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수강도

Search Result 32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Daily Precipitation Intensity in Korea for Recent 30 Years (최근 30년간 한반도 일 강수강도의 지역적 특성)

  • Kim Eun-Hee;Kim Maeng-Ki;Lee Woo-Seop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5
    • /
    • pp.404-416
    • /
    • 2005
  • The seasonal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Korea, terms of the amount of precipitation per day, number of days, and intensity was analyzed using precipitation data from 1971 to 2000.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linear trend of these data was also investigated using the analysis of variance of each variable. The amount of precipitation per day less than 80 mm per day appeared in the Honam area which also shows a large number of precipitation day value during the fall and winter. However, the lowest amuont of precipitation per day was shown in the Youngnam area. The positive trend of the annual precipitation amount has also been detected in all stations except for a few station in Honam, and the positive trend of precipitation intensi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st of the stations at the Chungcheong and Gyeonggi area. The linear trend of precipitation intensity in these area is found to be significant at the $5\%$ level.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Climate Change Outlook of North Korea (북한의 강수특성 분석과 기후변화 전망)

  • Myeong, Soo-Jeo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43-1447
    • /
    • 2010
  • 본 연구는 북한의 강수특성과 기후변화에 대한 전망을 분석하였다. 강우특성 분석은 북한전역에 분포한 27개 강우 관측지점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연한은 관측지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974년부터 2008년까지였다. 일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강수량, 강수일수, 강우강도, 극치강수량 발생빈도 등 다양한 강수특성에 대한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북한의 연강수량은 전반적으로 증가경향을 보이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강수일수는 뚜렷한 감소추세를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평균 강우강도(연강수량/강수일수)의 증가경향 또한 뚜렷이 나타났으나, 80mm 이상의 일강수량 발생 빈도는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북한의 경우 강수량의 변화보다는 강수일수의 감소가 더 두드러져 홍수와 가뭄에 대한 취약성이 동시에 높아지는 결과로 귀결되며 수자원 관리에 더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의 기후변화에 대한 전망은 A1B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연강수량, 강수일수, 강우강도, 극치강수량 등 다양한 수문 변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앞으로 북한지역에서는 강수량은 전반적으로 증가경향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Analysis of A1B Climate Change Scenario in the Watersheds of 15 Multi-purpose Dam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15개 다목적댐 유역별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 Kim, Hong-Rae;Yi, Hye-Suk;Shin, Jae-K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4 no.2
    • /
    • pp.187-194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A1B climate change scenario provided b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Korea, to investigate potential climate changes in watersheds of 15 multi-purpose dams in South Korea. The A1B climate change scenario is produced by Regional Climate Model (RCM) with 27 km horizontal grid spacings using a one-way nesting technique with Global Climate Model (GCM). Relative to present climate conditions (1971~ 2000), the modeled 10-year averaged daily temperatures at the watersheds of the 15 multi-purpose dams continuously increased to year 2100, whereas precipitation changes were varied regionally (north, central, and south regions of South Korea). At two watersheds located in Gangwon-province (north region), the modeled tempor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rapidly increased in the 2090's after a slow decrease that had occurred since the 2050's. At seven watersheds in the central region, including Gyeongsangbuk-province to Jeollanam-province, the modeled tempor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increase showed 10-year periodic changes. At six watersheds in the south region, the modeled tempor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increased since the 2070's after a rapid decrease in the 2060's. Compared to the climate conditions of the late of 20th century (1971~2000), the number of rainy days and precipitation intensity increased (3% and 6~12%, respectively) in the late 21st century (2071~2100). The frequency of precipitation events tended to increase with precipitation intensity in all regions. The frequency of heavy precipitation events (>50 mm $d^{-1}$) increased with >100% in the north region, 60~100% in the central region, and 20~60% in the south region.

Trends in daily precipitation events and their extre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남부지방의 강수강도와 극값의 변화경향에 관한 연구)

  • Choi, Young-E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1 no.3
    • /
    • pp.189-203
    • /
    • 2002
  • 호우는 우리나라에 매년 약 60여명의 인명과 6,000억원에 달하는 재산 손실을 가져오는 가장 파괴적인 자연 재해이다. 그러므로, 강수 행태의 변화, 특히 호우 빈도와 규모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악기상과 관련된 재해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환경영향평가에 필수적이다. 최근 기후변화의 징후로써 뿐만 아니라 사회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강수 극값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가 사회에 영향을 미치게 될 규모는 기후변동성의 변화, 특히 기후극값의 강도와 빈도에 의해서 결정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남부지방의 장기간의 강수강도와 극값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장기간의 일 강수 자료(1920-1999)를 보유하고 있는 대구, 전주, 부산, 목포의 자료를 산술 평균하여 남부지방의 지역 일 강수 계열을 구축하였다. 남부지방의 연강수일수는 뚜렷한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연강수량은 약한 증가현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서 강수일수당 강수량을 보여주는 강수강도는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 모든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이다. 계절별로는 여름의 강수량 증가와 가을의 강수일 수 감소가 가장 뚜렷하다. 또한 강수극값의 규모를 나타내는 90번째, 95번째, 99번째 백분위수의 값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호우 사상의 발생빈도와 그에 의한 강수량은 증가하는 반면, 비호우 사상의 발생빈도는 감소하고, 그에 의한 강수량에는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남부지방에 나타난 강수일수의 감소는 비호우 사상의 감소에 의한 것이었고, 강수량의 증가는 호우 사상의 발생빈도와 그에 의한 강수량 증가에 의한 것 임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는 한반도에서도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순환의 강화를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지역영향평가를 위해서는 강수 극값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Evaluation of multiple-satellite precipitation data by rainfall intensity (다중 위성 강수자료의 강우강도별 특성 평가)

  • Kim, Kiyoung;Lee, Seulchan;Choi, Minha;Jung, Sungho;Yeon,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3-383
    • /
    • 2021
  • 강수는 수자원 분석 및 지리학적 연구에 가장 핵심적으로 쓰이는 수문인자이며, 최근 기후변화와 방재 관련한 다양한 연구에서 정확한 강수자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강수는 지표에서의 유출, 침투, 증발 등 다양한 수문현상으로 이어지므로, 수문순환, 물수지 분석에 있어 강우강도 등 강수 발생 양상과 유형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필수불가결하다. 강수량은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을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되고 있으나, 이러한 계측자료는 기상학적, 지형적 영향을 크게 받으며 대표성이 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유출 및 기후 등 공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활용하기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상강우레이더를 통한 국지적 강수자료 및 인공위성 기반 전 지구적 강수 관측 자료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공위성을 활용한 강우 측정방법은 미계측 유역에서 수자원 측정 및 관리 계획을 세우거나 전 지구적으로 장기적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활용도가 높다.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의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을 포함한 기존 강수측정 보조 위성에 더하여 2014년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GPM) 핵심 위성이 발사된 이후 다양한 기관에서 여러 인공위성을 결합한 강수 산출물들을 제공하고 있다(NASA-IMERG, JAXA-GSMAP, NOAA-CMORPH).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위성 기반 강수 자료의 산출 알고리즘을 비교□분석하고, 강우강도에 따른 산출물들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높은 강우강도 발생 시 나타나는 위성 강수자료의 불확실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후 신뢰도 높은 다중 위성 융합 강수 산출물을 구현하기 위한 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n the Study of the Seasonality Precipitatio over South Korea (남한의 강수 계절성에 관한 연구)

  • Yoon, Hee-Jung;Kim, Hee-Jong;Yoon, Ill-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2
    • /
    • pp.149-158
    • /
    • 2006
  • This study analyzes the seasonality precipitation using precipitation data from 1973 to 2001 over South Korea. The Seasonality Index and Annual variation of the Seasonality Precipitation were investigated from sixty-three observation stations. The Seasonality Precipitation means the degree of the precipitation falling intensively for some specific months. Spatially, precipitation that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regional shower is defined as seasonal precipitation. Precipitation forms are changed with various reasons and mainly the sporadic and local shower precipitation after rain spell in summer. Especially there appears a tendency that this kind of precipitation is sharply increasing in 1990's. Seasonality Index is used as a method to understand seasonal precipitation. If the yearly rainfall is concentrated for some specific months, Seasonality Index is growing gradually.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tendency that all the from sixty-two observation stations Seasonality Index. While Seasonality Index over South of Korea concentrated from June to August because of the summer rain spell in the past ($1973{\sim}1982$), there appears to be a tendency that it concentrated from August and September since the mid 1990's. From the analysis of seasonal precipitation intensity distribution, most of southern Korea is under seasonality precipitation intensity 4. The seasonality precipitation intensity class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 most of the observation stations were on a scale intensity of 3 and 4 in the past but currently reads seasonality precipitation intensities of 5 and 6.

Analysis on Changes of Daily Temperature and Daily Precipitation in Climate Indices over Republic of Korea (기후지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일기온 및 일강수의 변화 분석)

  • Lee, Hyo-Shin;Shin, Jin-Ho;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75-15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6개 지점(강릉,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목포)에서 관측한 약 100년간(1912-2009년, 단 1950-1953년 제외)의 일최고/최저기온 및 일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로 다양한 기후지수를 산출하고 이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온 관련 기후지수로는 여름일수, 영하일수, 결빙일수, 서리일수, 열대야일수, 냉방도일, 난방도일, 일교차, 식물성장일수, 일최고/최저기온의 월최고값 및 월최저값 등을 분석하였으며, 강수 관련 기후지수로 강수량, 강수일수, 강수강도, 호우일수, 미우일수, 최고 일강수 및 5일 연속 최고 강수량, 연속건조일수 및 연속습윤일수, 극한 강수일의 강수량 등을 계산하였다. 다음은 6개 지점의 기후지수를 평균한 결과이다. 6개 지점 모두에서 최저기온의 상승률이 최고기온의 상승률보다 크게 나타남에 따라 분석기간 동안 일교차는 점차 줄어드는 경향($-0.12^{\circ}C$/10년)을 보였고, 최저기온에 근거한 기후지수인 서리일수 (최저기온이 $-5^{\circ}C$ 미만, -2.6일/10년), 영하일수(최고기온이 $0^{\circ}C$ 미만, -1.0일/10년) 등의 감소와 평균기온의 상승에 따른 성장계절길이(growing season length)의 증가(+3.53일/10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일강수와 관련된 주요변화로 미우일수(일강수량이 1 $mmday^{-1}$ 이하)는 감소(-0.75일/10년)했지만, 10 $mmday^{-1}$ (+0.32일/10년), 20 $mmday^{-1}$ (+0.27일/10년), 30 $mmday^{-1}$ (+0.25일/10년), 50 $mmday^{-1}$ (+0.17일/10년), 80 $mmday^{-1}$(+0.09일/10년) 이상 내린 강수일수는 증가하였다. 강수강도(강수량이 1 $mmday^{-1}$ 이상일 때의 강수량과 강수일수 기준)는 0.23 $mmday^{-1}$/10년로 증가했다.

  • PDF

Rainfall Characteristics in the Tropical Oceans: Observations using TRMM TMI and PR (열대강우관측(TRMM) 위성의 TMI와 PR에서 관측된 열대해양에서의 강우 특성)

  • Seo, Eun-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3 no.2
    • /
    • pp.113-125
    • /
    • 2012
  • The estimations of the surface rain intensity and rain-related physical variables derived from two independent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 satellite sensors, TRMM Microwave Imager (TMI) and Precipitation Radar (PR), were compared over four different oceans. The precipitating clouds developed most frequently in the warmest sea surface temperature (SST) region of the west Pacific, which is 1.5 times more frequent than in the east Pacific and the tropical Atlantic oceans. However, the east Pacific exhibited the most intense rain intensity for the convective and mixed rain types while the tropical Atlantic showed the most intense rain intensity for all TMI rainy pixels. It was found that the deviation of TMI-derived rain rate yielded a big difference in region-to-region and rain type-to-type if the PR rain intensity value is assumed to be closer to the truth. Furthermore, the deviation by rain types showed opposite signs between convective and non-convective rain types. It was found that the region-to-region deviation differences reached more than 200% even though the selected tropical oceans have relatively similar geophysical environments. Therefore, the validation for the microwave rain estimation need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both rain types and climate regimes, and it also requires more sophisticated TMI algorithm which reflects the locality of rainfall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strategy for the electromagnetic wave precipitation gauge system (전파강수계 시스템의 통신 및 자료처리 전략 개발)

  • Lee, Jeong Deok;Kim, Minwook;Park, Yeon Gu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2 no.4
    • /
    • pp.62-66
    • /
    • 2017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strategy for the electromagnetic wave precipitation gauge system. The electromagnetic wave precipitation gauge system is a small system for deriving area rainfall rates within 1 km radius through dual polarization radar observation at 24GHz band. It is necessary to take consider for measurement of accurate precipitation under limited computing resources originating from small systems and to minimize the use of network for the unattended operation and remote management. To overcome computational resource limitations, we adopted the fuzzy logic for quality control to eliminate non-precipitation echoes and developed the method by weighted synthesis of various rain rate fields using multiple radar QPE formulas. Also we have designed variable data packets rules to minimize the network traff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