하여 관측 이래 최고수위에 해당하는 호우가 발생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2010년에 발생한 섬진강 유역의 지점별 상류에서 하류까지의 첨두유량을 분석 및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에 추정에 의해서 제시되었던 고수위 부분의 유량을 실측함으로써 고수위에 대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새롭게 제시하고, 홍수 주의보와 경보수위를 검토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아울러 본 자료는 추후 발생 가능한 홍수에 좀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