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도보정

Search Result 33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Implementation of a Re-coloring System on Monitor for Red-green Color Vision Deficiency (적록 색각이상자를 위한 모니터 색 보정 시스템 구현)

  • Cho, Kyung-Seon;Ko, Sung-Jea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5
    • /
    • pp.165-173
    • /
    • 2015
  • People with color vision deficiency (CVD) experience difficulties in discriminating some color combinations and color differences due to the abnormal retinal cone systems. While there exist smartphones with a re-coloring function for CVD, monitors do not provide the re-coloring fun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re-coloring algorithm that adjusts the displayed colors for CVD using a color controller embedded in the monitor. The proposed algorithm converts the hue and saturation in HSV color space, according to the type and strength of the color deficiency.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with a certain number of people with CVD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convert colors imperceptible into perceptible.

Modified K&C Model for Numerical Analysis of Steel-Fiber-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K&C모델의 보정)

  • Park, Gang-Kyu;Lee, Minjo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4 no.2
    • /
    • pp.85-91
    • /
    • 2021
  • This paper introduces a modified Karagozian & Case concrete model (K&C model) for the numerical analysis of a steel-fiber-reinforced concrete (SFRC) structure subjected to projectile impact. The original K&C model was calibrated to consider the effects of steel fibers accurately by modifying the strength surfaces and input parameters. Single element tests were then conducted and compared with uniaxial and triaxial compressive data to verify the modified model. With the application of a dynamic increase factor, the finite element model of the SFRC structure subjected to projectile impact was constructed. Thereafter, the applicability of the modified material model was examined by comparison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 New Illumination Compensation Method based on Color Optimization Function for Generating 3D Volumetric Model (3차원 체적 모델의 생성을 위한 색상 최적화 함수 기반의 조명 보상 기법)

  • Park, Byung-Seo;Kim, Kyung-Jin;Kim, Dong-Wook;Seo, Young-H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5 no.4
    • /
    • pp.598-608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lor correction technique for images acquired through a multi-view camera system for acquiring a 3D model. It is assumed that the 3D volume is captured indoors, and the position and intensity of the light is constant over time. 8 multi-view cameras are used, and converging toward the center of the space, so even if the lighting is constant, the intensity and angle of light entering each camera may be different. Therefore, a color optimization function is applied to a color correction chart taken from all cameras, and a color conversion matrix defin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obtained 8 images is calculated. Using this, the images of all cameras are corrected based on the standard color correction chart. This paper proposed a color correction method to minimize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cameras when acquiring an image using 8 cameras of 3D objects, and experimentally proved that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images is reduced when it is restored to a 3D image.

Application of SWAT Model for Jiseok Stream Basin using Climate Change A1B Scenario (기후변화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지석천 유역의 SWAT 모형적용)

  • Park, Sung-Chun;Moon, Byeong-Seok;Oh, Chang-Ryeol;Yang,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60-264
    • /
    • 2012
  • 전 지구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다양한 방면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적응, 극복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기후 변화관련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치수정책에 반영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에 들어서 기후변화 관련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지난 100년 동안 한반도 기온은 약 $1.7^{\circ}C$ 상승하여 세계온도의 증가율에 비해 2.3배 상승하였고, 최근 50년 동안 우리나라 강수량을 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강수일수는 감소하고 일강수량 80mm 이상인 호우발생 빈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부지역에서는 연강수량이 7% 증가하고 연 강수일수는 14% 감소하며 강수강도는 18%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일수는 감소하고 연강우량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곧 강우강도가 강해짐에 따라 홍수와 가뭄의 발생가능성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와 가뭄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지석천 유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유출량 변화를 모의하였으며, 이를 위해 분포형 장기 강우-유출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모형을 이용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는 국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수평격자 27km의 고해상도 RCM A1B 시나리오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1971~2010년 기간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지석천 유역에 인접한 광주기상청 실측 기상자료와 비교하여 편이보정 후 2011~2100년 기간의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유출량 모의값에 대한 검 보정을 위하여 지석천유역의 하류지점인 남평지점의 실측 유량을 이용하여 검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2002~2005년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검 보정 결과 2002~205년 기간 동안의 유출량 모의값은 실측유량값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의 목표인 2011~2100년까지의 유출량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내용과 비슷한 첨두유량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Airborne Image Orthorectification Using GPS/INS and LIDAR Data (GPS/INS와 LIDAR자료를 이용한 자동 항공영상 정사보정 개발)

  • Jang Jae-D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4
    • /
    • pp.693-699
    • /
    • 2006
  • Digital airborne image must be precisely orthorectified to become geographical information. For orthorectification of airborne images, GPS/INS (Global Positioning System/Inertial Navigation System) and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elevation data were employed. In this study, 635 frame airborne images were produced and LIDAR data were converted to raster image for applying to image orthorectification. To derive images with constant brightness, flat field correction was applied to images. The airborne images were geometrically corrected by calculating internal orientation and external orientation using GPS/INS data and then orthorectified using LIDAR digital elevation model image. The precision of orthorectified images was validated by collecting 50 ground control points from arbitrary five images and LIDAR intensity image. As validation result, RMSE (Root Mean Square Error) was 0.387 as almost same as only two times of pixel spatial resolution. It is possible that this automatic orthorectification method of airborne image with higher precision is applied to airborne image industry.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 for runoff prediction in watershed with limited data (자료 과소 유역 유출 모의을 위한 머신러닝 기법 적용)

  • Jeung, Minhyuk;Beom, Jina;Park, Minkyeong;Jeong, Jiyeon;Yoon, Kwa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4-254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있으며, 홍수 및 가뭄의 강도와 빈도 증가, 지구온난화로 인한 하천 건천화 등 많은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물 순환과정의 핵심요소로 설명되는 유출량의 변동은 용수 공급과 홍수 대응 및 관리, 하천생태계 유지를 위한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갈수량, 풍수량 등을 산정하여 하천별 유황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지표는 계측자료가 과소한 경우 하천의 유황특성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고 정량적으로 제시하는데에 한계가있다. 따라서, 미계측 유역에서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과 같은 수리해석모델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있으며, SWAT 모델은 유역의 수치표고모형, 토양 특성, 토지이용 현황, 기상 현황, 유역의 매개변수 등을 반영하여 모델이 구동되고 있다. 하지만,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적용성이 입증된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입력자료의 불확실성 및 조사되지 않은 영농활동 등으로 인해 결과에 불확실성이 내포되어있으며,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실측된 하천의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검정 및 보정작업을 거치고 있다. 모델의 보정 방법으로는 SWAT-CUP과 같은 프로그램 이용되고 있지만, 모델에서 이용되는 매개변수로는 보정할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모델의 정확성을 높이는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암천 유역을 대상으로 모델의 매개변수를 보정하지 않고도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모델의 결과를 향상시켰다. 보정 결과, 유량의 경우 R2가 0.42에서 0.91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고유량 구간에서의 정확성이 매우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평가된 SWAT+머신러닝 결합 모형은 향후 모델 구동에 필요한 입력자료가 부족한 경우와 빠른 검정 및 보정 작업이 필요할 경우 활용될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In-situ Undrained Shear Strength Using Effective Stress Paths of Reconstituted Sample by Unconfined Compression Test (재구성 시료의 일축압축시험에서 유효응력경로를 이용한 원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추정에 관한 연구)

  • 박성재;오원택;정경환;여주태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1
    • /
    • pp.93-102
    • /
    • 2003
  • Unconfined compression test (UC) has been widely used to determine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c_u$) of clay, because it is convenient and economical. However, UC can not represent the behaviour of in-situ stress condition and the strength obtained by the test is generally underestimated compared to that of triaxial compression, due to no confining pressure. Therefore, a simple and practical method to correct the ($c_u$) for sample disturbance and to be used in geotechnical practice is needed.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the method to estimate in-situ undrained shear strength from UC with suction measurement.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oretical shear strength equation of perfect sample (Noorany & Seed, 1965), and effective overburden stress and analysis results ($A_f,\phi'$) of effective stress behaviour by UC are needed for the equation. The shear resistance angle ($\phi'$) can be simply estimated through the result that $K_f$-line slope of the UC is 1.6 times higher than that of triaxial compression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measured strength by this method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by triaxial compression test (CK$_0$UC).

A Study on the Underestimation of the Rainfall Data due to Wind (바람에 의한 우량자료의 변동성 연구)

  • Park, Moo-Jong;Kim, Eung-Seok;Kim, Joon-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237-249
    • /
    • 2003
  • Wind effects on a rain gauge can cause a significant underestimation of rainfall depths and contribute to the inconsistency in rainfall data. To revise the rainfall data requires the study about calculation of deficiency percentages of rain catch. There are few studies which reflect the variation of wind speed. in this study, the raindrop terminal velocity is quantifi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rainfall. The model for calculating deficiency percentages of rain catch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rainfall is examined by experimentation. Experimentation shows that deficiency percentages of rain catch have no relationship with rainfall intensity and affected by raindrop diameter. In conclusion, the estimated deficiency percentages of rain catch coincid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can be used as recommended adjustment factors.

Prediction of Autogenous Shrinkage on Concrete by Unsaturated Pore Compensation Hydration Model (불포화 공극 보정 수화도 모델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예측)

  • Lee, Chang Soo;Park, Jong Hy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A
    • /
    • pp.909-915
    • /
    • 2006
  • To predict autogenous shrinkage of concrete, unsaturated pore compensation factor could be calculated by experiments of autogenous shrinkage of cement paste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degree of hydration and strain rate of autogenous shrinkage are unsaturated pore formation rate. Applying unsaturated pore compensation factor on modified Pickket model considering contribution factor and non-contribution factor to autogenous shrinkage of concrete, experimental data and existing model were compared. From the results modified Pickket model was verified to present similar tendency between Tazawa model and experimental data, but CEB-FIP model might be corrected because this model uses ultimate autogenous shrinkage underestimated and the same autogenous time function of concrete material properties considering only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hydrological model calibration strategy for Nonstationarity in rainfall-runoff model (강우-유출 모형의 비정상성을 고려한 수문모형 보정 기법 개발)

  • Lee, Ye-Rin;Uranchimeg, Sumiya;Cho, Hemie;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23-423
    • /
    • 2022
  • 수자원 계획 및 관리 관점에 있어 수문모형은 중요한 도구 중 하나이며 모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검정 및 보정 과정을 거친다. 이는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과거 수문기상자료를 활용하며 자료가 정상성(stationarity)이라는 가정에 따라 매개변수를 산정한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 문제가 심화되며,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 호우의 강도 및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실정에서 수문 모형의 정상성을 가정한 매개변수 추정은 강우-유출 관계에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문기상자료의 변동성을 고려한 수문모형의 검정 및 보정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을 활용하여 산정된 소양강댐의 기존 매개변수와 수문기상자료의 경향성을 비교하여 모형의 적합성 향상 및 다양한 매개변수 산정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역최적화 기법(global optimization method)을 도입하여 매개변수 추정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였고 동적 기후 예측 매개변수(dynamic climate predictors)를 활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교차검증을 통하여 기존의 매개변수 추정 절차와 비교 검토를 수행하였다.

  • PDF